맘루크 술탄국

이집트, 헤자즈, 레반트의 국가 (1250년 ~ 1517년)
(맘루크 왕조에서 넘어옴)

튀르크국(아랍어: دولة الأتراك),[1][2][3] 통칭 맘루크 술탄국(아랍어: سلطنة المماليك 살타나트 알마말리크[*]) 혹은 맘루크 왕조1250년부터 1517년까지 이집트시리아 일대를 통치하던 맘루크술탄국이다. 맘루크노예라는 뜻의 아랍어이다.

맘루크 술탄국
سلطنة المماليك
Salṭanat al-Mamālīk
1250년~1517년
국기
카탈루냐 지도(카탈란 아틀라스)에 따른 국기. 1375년경
수도카이로 (1174년 ~ 1250년)
정치
정치체제의례적인 칼리파국 산하의 술탄국
칼리파
1261년 ~ 1262년
1262년 ~ 1302년
1406년 ~ 1414년
1508년 ~ 1517년

알무스탄시르 2세(초대)
알하킴 1세
알무스타인
알무타왁킬 3세(말대)
술탄
1250년
1250년 ~ 1257년
1260년 ~ 1277년
1516년 ~ 1517년

샤쟈르 알두르(초대)
무이즈 아이바크
자히르 바이바르스
아쉬라프 트만바이(말대)
왕조
1250년 ~ 1382년
1382년 ~ 1517년

바흐리 왕조
부르지 왕조
인문
공용어킵차크 튀르크어, 이집트 아랍어, 콥트어
민족튀르크인, 아랍인, 유대인, 콥트인
종교
국교수니파 이슬람교
이전 국가
다음 국가
아바스 칼리파국
아이유브 술탄국
예루살렘 왕국
안티오키아 공국
트리폴리 백국
마쿠리아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타히리드 (예멘)
오스만 제국

역사 편집

아이유브 술탄국의 술탄인 살리흐가 죽자 그의 아내 샤자르 알두르가 통치하였다. 그는 아랍 역사상 유일무이한 여성 통치자로, 당시 맘루크 총사령관 아이박과 재혼하여 이집트 일대를 함께 통치하여 맘루크 술탄국을 시작하였다.

5대 술탄 바이바르스는 실질적인 맘루크 술탄국의 전설기를 이끌었다. 그는 아바스 칼리파국의 마지막 칼리파의 친척을 카이로에서 보호하며 칼리파로 추대하였다. 이로 인해 "카이로의 아바스 왕조" 시대가 시작되어 1517년 맘루크 술탄국이 멸망할 때까지 함께 명맥을 이어갔다. 이로써 "허수아비 칼리파조" 시대가 시작되었다. 맘루크는 노예였고 노예를 해방시켜주는 권리는 칼리파에게만 부여되어 있었다. 그래서 칼리파는 술탄 권력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자로 전락하였다.

정치 편집

초기에는 바흐리 왕조가 맘루크 술탄국을 통치(1250년-1390년)하였는데, 이들은 투르크 및 몽골족 출신의 맘루크들이다. 후기에는 부르지 왕조가 맘루크 술탄국을 통치(1382년-1517년)하였는데, 이들은 카프카스 지방 출신의 맘루크들이다.

멸망 편집

맘루크 술탄국이 쇠망한 이유로는 크게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는데, 지나친 사치, 흑사병, 지리적 이점의 상실 등이 있다.

맘루크 술탄국 말기, 무능한 술탄들이 즉위해 사치에 빠져들게 된다. 이로 인해 맘루크 술탄국의 국민들에게 지나치게 무거운 세금을 물리고 토지를 강제로 빼앗아, 민심 이반을 불러오고 만다.

한편 치명적인 흑사병이 맘루크 술탄국을 덮쳤는데, 맘루크 술탄국의 수도 카이로에서만 하루에 1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으며 원래 이집트 출신이 아니었던 맘루크들은 토착 이집트인보다 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졌다.

맘루크 술탄국이 번영할 수 있었던 이유 가운데 하나는, 지리적 이점에 있었다. 홍해를 남하해 아라비아 반도를 우회하면, 인도와 교역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1498년에 포르투갈바스코 다 가마인도캘리컷에 상륙한 것을 시작으로, 맘루크 술탄국이 누려 온 지리적 이점은 사라지고 만다.

결국 맘루크 술탄국은 1517년에 오스만 제국파디샤셀림 1세의 공격을 받아 멸망한다.

역대 술탄 편집

바흐리 왕조 편집

  1. 샤쟈르 알두르(여성군주)(재위:1250년)
  2. 무이즈 아이바크(재위:1250년 - 1257년)
  3. 만수르 알리(재위:1257년 - 1259년)
  4. 무자파르 쿠투즈(재위:1259년 - 1260년)
  5. 자히르 바이바르스(재위:1260년 - 1277년)
  6. 사이드 바라카한(재위:1277년 - 1279년)
  7. 아딜 사라미슈(재위:1279년)
  8. 만수르 카라운(재위:1279년 - 1290년)
  9. 아쉬라프 하릴(재위:1290년 - 1293년)
  10. 나스르 무하마드(재위:1293년 - 1294년)
  11. 아딜 키트브가(재위:1294년 - 1296년)
  12. 만수르 라진(재위:1296년 - 1299년)
  13. 나스르 무하마드(복위)(재위:1299년 - 1309년)
  14. 무자파르 바이바르스(재위:1309년 - 1310년)
  15. 나스르 무하마드(복위)(재위:1310년 - 1341년)
  16. 만스르 아브 바쿠르(재위:1341년)
  17. 아쉬라프 쿠주크(재위:1341년 - 1342년)
  18. 나스르 아흐마드(재위:1342년)
  19. 사리프 이스마일(재위:1342년 - 1345년)
  20. 카밀 샤반(재위:1345년 - 1346년)
  21. 무자파르 하지(재위:1346년 - 1347년)
  22. 나스르 하산(재위:1347년 - 1351년)
  23. 사리프(재위:1351년 - 1354년)
  24. 나스르 하산(복위)(재위:1354년 - 1361년)
  25. 만수르 무하마드(재위:1361년 - 1363년)
  26. 아쉬라프 샤반(재위:1363년 - 1377년)
  27. 만수르 알리(재위:1377년 - 1381년)
  28. 사리프 하지(재위:1381년 - 1382년)
  29. 자힐 바르크크(재위:1382년 - 1389년)
  30. 사리프 하지(재위:1389년 - 1390년)

부르지 왕조 편집

  1. 자힐 바르크크(재위:1390년 - 1399년)
  2. 나스르 파라즈(재위:1399년 - 1405년)
  3. 만수르 아브드 아르아즈즈(재위:1405년)
  4. 나스르 파라즈(복위)(재위:1405년 - 1412년)
  5. 무아이야드 사이프(재위:1412년 - 1421년)
  6. 무자파르 아흐마드(재위:1421년)
  7. 자히르 타타르(재위:1421년)
  8. 사리프 무하마드(재위:1421년 - 1422년)
  9. 아쉬라프 바르스바이(재위:1422년 - 1438년)
  10. 자히르 쟈크마크(재위:1438년 - 1448년)
  11. 아지즈 유스프(재위:1448년)
  12. 자히르 쟈크마크(복위)(재위:1448년 - 1453년)
  13. 만수르 우스만(재위:1453년)
  14. 아쉬라프 이날(재위:1453년 - 1460년)
  15. 무아이야드 아흐마드(재위:1460년 - 1461년)
  16. 자히르 후스카담(재위:1461년 - 1467년)
  17. 자히르 야르바이(재위:1467년 - 1468년)
  18. 자히르 티무르부가(재위:1468년)
  19. 아쉬라프 카이트바이(재위:1468년 - 1495년)
  20. 나스르 무하마드(재위:1495년 - 1498년)
  21. 자히르 칸스프(재위:1498년 - 1499년)
  22. 아쉬라프 쟈바라트(재위:1499년 - 1501년)
  23. 아딜 트만바이(재위:1501년)
  24. 아쉬라프 칸스프 가우리(재위:1501년 - 1516년)
  25. 아쉬라프 트만바이(재위:1516년 - 1517년)

각주 편집

내용주 편집

출처주 편집

  1. Nicolle 2014, p. 4.
  2. "The Cambridge History of Egypt", Volume 1, (1998) P. 250
  3. Yosef 2013, 8쪽.

참고 문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동의 역사
이전 시대 맘루크 술탄국
1250년~1517년
다음 시대
아이유브 술탄국 오스만 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