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형어(雙形語, 영어: doublet)란 하나의 언어 속에서 공통의 어원을 갖는 단어로부터 유래하였으나 모종의 까닭으로 복수의 형태로 병존하는 단어쌍을 말한다. 이중어(二重語)라고도 하며 이런 낱말들이 두 개가 아닌 여러 개가 존재할 때는 다형어(多形語) 또는 다중어(多重語)라고 한다. 쌍형어는 서로 동일한 어원을 공유하지만 반드시 의미와 용법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차용어가 복수의 시대 및 경로를 통해 유입되어 발생한 사례가 많지만 언어 내적인 음운현상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며 이를 내부 쌍형어라고 한다.

예시 편집

한국어 편집

현대 한국어에서는 ‘이슥하다/이윽고’ ‘부스럼/부럼’ 등의 내부 쌍형어가 나타나며, ‘밝다/붉다’ ‘맑다/묽다’ ‘낡다/늙다’ ‘남다/넘다’ ‘살/설’ 등의 모음조화로부터 성립된 쌍형어도 보인다. 영어로부터 직접 차용된 ‘백’( < back)과 일본어를 경유하여 유입된 ‘빠꾸’( < バック; “후진”)는 같은 어원을 가지지만 용법에서 차이가 나므로 동원이의(同源異義) 쌍형어로 볼 수 있다.

한국어의 내부 쌍형어는 모두 중세 한국어에서 기원하며, 중세 한국어에서는 ‘시다/이시다’ ‘니르다/니를다[至]’ ‘구짖다/구짇다’ ‘털/터럭’ 등이 쌍형어로 나타난다. 이들은 현대 방언형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중세 한국어에는 ‘잇다/시다’와 그 활용형 ‘이시니/시니’가 공존하였는데 이는 현대 제주 방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중 ‘시다’의 활용형 ‘셔’은 처격 또는 조격 조사에 결합되어 ‘에셔’와 ‘로셔’로 나타나 현대어까지 이어진다.[1]

중세 한국어의 쌍형어는 차용어로부터 발생한 사례는 거의 없고 대부분이 통시적인 음운현상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것이다. 예컨대, 중세 한국어 쌍형어 ‘듣글/드틀’ ‘둗긔/두틔’ 등은 한국어의 격음 형성이 /ㄱ/ 혹은 /ㅎ/을 수반하는 자음군으로부터 유래한다는 가설[2][3][4]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둗거ᇦ-/두터ᇦ-/돋가ᇦ-/도타ᇦ-’도 비슷한 사례인데, 모음조화에 의해 각각 양모음과 음모음으로 나뉘어 사중어를 형성하였다.[5]

영어 편집

영단어 faction/fashion은 궁극적으로 라틴어 factiō에서 기원하는 쌍형어이다. 두 형태 모두 프랑스어를 거쳐 차용된 것이지만 전자는 중세 프랑스어, 후자는 고대 프랑스어에 유입된 것으로 차용 시기가 다르다. chief/chef 또한 프랑스어로부터의 차용 시기가 다른 쌍형어이다. 마찬가지로 영단어 castle/château 또한 궁극적으로는 라틴어 castellum ‘진지(陣地)’에서 유래하지만 후자는 프랑스어를 경유했다. 라틴어 gentilis에서 기원하는 영단어 gentile/genteel/gentle/jaunty는 사중어를 이룬다.[6]

영단어 short/shirt/skirt/curt는 모두 게르만어에 공통 기원을 두고 있으나 앞의 둘은 고대 영어, 세 번째는 고대 노르드어, 마지막은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이처럼 영어의 쌍형어에서 sh-/sk-가 공존하는 현상은 게르만어파 내부에서 상이한 음운변화를 겪은 언어 간에 차용이 이루어진 것이 그 원인이다.

영단어 wheel/cycle/chakra는 모두 공통 어근을 공유하는 인도유럽조어에서 기원한 단어이지만 첫 번째는 게르만어, 두 번째는 로망스어, 세 번째는 산스크리트어 유래의 단어들로서 영어의 어휘부로 포섭된 사례이다.

각주 편집

  1. 이숭녕 (1976년 1월). “15世紀 國語의 雙形語 ‘잇다, 시다’의 發達에 대하여”. 《국어학》 (국어학회) 4 (0): 1-23. 
  2. Ramsey, Samuel (1991). “Proto-Korean and the Origin of Korean Accent”. 《Studies in the historical phonology of Asian language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15-238. 
  3. Ramsey, Samuel (1993). “Some Ramarks on Reconstructing Earlier Korean”. 《어학연구》 29 (4): 433-442. 
  4. 이기문 (1991).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5. 김성규 (1996). 〈‘드틀’과 ‘듣글’의 공존〉. 《이기문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신구문화사. 84-96쪽. 
  6. R. L. Trask (1995). 《A Dictionary of Phonetics and Phonology》. Routledge. ISBN 978-0415112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