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릴타이(몽골어: ᠻᠦᠷᠦᠯᠳᠠᠶ Quriltai)는 중세에서 근세까지 개최되었던 몽골의 정책결정 최고기관이다.

개요 편집

한자표기는 忽里勒台, 또는 『원조비사』(元朝祕史)에는 忽鄰塔로 되어 있고, 라시드 앗 딘의 『집사』(集史)를 비롯한 페르시아어 자료에는 قوريلتاى (Qūrīltāī)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원조비사』 등 중세 몽골어에는 qurilta로 발음했으나, 이는 「(가족 및 혈연관계자) 모임」을 의미하는 몽골어간 quri-에 동사에서 실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lta〜lte가 붙어 형성된 것으로, 동사 quri-의 명사형으로써 「모이기」라는 의미가 된다. 다만 이 qurilta는 단순한 「모이기」가 아니라 「혈족 연척 모이기」이다.

몽골제국은 쿠릴타이를 통해서 선출됐다. 이 외에 킵차크 칸국 등에서도 쿠릴타이와 유사한 정치 회의를 통해 칸이 선출됐다.

쿠릴타이 기간 동안 몽골의 왕족과 족장은 다음 칸을 선출하기 위해 소집됐다. 쿠릴타이는 새로운 칸 선출 뿐만 아니라 법 제정, 군사적 행동에 대한 논의 등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 논의하는 정치 회의였다.

쿠릴타이는 칸의 명으로 널리 소집되는 왕공(王公) 및 유력 부족의 수장, 중신으로 구성된 유목 국가의 최고 정치 회의였다. 그 역할은 크게, 우선 황제(칸) 후보자 선정이나 즉위, 세계 각국으로의 원정 계획 수립, 그리고 법령 제정이었다. 주로 봄이나 여름에 많이 개최되고, 큰 강의 수원지 등 목초지와 물이 있는 토지가 개최 장소였다. 또한 한 명의 칸(황제) 아래서 두세 번 정도 개최되었고, 황제의 오르도 근처에서 행해졌으며 국정에 대한 토의를 거치고 난 뒤에는 이를 경축하는 토이라는 연회 등이 늘 뒤따랐다.

몽골 황제황족들이 울르스(국가)의 방침을 결정하고자 주최하는 쿠릴타이는 특히 예케 쿠릴타이(Yeke Qurilta, 페르시아어로는 Qūrīltāī-yi Buzurg로 번역하면 대大쿠릴타이)라 불렸다. 그 밖의 집회를 제르게(jerge)라 불렀는데 이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국회에 상당하는 로야 지르가의 「지르가」라는 말의 유래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명한 쿠릴타이 편집

  • 1206년 초봄, 테무진이 몽골 고원의 통일을 완수하고 칭기즈 칸의 존호를 얻은, 오논 강 수원에서의 쿠릴타이
  • 1227년 8월, 우구데이가 칭기즈 칸의 뒤를 이어 즉위한, 케룰렌 강과 센구르 강의 두물머리 지점인 코데 아라르에서의 쿠릴타이
  • 1246년 8월 26일, 섭정감국(摂政監国)을 맡은 황후 퇴레게네[1] 초청으로 개최되고 구유크가 즉위하게 되는, 코코 나우르의 쿠릴타이
  • 1249년, 대칸 구유크의 죽음으로 그 직후에 바투에 의해 툴루이주치의 두 집안을 중심으로 개최된, 이리 강 상류의 준가르 아라타우 산맥 방면에 있던 아라 카마크에서의 쿠릴타이
  • 1251년 7월 1일, 바투의 주도로 몽케가 즉위하게 된, 코테 아라르의 쿠릴타이
  • 1260년 4월, 쿠빌라이가 금련천(金蓮川)의 개평부(開平府)에서 자신의 지지 세력만으로 개최하고 즉위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몽골법에서는 대칸이 사망하면 쿠릴타이가 열릴 때까지 옷치긴(화로의 수호자)이 감국을 맡아 임시로 통치를 하게 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