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만어쿠만인이 사용하던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 언어이며, 오늘날의 크림 타타르어, 카라차이발카르어 등 킵차크-쿠만 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쿠만의 서베네딕도회 수도사 요한네스 그라핑의 필기장 등을 비롯하여 몇몇 중세 작품에 문서화되어 있다.[2]

쿠만어
사용 지역 쿤샤그(영어판)
사멸 1770년 버로 이슈트반(프랑스어판)의 사망
문자 로마자
언어 계통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
  킵차크-쿠만어군
   쿠만어
    쿠만어
언어 부호
ISO 639-3 qwm 쿠만어
글로톨로그 none[1]

역사 편집

 
쿠만의 서

쿠만인은 킵차크 칸국이 들어서기 전에 흑해 북부와 동유럽 스텝에 살던 유목민들이었다. 쿠만인은 크림타타르인, 카라차이인쿠미크인을 포함한 다른 튀르크계 민족의 공통 조상이다. 오늘날 이 민족들이 사용하는 여러 킵차크-쿠만계 언어는 쿠만어와 관련이 있다.

쿠만어는 그 마지막 본거지인 헝가리쿤샤그(영어판) 지방에서 18세기 초에 사멸되었다. 카르차그(영어판)에 거주하던 버로 이슈트반(프랑스어판)(1770년 사망)이 마지막 화자로 알려져있다.

예문 편집

다음은 쿠만의 서에 나와있는 주님의 기도공통 튀르크 로마자(영어판)으로 전사한 것이다.

Atamız kim köktesiñ. Alğışlı bolsun seniñ atıñ, kelsin seniñ xanlığıñ, bolsun seniñ tilemekiñ – neçik kim kökte, alay [da] yerde. Kündeki ötmegimizni bizge bugün bergil. Dağı yazuqlarımıznı bizge boşatqıl – neçik biz boşatırbız bizge yaman etkenlerge. Dağı yekniñ sınamaqına bizni quurmağıl. Basa barça yamandan bizni qutxarğıl. Amen![3]

참고 문헌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영어이름}}}〉.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Knauer, Georg Nicholaus (2010). “The Earliest Vocabulary of Romani Words (c. 1515) in the Collectanea of Johannes ex Grafing, a student of Johannes Reuchlin and Conrad Celtis”. 《Romani Studies》 20 (1): 1–15. doi:10.3828/rs.2010.1. S2CID 170292032. 
  3. Kuun; Géza; 외. (1880). “Codex cumanicus, Bibliothecae ad templum divi Marci Venetiarum primum ex integro editit prolegomenis notis et compluribus glossariis instruxit comes Géza Kuun”. Budapest: XLIX. 2016년 8월 11일에 확인함 – Archive.org 경유.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