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포르투갈어: Guerra Colonial Portuguesa)은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포르투갈 군과 앙골라기니비사우, 모잠비크등 포르투갈령 아프리카 식민지 간에 벌어진 군사적 충돌을 의미한다. 포르투갈에서는 해외전쟁(포르투갈어: Guerra do Ultramar), 옛 식민지 국가에서는 해방전쟁(포르투갈어: Guerra de Libertação)이라고도 부른다. 넓은 의미에서는 인도의 고아 합병도 이 전쟁에 포함된다.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냉전, 탈식민지화의 일부

철수하는 포르투갈군
날짜1961년 2월 4일 - 1974년 4월 25일
장소
결과

포르투갈의 전술적 승리

  • 앙골라 전체와 모잠비크 대부분이 재정복됨
  • 민족주의 해방군의 사령부 이동
  • 포르투갈령 기니에서 전선 교착

민족주의 해방군의 정치적 승리

교전국

포르투갈 포르투갈 제2공화국
지원국
영국의 기 영국[8]
서독의 기 서독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 공화국[31][32]
로디지아의 기 로디지아[33]
말라위의 기 말라위[34]

프랑스의 기 프랑스

MPLA
FNLA
UNITA
FLEC
PAIGC
FRELIMO


인도 인도[28]
지원국
가나 가나[29]
모로코 모로코

스리랑카 스리랑카[30]
지휘관

포르투갈 안토니우 살라자르
포르투갈 마르셀루 카에타누
포르투갈 아메리쿠 토마스
앙골라:
포르투갈 프란시스쿠 고므스
포르투갈령 기니:
포르투갈 안토니우 스피놀라
포르투갈 오텔로 데 카발로
모잠비크:
포르투갈 안토니오 산도스

포르투갈 카울자 아리아가

앙골라
아고스티뉴 네투
조제 두스산투스
루시오 라라
올뎅 호베르투
조나스 사빔비
포르투갈령 기니
아밀카르 카브랄
루이스 카브랄
조앙 베레이라
모잠비크
모잠비크 에두아르도 몽드렌
모잠비크 조아킹 시사누
모잠비크 필리프 마가이아
모잠비크 사모라 마셸


인도 라젠드라 프라사드

인도 자와할랄 네루
피해 규모
포르투갈군:
8,827명 전사
15,507명 부상
식민지 반란 저항군:
66,000명 전사

배경 편집

식민지 건설 편집

서유럽 이베리아 반도에 위치한 나라 포르투갈은 유럽에서 최초로 동서양 해양 교역로를 개척하면서 남아메리카의 브라질, 아프리카의 기니비사우와 앙골라, 모잠비크, 중국의 마카오, 인도고아, 다만, 디우 등 세계 각지에 식민지들을 건설하였고 식민지에서 착취한 지하자원과 농산물로 국가의 부를 축적하였다. 그러나 1822년 최대 식민지였던 브라질이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하면서 포르투갈의 국력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포르투갈은 나머지 식민지들에 대한 지배를 더욱 강화하였으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식민지 착취를 중심으로 했던 포르투갈의 국가 경제 기반은 급격히 악화되었다.

탈식민지화 편집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프랑스와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의 지배를 받고 있던 해외 식민지들이 주권국가들로 독립하는 탈식민지화 현상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서 70년대 사이 식민지들의 독립을 인정한 영국이나 프랑스 등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포르투갈의 이스타두 노부(Estado Novo, 포르투갈 제2공화국) 정권은 점유하고 있는 해외 식민지들의 독립을 허용하지 않았고 식민지 착취와 수입을 통한 전근대적인 경제구조를 타파하지 못했다.

해방운동 고조 편집

그러나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영국, 프랑스 등 서유럽 국가들의 식민지 지배를 받고 있던 수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하나 둘씩 독립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앙골라와 기니비사우, 모잠비크 등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고 있던 아프리카 식민지에서도 앙골라해방인민운동, 앙골라해방민족전선, 앙골라완전독립민족동맹,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아프리카 독립당, 모잠비크 해방전선 등 여러 반식민주의 정치 조직들이 속속 대두하였고, 이들의 독립 운동이 고조되었다. 그러나 당시 포르투갈 이스타두 노부 정권은 이러한 식민지 내 반식민주의 정치 조직들과 독립 운동을 군대와 경찰을 동원해 무력으로 탄압하였다.

저항의 시작 편집

포르투갈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1961년과 1963년, 1964년에 반식민주의 조직들이 주도하는 크고 작은 무장 반란과 폭동들이 앙골라와 기니비사우, 모잠비크 등 식민지 곳곳에서 벌어졌다. 이러한 식민지의 반란이 끓임없이 이어지자, 포르투갈의 살라자르 총리는 식민지에서 일어나는 반란들을 진압하기 위해 수많은 군 병력을 식민지에 파견하였고 결국 포르투갈의 아프리카 식민지들은 사실상 전쟁 상태에 빠졌다.

전세 편집

초기 편집

초기 전세는 포르투갈군에게 매우 유리하게 전개되었다.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 아프리카에서 식민지들을 경영해온 다른 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포르투갈은 아프리카에서 식민지를 오랫동안 경영해오는 등 식민지 지역에 철저한 기반들을 구축해놓은 상태였는데다 막대한 양의 국가예산을 전쟁 비용으로 쏟아부으며, 식민지에서 일어나는 반란들을 강력하게 진압했다. 그러나 식민지 반란 저항군들도 게릴라 전 등으로 완강하게 저항하면서 초기 식민지 반란 진압에서 시작했던 전쟁의 양상은 사실상 장기전으로 흘러가기 시작했고 전쟁 과정에서 포르투갈군과 식민지 반군 모두 수많은 사상자들이 속출했다.

지원 편집

게다가 아파르트헤이트라는 극단적인 흑인 인종차별 정책으로 국민 다수의 아프리카 흑인들을 억누르고 소수의 백인들이 통치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아프리카 지역에서 백인 통치를 고착화하려는 계산 아래 포르투갈을 지원하고 소련중국, 쿠바, 유고슬라비아, 불가리아, 알제리, 탄자니아, 잠비아, 기니, 세네갈, 콩고, 리비아, 자이르, 튀니지 등 공산권 국가들과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들이 앙골라, 모잠비크, 기니비사우등 포르투갈령 아프리카 식민지 반군들을 지원하면서 이 전쟁은 사실상 국제 대리전의 양상을 보였다. 미국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식민지 지배를 포기 안하려는 포르투갈에 적대적인 입장을 취했으나 앙골라의 앙골라해방민족전선만 지원했다.

카네이션 혁명 편집

결국 이 전쟁은 1974년 포르투갈의 이스타두 노부 정권이 카네이션 혁명에 의해 붕괴됨으로써 종결된다. 이후 들어선 포르투갈 임시 정부는 포르투갈의 아프리카 식민지들에 대해 독립을 허용하고, 식민지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포르투갈군의 철군을 단행했다. 그와 동시에 앙골라, 모잠비크, 기니비사우등 옛 포르투갈 식민지가 독립을 선언함으로써 포르투갈의 해외식민지는 1999년 중국으로 반환되는 마카오만이 유일하게 남게되었다.

출처 편집

  • Kaúlza de Arriaga - Published works of the General Kaúlza de Arriaga Archived 2021년 3월 2일 - 웨이백 머신
  • Becket, Ian et all., A Guerra no Mundo, Guerras e Guerrilhas desde 1945, Lisboa, Verbo, 1983
  • Dávila, Jerry. "Hotel Tropico: Brazil and the challenge of African Decolonization, 1950–1980." Duke University Press, 2010. ISBN 978-0822348559
  • Marques, A. H. de Oliveira, História de Portugal, 6ª ed., Lisboa, Palas Editora, Vol. III, 1981
  • Mattoso, José, História Contemporânea de Portugal, Lisboa, Amigos do Livro, 1985, «Estado Novo», Vol. II e «25 de Abril», vol. único
  • Mattoso, José, História de Portugal, Lisboa, Ediclube, 1993, vols. XIII e XIV
  • Pakenham, Thomas, The Scramble for Africa, Abacus, 1991 ISBN 0-349-10449-2
  • Reis, António, Portugal Contemporâneo, Lisboa, Alfa, Vol. V, 1989;
  • Rosas, Fernando e Brito, J. M. Brandão, Dicionário de História do Estado Novo, Venda Nova, Bertrand Editora, 2 vols. 1996
  • Vários autores, Guerra Colonial, edição do Diário de Notícias
  • Jornal do Exército, Lisboa, Estado-Maior do Exército
  • Cann, John P, Counterinsurgency in Africa: The Portuguese Way of War, 1961-1974, Hailer Publishing, 2005

각주 편집

  1. The Soviet Union and Revolutionary Warfare: Principles, Practices, and Regional Comparisons, 1988, pp. 117–118.
  2. Amilcar Cabral: Revolutionary Leadership and People's War, 2002. Page 86.
  3. Frontiersmen: Warfare In Africa Since 1950, 2002. Page 49.
  4. Cuba: The International Dimension, 1990, pp. 155–157.
  5. Cuba in the World, 1979, pp. 95–96.
  6. Revolution and Chinese Foreign Policy: Peking's Support for Wars of National Liberation Peter van Ness, 1971. Page 143.
  7. China and Africa: A Century of Engagement, 2012, p. 339.
  8. Beit-Hallahmi, Benjamin. The Israeli connection: Whom Israel arms and why, pp. 63-64. IB Tauris, 1987.
  9. The Flawed Architect:Henry Kissing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2004, p. 404.
  10. FNLA – um movimento em permanente letargia, guerracolonial.org (포르투갈어)
  11. Algeria: The Politics of a Socialist Revolution, 1970, p. 164
  12. Angola-Ascendancy of the MPLA
  13. Culture And Customs of Mozambique, 2007. Page 16
  14. Guerrilla Strategies: An Historical Anthology from the Long March to Afghanistan, 1982. Page 208.
  15. Southern Africa in Transition, 1966, p. 171
  16. Communism in Africa, 1980. Page 25.
  17. Qaddafi: his ideology in theory and practice, 1986. Page 140.
  18. Imagery and Ideology in U.S. Policy Toward Libya 1969–1982, 1988. Page 70.
  19. Intercontinental Press, 1974. Page 857.
  20. The Last Bunker: A Report on White South Africa Today, 1976. Page 122
  21. Vectors of Foreign Policy of the Mozambique Front (1962-1975):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People's Republic of Mozambique, 1988. Page 8
  22. Southern Africa The Escalation of a Conflict : a Politico-military Study, 1976. Page 99.
  23. Tito in the world press on the occasion of the 80th birthday, 1973. Page 33.
  24. Mozambique, Resistance and Freedom: A Case for Reassessment, 1994. Page 64.
  25. Liberalism, Black Power, and the Making of American Politics, 1965–1980. 2009. Page 83
  26. United Front against imperialism: China's foreign policy in Africa, 1986. Page 174
  27. Portuguese Africa: a handbook, 1969. Page 423.
  28. 1961년 고아 병합도 넓은 의미에서는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에 포함된다.
  29. Keesing's Record of World Events, Volume 8, March 1962 India, Portugal, Indian, Page 18659 © 1931–2006 Keesing's Worldwide, LLC http://web.stanford.edu/group/tomzgroup/pmwiki/uploads/1074-1962-03-KS-b-RCW.pdf
  30. Rotter (2000), 185
  31. THE BORDER WAR
  32. Regional Orders: Building Security in a New World, 1997, p. 306.
  33. Terror on the Tracks: A Rhodesian Story, 2011. Page 5.
  34. “Afrikka” (PDF). 2018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