Ӝ키릴 문자의 하나이다.[1] 형태는 키릴 문자 Ж에서 파생되었다.

키릴 문자
А а Б б В в Г г Ґ ґ Д д
Ђ ђ Ѓ ѓ Е е Ё ё Є є Ж ж
З з Ѕ ѕ И и І і Ї ї Й й
Ј ј К к Ќ ќ Л л Љ љ М м
Н н Њ њ О о П п Р р С с
Т т Ћ ћ У у Ў ў Ф ф Х х
Ц ц Ч ч Џ џ Ш ш Щ щ Ъ ъ
Ы ы Ь ь Э э Ю ю Я я З́ з́
С́ с́
확장 문자
Ӑ ӑ Ӓ ӓ Ә ә Ӛ ӛ Ӕ ӕ Ғ ғ
Ӻ ӻ Ҕ ҕ Ӷ ӷ Ԁ ԁ Ԃ ԃ Ӗ ӗ
Ҽ ҽ Ҿ ҿ Ӂ ӂ Җ җ Ӝ ӝ Ҙ ҙ
Ӟ ӟ Ԑ ԑ Ӡ ӡ Ԅ ԅ Ԇ ԇ Ӥ ӥ
Ӣ ӣ Ҋ ҋ Қ қ Ҟ ҟ Ҡ ҡ Ӄ ӄ
Ҝ ҝ Ԯ ԯ Ӆ ӆ Ԓ ԓ Ԉ ԉ Ӎ ӎ
Ҥ ҥ Ң ң Ӊ ӊ Ӈ ӈ Ԋ ԋ Ӧ ӧ
Ө ө Ӫ ӫ Ҩ ҩ Ҧ ҧ Ԥ ԥ Ҏ ҏ
Ҫ ҫ Ԍ ԍ Ҭ ҭ Ԏ ԏ Ӳ ӳ Ӱ ӱ
Ӯ ӯ Ү ү Ұ ұ Ҳ ҳ Ӽ ӽ Ӿ ӿ
Һ һ Ԧ ԧ Ҵ ҵ Ӵ ӵ Ҷ ҷ Ӌ ӌ
Ҹ ҹ Ч̡ ч̡ Ӹ ӹ Ҍ ҍ Ӭ ӭ Ѥ ѥ
Ӏ ӏ 기타
옛 문자
Ҁ ҁ Ѹ ѹ Ѡѡ Ѣ ѣ Ꙗ ꙗ Ѥ ѥ
Ѧ ѧ Ѫ ѫ Ѩ ѩ Ѭ ѭ Ѯ ѯ Ѱ ѱ
Ѳ ѳ Ѵ ѵ Ѷ ѷ

Ӝ는 우드무르트어의 알파벳에만 사용되며[2] 여기서 잼(jam)의 ⟨j⟩ 발음과 유사한 유성 후치경 파찰음을 표현한다.[3] 보통은 ⟨dž⟩로 로마자화된다.

컴퓨팅 코드 편집

문자 정보
미리 보기 Ӝ ӝ
유니코드 이름 CYRILLIC CAPITAL LETTER
ZHE WITH DIAERESIS
CYRILLIC SMALL LETTER
ZHE WITH DIAERESIS
인코딩 10진 16진 10진 16진
유니코드 1244 U+04DC 1245 U+04DD
UTF-8 211 156 D3 9C 211 157 D3 9D
수치 문자 참조 Ӝ Ӝ ӝ ӝ

각주 편집

  1. “Cyrillic: Range: 0400–04FF” (PDF).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6.0》. 2010. 43쪽. 2011년 5월 20일에 확인함. 
  2. Katzner, Kenneth (2002) [First published 1977]. 《The Languages of the World》. New York, New York: Routledge. 134쪽. ISBN 0415250048. 
  3. Алатырев В. И. Краткий грамматический очерк удмуртского языка V. I. Alatyrev, A brief grammatical sketch of the Udmurt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