て
가나 중의 하나.
て, テ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이며, 가나의 하나이다. 1모라를 형성한다. 오십음도에서는 제4행 제4단(た행 え단)에 위치한다. 또한 이 문자에 탁음을 붙이면 で, デ가 된다.
획순
편집
て와 관련된 여러 사항
편집컴퓨커 부문
편집미리 보기 | て | テ | テ | で | デ | |||||
---|---|---|---|---|---|---|---|---|---|---|
유니코드 이름 | HIRAGANA LETTER TE | KATAKANA LETTER TE | HALFWIDTH KATAKANA LETTER TE | HIRAGANA LETTER DE | KATAKANA LETTER DE | |||||
인코딩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유니코드 | 12390 | U+3066 | 12486 | U+30C6 | 65411 | U+FF83 | 12391 | U+3067 | 12487 | U+30C7 |
UTF-8 | 227 129 166 | E3 81 A6 | 227 131 134 | E3 83 86 | 239 190 131 | EF BE 83 | 227 129 167 | E3 81 A7 | 227 131 135 | E3 83 87 |
수치 문자 참조 | て | て | テ | テ | テ | テ | で | で | デ | デ |
Shift JIS[1] | 130 196 | 82 C4 | 131 101 | 83 65 | 195 | C3 | 130 197 | 82 C5 | 131 102 | 83 66 |
EUC-JP[2] | 164 198 | A4 C6 | 165 198 | A5 C6 | 142 195 | 8E C3 | 164 199 | A4 C7 | 165 199 | A5 C7 |
GB 18030[3] | 164 198 | A4 C6 | 165 198 | A5 C6 | 132 0 | 84 31 99 31 | 164 199 | A4 C7 | 165 199 | A5 C7 |
EUC-KR[4] / UHC[5] | 170 198 | AA C6 | 171 198 | AB C6 | 170 199 | AA C7 | 171 199 | AB C7 | ||
Big5 (non-ETEN kana)[6] | 198 202 | C6 CA | 199 94 | C7 5E | 198 203 | C6 CB | 199 95 | C7 5F | ||
Big5 (ETEN / HKSCS)[7] | 199 77 | C7 4D | 199 194 | C7 C2 | 199 78 | C7 4E | 199 195 | C7 C3 |
미리 보기 | ㋢ | 🈓 | ||
---|---|---|---|---|
유니코드 이름 | CIRCLED KATAKANA TE | SQUARED KATAKANA DE | ||
인코딩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유니코드 | 13026 | U+32E2 | 127507 | U+1F213 |
UTF-8 | 227 139 162 | E3 8B A2 | 240 159 136 147 | F0 9F 88 93 |
UTF-16 | 13026 | 32E2 | 55356 56851 | D83C DE13 |
수치 문자 참조 | ㋢ | ㋢ | 🈓 | 🈓 |
Shift JIS (ARIB)[8] | 237 214 | ED D6 | ||
GB 18030[3] | 129 0 | 81 39 D3 34 | 148 0 | 94 39 98 31 |
각주
편집- ↑ Unicode Consortium (2015년 12월 2일) [1994-03-08]. “Shift-JIS to Unicode”.
- ↑ Unicode Consortium; IBM. “EUC-JP-2007”.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 ↑ 가 나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SAC) (2005년 11월 18일). 《GB 18030-2005: Information Technology—Chinese coded character set》.
- ↑ Unicode Consortium; IBM. “IBM-970”.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 ↑ Steele, Shawn (2000). “cp949 to Unicode table”. 마이크로소프트 / Unicode Consortium.
- ↑ Unicode Consortium (2015년 12월 2일) [1994-02-11]. “BIG5 to Unicode table (complete)”.
- ↑ van Kesteren, Anne. “big5”. 《Encoding Standard》. WHATWG.
- ↑ Scherer, Markus (2008). “ARIB Broadcast Symbols Unicode conversion mapping table using ICU's .ucm file format and representing ARIB codes in the Shift-JIS encoding scheme.”.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