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
한글 자모 중의 하나.

ㄴ | |
---|---|
정보 | |
자명 | 니은 |
훈몽자회 | 尼隱 |
자원 | 혀가 윗 잇몸에 붙는 모양 (상형) |
종류 | 닿소리 · 혓소리 |
획수 | 1 |
로마자 표기 |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n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n |
발음 | |
어두 | 치경 비음 [ n ] |
어중 | 치경 비음 [ n ] |
어말 | 권설 비음 [ ɳ ] |
이음 | 어말ㆍ어두 구개음화 : 치경구개 비음 [ ȵ ] |
획순 | |
![]() |
현대 한국어에서는 어두와 어중에서는 치경 비음 [n]으로, 어말에서는 권설 비음 [ɳ]으로 소리난다. 뒤에 ㅑ, ㅒ, ㅕ, ㅖ, ㅛ, ㅠ, ㅟ, ㅣ가 붙으면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치경구개 비음 [ȵ]으로 구개음화한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ㄴ이 나타내는 소리는 혓소리이며, 소리가 만들어질 때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습을 왼쪽에서 바라본 모양을 본따서 만들어졌다. 같은 혓소리에 속하는 ㄷ, ㅌ은 ㄴ에 획을 더해 만들어진 것이다.
점자 편집
자음 편집
초성 | 종성 | ||||||||||||
---|---|---|---|---|---|---|---|---|---|---|---|---|---|
|
|
코드값 편집
종류 | 글자 | 유니코드 | HTML | |
---|---|---|---|---|
한글 호환 자모 | ㄴ | U+3134 | ㄴ
| |
한글 자모 영역 |
첫소리 | ᄂᅠ | U+1102 | ᄂ
|
끝소리 | ᅟᅠᆫ | U+11AB | ᆫ
| |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
첫소리 | | U+F788 | 
|
끝소리 | | U+F875 | 
| |
반각 | ᄂ | U+FFA4 | ᄂ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