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운뎃점(문화어: 가운데점)은 문장 부호 중 하나로, 단어를 구분하기 위해 사이에 넣는 작은 점이다.

·
가운뎃점
ˑ
IPA
triangular
half-colon
modifier
letter

middot
hyphenation
point
문장 부호
아포스트로피 ( ’ ' )
괄호 ( [ ], ( ), { }, ⟨ ⟩ )
쌍점 ( : )
쉼표 ( , )
줄표 ( ‒, –, —, ― )
줄임표 ( …, ... )
느낌표 ( ! )
마침표 ( .。 )
붙임표 ( -, ‐ )
물음표 ( ? )
따옴표 ( ‘ ’, “ ” )
쌍반점 ( ; )
빗금 ( / )
공백 문자 ( ) () () (␠) (␢) (␣)
가운뎃점 ( · )
일반 타이포그래피
앰퍼샌드 ( & )
골뱅이표 ( @ )
별표 ( * )
역슬래시 ( \ )
불릿 ( )
캐럿 ( ^ )
저작권 기호 ( © )
통화 기호 ( ¤ )
칼표 ( †, ‡ )
도 기호 ( ° )
중복 부호(같음표) ( )
역느낌표 ( ¡ )
역물음표 ( ¿ )
번호 기호 ( # )
숫자 기호 ( )
서수 기호 ( º, ª )
백분율 기호 · 천분율 기호 ( %, ‰, ‱ )
단락 기호 ( )
프라임 기호 ( )
등록된 상표 기호 ( ® )
부분 기호 ( § )
서비스 기호 ( )
음성 녹음 저작권 기호 ( )
물결표 ( ~ )
상표 기호 ( )
밑줄 문자 ( _ )
수직선 ( |, ¦ )
별자리표 ( )
손가락표 ( ☜, ☞ )
그러므로 기호 ( )
왜냐하면 기호 ( )
물음느낌표 ( )
아이러니 기호 ( )
마름모 ( )
참고표 ( )
붙임줄 ( )
전화 기호 ( ☏, ☎ )
온천 기호 ( )
성별 기호 ( , )
오전/오후 기호 ( ㏂, ㏘ )
한글 부호
오전/오후 기호 ( ㈝, ㈞ )
참고 기호 ( )
주식회사 기호 ( )
우편번호 기호 ( )

v  d  e  h

용례 편집

한국어 편집

한국어에서 가운뎃점은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낸다.[1]

  •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뉠 때에 쓴다. 아래는 이에 대한 예시이다.
  1. 철수·영이,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2. 공주·논산, 천안·아산 등 각 지역구에서 2명씩 국회 의원을 뽑는다.
  3. 시장에 가서 사과·배·복숭아, 고추·마늘·파, 조기·명태·고등어를 샀다.
  •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쓴다. 아래는 예시.
  1. 3·1 운동, 8·15 광복
  •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쓴다. 아래는 예시.
  1. 경북 방언의 조사·연구
  2.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3. 동사·형용사를 합하여 용언이라고 한다.


● '한글맞춤법(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2호, 2017.3.28. 시행)' 부록 '문장부호' 5.가운뎃점(·)

(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 민수ㆍ영희, 선미ㆍ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 지금의 경상남도ㆍ경상북도, 전라남도ㆍ전라북도, 충청남도ㆍ충청북도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

(2)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

󰃚 한(韓)ㆍ이(伊) 양국 간의 무역량이 늘고 있다.

󰃚 우리는 그 일의 참ㆍ거짓을 따질 겨를도 없었다.

󰃚 하천 수질의 조사ㆍ분석

󰃚 빨강ㆍ초록ㆍ파랑이 빛의 삼원색이다.


다만, 이때는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쓸 수도 있다.

󰃚 한(韓) 이(伊) 양국 간의 무역량이 늘고 있다.

󰃚 우리는 그 일의 참 거짓을 따질 겨를도 없었다.

󰃚 하천 수질의 조사, 분석

󰃚 빨강, 초록, 파랑이 빛의 삼원색이다. (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 상ㆍ중ㆍ하위권 󰃚 금ㆍ은ㆍ동메달

󰃚 통권 제54ㆍ55ㆍ56호


[붙임] 이때는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 상, 중, 하위권 󰃚 금, 은, 동메달

󰃚 통권 제54, 55, 56호

https://www.law.go.kr/admRulSc.do?menuId=5&subMenuId=41&tabMenuId=183&eventGubun=060115#AJAX


● 대한민국의 대법원·헌법재판소는 법조문에 규정된 경우 소리내거나 말하지 아니하는 '국어기본법' 제14조·제1항에 의한 같은 법 제3조·제3호(어문규범)에 해당하는 '한글맞춤법' 내 부록 '문장부호' 5.가운뎃점(·)에 대해 해석할 때 서로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

  • "대법원 2009.2.12. 선고 2008두16698" 판결문 내 당시 '공인중개사법' 제25조 등에 규정된 "서명·날인"에 대해 그 해석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 없이 {"서명 및 날인"은 서명과 날인을 모두 하여야 한다는 서명 및 날인의 의미로 해석하여야 하고}라고 판시하였다. (그로 인해 서울행정법원 2008.3.12. 선고 2007구합32655 판결에 관여한 법관 3명이 "서명 또는 날인"이라고 해석한 것이 잘 못 된 것이 확정되었다.)
 https://glaw.scourt.go.kr/wsjo/panre/sjo100.do?contId=2060695&q=%EC%84%9C%EB%AA%85%C2%B7%EB%82%A0%EC%9D%B8&nq=&w=panre&section=panre_tot&subw=&subsection=&subId=1&csq=&groups=6,7,5,9&category=&outmax=1&msort=&onlycount=&sp=&d1=&d2=&d3=&d4=&d5=&pg=2&p1=&p2=&p3=&p4=&p5=&p6=&p7=&p8=&p9=&p10=&p11=&p12=&sysCd=WSJO&tabGbnCd=&saNo=&joNo=&lawNm=&hanjaYn=N&userSrchHistNo=&poption=&srch=&range=&daewbyn=N&smpryn=N&idgJyul=01&newsimyn=Y&trtyNm=&tabId=&save=Y&bubNm=
  • "헌법재판소 2015.9.24. 결정 2013헌바102" 결정례 내 당시 '자본시장법' 제360조·제1항 내 "어음의 발행·할인·매매·중개·인수"에 대해 "어음의 발행 또는 할인 또는 매매 또는 중개 또는 인수"로 해석하였다. (그로 인해 약칭 "단기금융업무"의 필수구성요소 7가지는 각 개별적으로 권리 또는 의무의 주체임에도 불 구하고 "또는" 때문에 "어음의 인수 및 보증업무와 어음의 담보대출업무" 3가지도 약칭 "단기금융업무"가 된다는 해석을 하였다. 약칭에 반하는 것인데, '도로교통법' 제36조·제1항 등에 "법인·단체 또는 개인(이하 "법인등"이라 한다)"는 약칭이 있는데, 약칭 "법인등"에 따르면 그 적용 대상은 "약칭 그 자체에 해당하는 법인등, 법인·단체, 법인·개인, 단체·개인, 개인, 법인, 단체"가 될 수 있는 이치에서 알 수 있다.)
    https://isearch.ccourt.go.kr/view.do
  • 문장부호 "가운뎃점"에 대해 그 뜻을 말·글로 해석할 경우 '한글맞춤법' 제1장·제2항에 따른 "띄어쓰기"에 따른 "단어 단어"가 원칙인 바, "가운뎃점은 말"이 없거나, 2009.2.12. 대법원판례에 따르면 '문장부호' 1.마침표 (1)에 따른 가운뎃점 이후의 단어에 연결되는 문장의 끝이 "~하여야 한다. 등" 강행규정·허용규정 등(그 활용형을 포함한다)일 경우 "및"의 뜻이 있을 뿐이다. 즉, 직접·간접적인 권리 또는 의무의 주체가 되는 명사를 띄어쓰기하면서 공공기관에 널리 보급된 '한글 소프트웨어'에서 자동 맞춤법 검사 기능이 있어 맞춤법에 오류가 있다는 표시가 있는 "명사 명사"의 작성 중 "법인 단체"에 대해 "법인·단체"로 가운뎃점을 찍은 이유 뿐인 것이다.

일본어 편집

일본어에서는 복합어를 구분하려고 가운뎃점을 쓴다. 그리고 이름은 나카구로(일본어: 中黒)며, 유니코드는 U+30FB(・)다.

  • 여러 단어를 대등하게 나열할 때 쓰인다.
  • 외래어를 가타카나로 표기할 때, 단어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쓰인다. 사람 이름이 아니면, 생략하기도 한다.
    •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 トーマス・エジソン - 토머스 에디슨(Thomas Edison)
  • 사람 이름과 직함을 구분하려고 쓰인다.
    • 部長補佐・鈴木 - 부장 보좌 스즈키
  • 숫자를 세로쓰기를 하거나 한자로 적을 때, 소수점을 나타내는데 쓰인다.
    • 三・一四 - 3.14

로마자 편집

비슷한 기호 편집

기호 Character Entity Numeric Entity 유니코드 문자값 주석
· · · U+00B7 가운뎃점
·   · U+0387 그리스어의 윗점(ánō stigmē)
  ㆍ U+318D 옛 한글모음 아래아
  ᆞ U+119E 옛 한글중성 아래아
  ᛫ U+16eb 룬 문자의 문장 부호
⋅ ⋅ U+22C5 dot 연산자 (수학)
  ∙ U+2219 bullet 연산자 (수학)
• • U+2022 bullet. 목록의 항목 앞에 찍는 점
  ‧ U+2027 사전에서 쓰이는 하이픈
  ・ U+30FB 일본어 나카구로 전각 기호
  ・ U+FF65 일본어 나카구로 반각 기호
ּ   ּ U+05BC 히브리 문자의 dagesh나 mapiq

각주 편집

  1. 양명희. “문장 부호의 이해”. 국립국어연구원. 2020년 9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