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오락관

1984년 예능 프로그램
(가족 오락관에서 넘어옴)

가족오락관》(家族娛樂館)은 1984년 4월 3일부터 2009년 4월 18일까지 방송된 KBS 2TV, KBS 1TV예능 프로그램이다.

가족오락관 모든 연령 시청가
Family Entertainment
장르 예능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역대 방송채널 참조
방송 기간 1984년 4월 3일 ~ 2009년 4월 18일
방송 시간 역대 방송시간 참조
방송 횟수 1237부작
추가 채널 홈드라마
KBS 드라마
KBS 스토리
기획 KBS 예능국
책임프로듀서 박정미[a]
제작사 해오름프로덕션
연출 한동규[b]
각본 오경석
박미경
김여진
최미림[c]
진행자 역대 진행자 참조
HD 방송 여부 SD 제작 · 방송
(1회 ~ 1165회)
HD 제작 · 방송
(1166회 ~ 1237회)
후편 상상오락관

비고:
여는 곡이 각각 쓰인 기간은 아래 본문 역대 여는 곡 참조.

기획 의도

편집

시청자들이 부담없이 웃고 즐길 수 있는 건전한 오락과 게임을 제공함으로 생활의 활력소가 되게 한 프로그램.

역사

편집

황금 시간대

편집

1984년 4월 3일 KBS 2TV에서 첫 방송을 시작하여, 높은 인기로 호평을 받았다. 가족 단위의 출연자들이 다양한 게임과 퀴즈를 통해 경쟁하며 즐거움을 주는 형식이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방송 시간이 변경되면서 더욱 다양한 게임과 형식이 도입되었다. 1990년대에는 방송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프로그램의 형식도 점차 발전하였다.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조하는 다양한 게임과 미션이 추가되었으며, 출연자들의 참여 방식 또한 더욱 다채로워졌다.

한때 35% 전후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하였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KBS 뉴스 9와 맞물리는 시간대에 방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5~17%의 시청률을 유지하였다.

2000년 가을 개편에 따라 KBS 2TV에서 KBS 1TV로 채널을 변경하였으며, 방송 시간 또한 매주 토요일 저녁으로 조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0% 이상의 시청률을 꾸준히 기록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프로그램이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면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에 따라 10대와 20대 젊은 층의 관심이 점차 감소하였다.

쇠퇴기

편집

기존의 프로그램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방송이라는 본래의 취지와 달리, 세대 간 시청층이 분리되었으며, 방송 환경 또한 변화하면서 《무한도전》과 《일요일이 좋다》 등 경쟁 예능 프로그램에 젊은 시청자층을 대거 내주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가족오락관은 점차 중장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인식되었으며, 심지어 제작진의 인터뷰에서도 “중장년층을 위한 방송”이라는 이미지가 굳어졌다.

결국 시청률도 6~7%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며,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과 시청자들의 관심 변화 속에서 프로그램의 입지는 점차 줄어들었다.

그렇게 6~7%의 시청률을 유지해오던 가족오락관은 2009년 봄, 석연치 않은 일을 겪었다. 2009년 2월 28일 방송 말미에는 "다음 주 토요일 저녁 7시 10분"이라는 자막이 표출되었으나, 한 주 결방된 이후 시청자들에게 별다른 공지 없이 2009년 3월 14일부터 갑작스럽게 방송 시간이 토요일 저녁 5시 10분으로 변경되었다.

방송 시간이 가족 시청이 어려운 시간대로 조정되면서 시청률도 급격히 하락하여 애국가보다 낮은 3.6%까지 떨어졌다. 또한 폐지 두 달 전에 PD가 교체된 점 역시 프로그램의 종료 과정이 석연치 않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1]

결국, KBS는 가족오락관의 폐지를 공식적으로 결정하였으며, 2009년 4월 18일 마지막 방송을 끝으로 25년간 이어온 긴 역사를 마감하였다.

방송 시간

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비고
KBS 2TV 1984년 4월 3일 ~ 1985년 2월 19일 매주 화요일 저녁 7:00 ~ 8:20 1시간 20분
1985년 2월 26일 ~ 1985년 4월 16일 매주 화요일 저녁 7:20 ~ 8:40
1985년 4월 23일 ~ 1985년 7월 2일 매주 화요일 저녁 7:20 ~ 8:30 1시간 10분
1985년 7월 9일 ~ 1985년 10월 29일 매주 화요일 저녁 7:10 ~ 8:30
1985년 11월 5일 ~ 1986년 5월 20일 매주 화요일 저녁 7:35 ~ 8:25 50분
1986년 5월 27일 ~ 1987년 11월 10일 매주 화요일 저녁 8:00 ~ 8:50
1987년 11월 17일 ~ 1990년 10월 23일 매주 화요일 저녁 7:05 ~ 7:55
1990년 10월 30일 ~ 1991년 5월 14일 매주 화요일 저녁 7:10 ~ 8:00
1991년 5월 21일 ~ 1992년 3월 31일 매주 화요일 저녁 8:05 ~ 8:55
1992년 4월 12일 ~ 1992년 10월 4일 매주 일요일 저녁 8:55 ~ 밤 9:50 55분
1992년 10월 9일 ~ 1994년 2월 18일 매주 금요일 저녁 8:00 ~ 8:55
1994년 2월 25일 ~ 1994년 10월 7일 매주 금요일 저녁 8:35 ~ 밤 9:20 45분
1994년 10월 14일 ~ 1995년 2월 17일 매주 금요일 저녁 8:30 ~ 밤 9:20 50분
1995년 2월 23일 ~ 1995년 8월 31일 매주 목요일 저녁 8:30 ~ 밤 9:20
1995년 9월 6일 ~ 1996년 5월 8일 매주 수요일 저녁 8:30 ~ 밤 9:20
1996년 5월 15일 ~ 1997년 2월 26일 매주 수요일 저녁 8:25 ~ 밤 9:15
1997년 3월 5일 ~ 1997년 10월 15일 매주 수요일 저녁 8:35 ~ 밤 9:25
1997년 10월 22일 ~ 1997년 11월 19일 매주 수요일 저녁 8:20 ~ 밤 9:15 55분
1997년 11월 26일 ~ 1998년 2월 11일 매주 수요일 저녁 8:50 ~ 밤 9:45
1998년 2월 18일 ~ 1998년 6월 10일 매주 수요일 저녁 8:45 ~ 밤 9:40
1998년 6월 17일 ~ 1998년 10월 7일 매주 수요일 저녁 8:40 ~ 밤 9:30 50분
1998년 10월 14일 ~ 1999년 4월 28일 매주 수요일 저녁 8:50 ~ 밤 9:45 55분
1999년 5월 5일 ~ 1999년 10월 13일 매주 수요일 저녁 8:50 ~ 밤 9:50 60분
1999년 10월 20일 ~ 2000년 4월 26일 매주 수요일 저녁 8:55 ~ 밤 9:55
2000년 5월 4일 ~ 2000년 10월 5일 매주 목요일 저녁 7:00 ~ 8:00
KBS 1TV 2000년 10월 14일 ~ 2008년 11월 15일 매주 토요일 저녁 6:00 ~ 7:00 60분 [2]
2008년 11월 22일 ~ 2009년 2월 28일 매주 토요일 저녁 7:10 ~ 8:10 [3]
2009년 3월 14일 ~ 2009년 4월 18일 매주 토요일 저녁 5:10 ~ 6:10 [4]

역대 진행자

편집

※ 《가족오락관》은 남여 MC 각각 1명씩으로 2명이 진행하였다. 남성 MC는 생전 (故)허참 방송인이 첫회부터 최종회까지 고정으로 맡았다. (故)허참과 함께 호흡을 맞춰 진행한 역대 여성 MC는 21명이며, 이 중에서 KBS의 여자 아나운서는 총 11명으로 전직 5명과 현직[5] 6명이다.

대수 진행자 기간 비고
1대 오유경 1984년 4월 3일 ~ 1985년 1월 22일 [d]
2대 정소녀 1985년 1월 29일 ~ 1987년 9월 29일 [e][f]
3대 장혜영 1987년 10월 6일 ~ 1988년 10월 25일
4대 최영미 1988년 11월 1일 ~ 1989년 5월 30일
5대 김경희 1989년 6월 6일 ~ 1989년 10월 24일
6대 김자영 1989년 10월 31일 ~ 1991년 10월 1일 [g]
7대 김혜영 1991년 10월 8일 ~ 1992년 10월 4일
8대 전혜진 1992년 10월 9일 ~ 1994년 10월 7일
9대 이유리 1994년 10월 14일 ~ 1995년 4월 27일
10대 장서희 1995년 5월 4일 ~ 1995년 9월 6일 [h]
11대 오현정 1995년 9월 13일 ~ 1996년 2월 28일
1997년 3월 5일 ~ 1997년 5월 14일
12대 오영실[i] 1996년 3월 6일 ~ 1997년 2월 26일 [j]
1999년 7월 21일 ~ 1999년 7월 28일
13대 손미나 1997년 5월 21일 ~ 2001년 11월 3일 [k]
14대 변우영[l] 2001년 11월 17일 ~ 2002년 3월 30일 [m]
15대 윤지영[n] 2002년 4월 6일 ~ 2003년 6월 21일 [o]
16대 박주아[p] 2003년 6월 28일 ~ 2005년 10월 22일
17대 박사임[q] 2005년 11월 5일 ~ 2006년 3월 11일 [r]
18대 이정민[s] 2006년 3월 18일 ~ 2006년 11월 18일
19대 김새롬 2006년 11월 25일 ~ 2007년 11월 3일
20대 김보민[t] 2007년 11월 10일 ~ 2008년 3월 29일 [u]
21대 이선영[v] 2008년 4월 5일 ~ 2009년 4월 18일

역대 여는 곡

편집
  • 1984년 ~ 1988년: Zambesi - The Shadows
  • 1988년 ~ 1995년: Digital Emotion - Get Up, Action
  • 1995년 ~ 1996년 8월 21일: 가족오락관 자체 BGM/클론 쿵따리 샤바라
  • 1996년 8월 28일 ~ 1998년 2월 11일: 터보 - Twist King
  • 1998년 4월 22일 ~ 1998년 6월 10일: 오룡비무방 - 비밥바 룰라 룰라
  • 1998년 6월 17일 ~ 1998년 12월 9일: Bellini - Samba De Janeiro
  • 1998년 12월 23일 ~ 1999년 6월 2일: Orchestral Manoeuvres In The Dark - Pandora's Box
  • 1999년 6월 9일 ~ 2009년 4월 18일: Dr. Bombay - My Sitar

동일 소재 프로그램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결방 및 편성 변경 안내

편집

편성 변경

편집
  • 1996년
    • 12월 18일, 12월 25일: 송년 특집, 크리스마스 특집 방송으로 저녁 8시 20분부터 밤 9시 15분까지 방송.
  • 1998년
    • 4월 22일: 700회 특집 방송으로 저녁 8시 30분부터 밤 9시 40분까지 방송.
  • 1999년
    • 2월 17일: 설 특집 방송으로 저녁 8시 30분부터 밤 9시 45분까지 방송.
  • 2000년
    • 4월 5일: 800회 특집 방송으로 저녁 8시 40분부터 밤 9시 55분까지 방송.
    • 12월 30일: 송년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50분에 조기 시작.
  • 2002년
    • 9월 7일: 저녁 5시 30분에 조기 시작.
    • 9월 21일: 추석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40분부터 저녁 6시 50분까지 방송.
    • 12월 21일: 저녁 5시 30분에 조기 시작.
  • 2004년
    • 6월 19일: 1000회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30분부터 저녁 7시까지 방송.
    • 12월 25일: 성탄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50분에 조기 시작.
  • 2005년
    • 9월 17일: 추석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50분에 조기 시작.
  • 2006년
  • 2007년
    • 2월 17일: 설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50분부터 저녁 7시까지 방송.
  • 2008년
    • 8월 23일: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방송 편성으로 인해 저녁 5시 45분부터 6시 45분까지 방송.
    • 11월 15일 : KBS 대기획 농업강소국, 희망의 조건 다큐멘터리 방송 편성으로 인해 저녁 5시 50분부터 6시 50분까지 방송.

결방

편집
  • 1985년
    • 8월 20일: 다큐 〈병사는 이렇게 만들어진다〉 편성.
    • 12월 31일: 〈1985 팝의 세계〉 편성.
  • 1990년
    • 4월 17일 ~ 5월 15일: KBS 사태.
  • 1991년
    • 1월 1일: 신년특집 〈스타 총출동〉 편성.
  • 1994년
    • 12월 30일: 1994 KBS 가요대상 중계방송.
  • 1999년
    • 12월 29일: 1999 KBS 코미디 대축제 중계방송.
  • 2003년
  • 2005년
    • 10월 1일: 2005 국군 가요제 중계방송.
    • 10월 29일: 특집 방송 〈가치 대발견 보물 찾기〉 편성.
    • 11월 19일: APEC 대한민국-러시아 기자회견 중계방송.
  • 2006년
    • 1월 28일: 설 특집 방송사 내부 사정으로 인한 결방.
    • 4월 8일: 2006년 한국프로야구 개막전 중계 방송.
    • 5월 20일: 방송사 내부 사정으로 인한 결방.
    • 8월 5일: A3 챔피언스컵 〈울산 현대 vs 감바 오사카〉 중계방송.
  • 2007년
    • 3월 3일: KBS 창사 특집 편성.
    • 12월 22일: 크리스마스 특집 방송사 내부 사정으로 인한 결방.
  • 2009년
    • 3월 7일, 4월 11일: 방송사 내부 사정으로 인한 결방.

각주

편집

내용주

편집
  1. 최종 책임프로듀서으며, 역대 프로듀서는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2. 최종 연출자이며, 역대 연출진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3. 최종 작가진이며, 역대 작가진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4. KBS 前 공채 21기 전 아나운서 출신이었던 오유경과는 동명이인이다.
  5. 동양방송 쇼쇼쇼 진행 방송분까지 포함하면 허참과 6년 간 같이 호흡을 맞추었다.
  6. 1987년에 허참 교통사고로 인해 1회차분만 단독 진행하였다. 간혹 가족오락관을 최장 기간 6년 진행하였다고 오해하는 분이 있는데 허참과의 6년 진행은 동양방송 쇼쇼쇼 진행 기간과 KBS 가족오락관 진행 기간을 합한 것이다.
  7. 1990년 10월 2일 추석 특집 방송분은 2대 진행자였던 정소녀가 임시로 진행을 맡았다.
  8. 당시 봄철 2차 편성조정 및 개편으로 인하여 대하드라마 촬영과 가족오락관 녹화일이 겹쳐서 그만두게 되었다고 한다.
  9. 1997년 1월 초 이후 퇴사
  10. 1996년 10월 9일 방송분은 방송 교육(해외 연수) 참여로 인해 진양혜 前 아나운서가 임시로 진행을 맡았으며, 1997년 1월 8일 방송분은 KBS 파업으로 인해 허참 단독 MC 체제로 진행되었다. 1997년 1월 15일· 3월 5일 ~ 5월 14일까지 방송분은 11대 진행자였던 오현정이 임시로 진행을 맡았다. 다만 진양혜는 1회분만 임시로 진행을 맡았고, 공식적으로 가족오락관 진행자로 선정된 적이 없기 때문에 역대 진행자에는 등록되지 않는다.
  11. KBS 아나운서 입사 시절부터 진행했으며, 2TV의 이후 최종 종영한 도전! 골든벨과 같이 진행하여 물러날때 까지 가족오락관 최장 기간 여자 진행자 타이틀을 차지하였다.(4년간 진행) 1999년 7월 21일 ~ 7월 28일 방송분은 KBS 파업으로 인해 12대 진행자였던 오영실 前 아나운서가 임시로 진행을 맡았다.
  12. 현재 1라디오 《함께하는 세상》 MC
  13. 언론인 부부로 인해 교수인 왕상한과 함께 결혼하였다.
  14. 현재 3라디오 《명사들의 책읽기》 여자 MC
  15. 개인 사정으로 2003년 4월 26일 방송분은 14대 진행자였던 변우영 아나운서가 임시로 진행을 맡았다.
  16. 현재 2TV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3번 이상 여자 재진행 MC
  17. 현재 1라디오 KBS 뉴스월드 (라디오 프로그램) DJ, 현재 아침마당 여자 7번째 MC 아님
  18. 여자 진행자 중 최단 기간 진행(17회), 장서희, 변우영(각각 18회씩)보다 1회 적게 진행했다.
  19. 2022년 5월 퇴사, 과거 아침마당 여자 새 5번째 이후 정식 이후 이름 부른 곳의 최후의 마지막 여자 MC
  20. 현재 사랑의 가족 여자 MC, 아침마당 임시 여자 MC 3년 7개월 만에 임시 여자 MC의 이름 불렀음, 6시 내고향 8128회 특집 임시 여자 MC 마지막
  21. 축구선수 김남일의 부인
  22. 현재 동행 내레이션

참조주

편집
  1. 공종식 (2010년 3월 15일). “[Interview] ‘가족오락관’ 26년 MC ‘대한민국 오락부장’ 허참”. 신동아. 
  2. KBS 1TV의 2000년 가을 개편으로 인하여 방송채널 및 최장기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했다.
  3. KBS 1TV의 가을개편 늦은 개편으로 인하여 1시간 10분 늦춰 방송시간이 변경했다.
  4. KBS 1TV의 봄철 편성조정으로 인하여 최종 종영할 때 까지 방송시간이 변경했다.
  5. 직종을 변경하여 전직한 전환 포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