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카미가하라시

가카미가하라시(일본어: 各務原市, かかみがはらし)는 일본 기후현 남부의 이다.

各務原市
かかみがはらし

가카미가하라시

Flag of Kakamigahara Gifu.svg

Emblem of Kakamigahara, Gifu.svg

가카미가하라 시기
가카미가하라 시장
나라일본의 기 일본
지방중부지방, 도카이지방
도도부현기후현
시정촌코드21213-0
면적87.81km2
총인구142,830명[편집]
(추계인구, 2023년 2월 1일)
인구밀도1,627명/km2
시목소나무속
시화진달래속
가카미가하라시청
시장아사노 켄지(浅野 健司)
소재지(〒504-8555)
기후현 가카미가하라시 那加桜町 1초메 69번지
북위 35° 23′ 55.7″ 동경 136° 50′ 54.3″ / 북위 35.398806° 동경 136.848417°  / 35.398806; 136.848417
가카미가하라 시 동사무소
웹사이트가카미가하라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Kakamigahara in Gifu Prefecture Ja.svg
v  d  e  h

노비 평야의 북부에 위치하고, 나카센도슈쿠바로 번성했다. 최근에는 나고야시기후시의 베드타운으로 발전했다. 북부에서 동부로 산지가 뻗어 있으며, 남부에 기소 강이 흐르고(아이치현과의 경계를 이룬다) 일본의 라인강이라 불리는 그 웅대한 광경은 "일본 라인"이라고 불린다.

지리편집

북부에서 동부로 걸쳐 산지가 퍼져있으며 남부를 기소 강이 흐른다(아이치현과의 현 경계를 이룬다). 시의 대부분에는 가카미가하라 대지가 퍼져있고 배수가 양호한 토양으로 벼농사에는 적합하지 않아 메이지 시대까지는 대부분이 원야였다. 메이지 이후에는 이러한 광대한 원야와 배수가 양호한 토양을 살리는 형태로 군사기지나 연습장, 일찍이 기후 대학의 농학부와 공학부가 두어져 기계와 방적 공장, 적은 물로 성장하는 인삼 등의 생산이 주산업이 되었다.

인접한 자치체편집

역사편집

  • 1963년 4월 1일 : 이나바 군 나카 정, 이나하 정, 우누마 정, 소하라 정이 합병해 가카미가하라 시가 탄생하였다.
  • 1969년 : 아이기 대교가 완성되었다.
  • 1986년 3월 5일 : 도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의 기후카카미가하라 IC~미노 IC간이 개통하였다.
  • 2004년 11월 1일 : 하시마군 가와시마 정을 편입하였다.

교통편집

도로편집

다리편집

철도편집

인구편집

연도별 인구
연도인구±%
1970 76,595—    
1975 91,991+20.1%
1980 114,036+24.0%
1985 123,446+8.3%
1990 129,852+5.2%
1995 133,933+3.1%
2000 135,044+0.8%
2005 148,315+9.8%
2010 149,704+0.9%
2016 148,490−0.8%
출처: city's official website

자매 도시편집

지역 & 국가 도시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2003년 10월 31일)
  일본   후쿠이현   쓰루가시(1989년 10월 2일)

호칭에 대한 혼란편집

이 시(市) 호칭 및 표기가 아직 통일되지 않았다. 시(市)는 공식으로 '가카미가하라(各務原)'라고 정했으나 공공기관조차 통일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도카이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에 있는 가가미가하라역(各務ヶ原駅)은 작은 가타카나 ''가 들어가며 고등학교 호칭은 '가카미하라'이다.

이 시민들이나 주변 자치체 시민들도 옳은 호칭인 가카미가하라뿐만이 아니라 가가미가하라, 가카미하라, 가가미하라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