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쿠타니 사상

수학과 경제학에서 가쿠타니 사상([角谷]寫像, 영어: Kakutani map)은 고정점을 가지게 되는 특별한 성질을 갖는, 정의역멱집합공역으로 갖는 함수이다.

정의 편집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함수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가쿠타니 사상이라고 한다.[1]:166, Definition 7.8.1 (여기서  멱집합을 뜻한다.)

  •  에 대하여,  는 공집합이 아니며, 콤팩트 집합이며, 볼록 집합이다.
  • 열린집합  에 대하여,   열린집합이다.

가쿠타니 사상  고정점은 (만약 존재한다면)  가 성립하는 점  이다.

성질 편집

가쿠타니(-글릭스버그-판) 고정점 정리([角谷]-Glicksberg-[樊]固定點定理, 영어: Kakutani(–Glicksberg–Fan) fixed-point theorem)에 의하면, 다음이 성립한다.[1]:169, Theorem 7.8.6

실수 하우스도르프 국소 볼록 공간   속의, 공집합이 아닌, 콤팩트 볼록 집합   위의 임의의 가쿠타니 사상  은 고정점을 갖는다.

샤우데르 고정점 정리(영어: Schauder fixed-point theorem)에 의하면, 다음이 성립한다.[1]:168, Theorem 7.8.4

실수 노름 공간   속의, 공집합이 아닌, 볼록 집합   위의 임의의 가쿠타니 사상  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콤팩트 집합이라면,  는 고정점을 갖는다.

(이 경우, 정의역이 콤팩트 집합일 필요가 없다.)

편집

임의의 실수 하우스도르프 위상 벡터 공간  의 부분 집합   위의 연속 자기 함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가 가쿠타니 사상이다.
  •  연속 함수이다.

특히, 만약  가 추가로 실수 하우스도르프 국소 볼록 공간이며  가 공집합이 아닌 콤팩트 볼록 집합일 때, 가쿠타니-글릭스버그-판 고정점 정리에 의하여, 만약  연속 함수라면   가 존재한다. 이 특수한 경우를 브라우어르-샤우데르-티호노프 고정점 정리(Brouwer-Schauder-Тихонов固定點定理, 영어: Brouwer–Schauder–Tychonoff fixed point theorem)라고 한다.

반례 편집

 
원소의 상이 볼록 집합이 아닐 때, 가쿠타니 고정점 정리의 반례. 함수  의 그래프는 검은 선으로 표시되었다. 그래프가 대각선(붉은 점선)과 교차하지 않으므로, 이는 고정점을 갖지 않는다.

가쿠타니-글릭스버그-판 고정점 정리에서, 모든 원소의 볼록 집합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생략한다면 이 정리는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함수를 생각하자.

 

이는  에서  닫힌집합이지만 볼록 집합이 아니며, 고정점을 갖지 않는다.

응용 편집

가쿠타니 고정점 정리는 수리 경제학게임 이론에 응용된다. 특히, 내시 평형의 존재를 가쿠타니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역사 편집

1904년에 피에르스 볼(라트비아어: Piers Bohl, 1865~1921)이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대한 브라우어르-샤우데르-티호노프 고정점 정리를 증명하였다.[2] 1910년에 라위트전 브라우어르자크 아다마르[3]는 독자적으로 임의의 유한 차원에 대한 브라우어르-샤우데르-티호노프 정리를 증명하였다.

1930년에 율리우시 샤우데르가 브라우어르-샤우데르-티호노프 고정점 정리를 임의의 실수 바나흐 공간의 경우에 대하여 일반화하였으며,[4] 1935년에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티호노프가 이를 임의의 국소 볼록 공간에 대하여 추가로 일반화하였다.[5]

가쿠타니 시즈오가 1941년에 유한 차원의 경우에 대한 가쿠타니(-글릭스버그-판) 고정점 정리를 증명하였다.[6] 이후 어빙 레너드 글릭스버그(영어: Irving Leonard Glicksberg)[7]:171와 판지(중국어: 樊⿰土畿, 병음: Fán Jí, 한자음: 번기, 영어: Ky Fan, 1914~2010)[8]:Theorem 1가 이를 임의의 국소 볼록 공간에 대하여 일반화하였다.

켄 빈모어(영어: Ken Binmore)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저서에 수록하였다.

언젠가 일본의 수학자 가쿠타니가 내게 왜 자신의 강의에 수많은 경제학자들이 참석하였는지 물었다. 나는 그가 가쿠타니 고정점 정리 때문에 유명인이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는데, 가쿠타니는 다음과 같이 되물었다. “가쿠타니 고정점 정리가 뭡니까?”
A long time ago, the Japanese mathematician Kakutani asked me why so many economists had attended the lecture he had just given. When I told him that he was famous because of the Kakutani fixed-point theorem, he replied, “What is the Kakutani fixed-point theorem?”

 
[9]:256, §8.3

참고 문헌 편집

  1. Granas, Andrzej; James, Dugundji (2003). 《Fixed point theory》.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doi:10.1007/978-0-387-21593-8. ISBN 978-0-387-00173-9. ISSN 1439-7382. 
  2. Bohl, Piers (1904). “Über die Bewegung eines mechanischen Systems in der Nähe einer Gleichgewichtslage”.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독일어) 127 (3–4): 179–276. doi:10.1515/crll.1904.127.179. ISSN 0075-4102. 
  3. Hadamard, Jacques (1910). 〈Note sur quelques applications de l’indice de Kronecker〉. 《Introduction à la théorie des fonctions d’une variable. Tome deuxième. Intégrales définies, développements en série. Langage géométrique, fonctions de variables imaginaires》 (프랑스어) 2판. Librarie scientifique A. Hermann & fils. 436–477쪽. 
  4. Schauder, J. (1930). “Der Fixpunktsatz in Funktionalräumen” (PDF). 《Studia Mathematica》 (독일어) 2: 171–180. ISSN 0039-3223. 
  5. Tychonoff, Andrey (1935). “Ein Fixpunktsatz”.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111: 767–776. doi:10.1007/BF01472256. 
  6. Kakutani, Shizuo (1941). “A generalization of Brouwer's fixed point theorem”. 《Duke Mathematical Journal》 (영어) 8 (3): 457–459. doi:10.1215/S0012-7094-41-00838-4. MR 4776. Zbl 0061.40304. 
  7. Glicksberg, Irving L. (1952). “A further generalization of the Kakutani fixed point theorem, with application to Nash equilibrium”.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3 (1): 170–174. doi:10.2307/2032478. JSTOR 2032478. 
  8. Fan, Ky (1952). “Fixed-point and minimax theorems in locally convex topological linear spac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영어) 38 (2): 121–126. doi:10.1073/pnas.38.2.121. PMC 1063516. PMID 16589065. 
  9. Binmore, Ken (2007). 《Playing for real: a text on game theor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