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스크리트어: mātsarya, 팔리어: macchariya, 영어: stinginess, avarice, miserliness)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과 제3권에 따르면, (慳)은 심비린(心鄙吝) 즉 추한 아낌마음작용이다. 마음으로 하여금 비루하게 인색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또는 비루하게 인색마음이다.[6][7][8][9] 비루(鄙陋)는 마음이 고상하지 못하고, 하는 짓이 천한 것이고,[10] 인색(吝嗇)은 아끼는 태도가 몹시 지나친 것이다.[11]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에 따르면, (慳)은 재시(財施)와 법시(法施)의 보시(布施)를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이익 되게 하는 것에 반대되는 마음작용심인착(心吝著)이다. 즉,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재물이나 교법[法]에 대해 인색(吝嗇)하게 하며 현재 가진 재물이나 교법[法]에 집착(執著, 執着: 늘 마음이 쏠려 잊지 못하고 매달림[12][13][14])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15][16][17]

참고 문헌 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1. 星雲, "".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 9결(九結)
    "結: (一)梵語 bandhana 或 sajyojana。又作結使。即使煩惱。結,為繫縛之義;蓋煩惱繫縛眾生於迷境,令不出離生死之苦,故有此異稱。諸經論所說結之類別有多種,略舉如下:... (五)九結。雜阿含經卷十八、阿毘達磨發智論卷三、辯中邊論卷上等列舉愛、恚、慢、無明、見、取、疑、嫉、慳等九種煩惱為九結。此係六種根本煩惱(將「見」分身、邊、邪三見,稱為見結;見取見與戒禁取見合併為取結)加上嫉結、慳結,而成九結。大毘婆沙論卷五十說九結之體(自性)共有一百種。〔雜阿含經卷三十二、大毘婆沙論卷四十六、卷四十九、成實論卷十雜煩惱品、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參閱「九結」、「四結」) "
  2. 星雲, "".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3. 운허, "慳(간)".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4. 星雲, "".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5. 운허, "嫉(질)".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6.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b26 - T26n1542_p0693b27. 간결(慳結)
    "慳結云何。謂心鄙吝。"
  7.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7 / 448. 간결(慳結)
    "간결(慳結)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비루하고 인색한 것이다."
  8.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b14 - T26n1542_p0700b15. 간(慳)
    "慳云何。謂心鄙吝。"
  9.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7 / 463. 간(慳)
    "간(慳)은 무엇인가? 마음이 비루하고 인색한 것이다."
  10. "鄙陋[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
    "鄙陋: 마음이 고상(高尙)하지 못하고, 하는 짓이 천함. 卑陋(비루)와 동의어."
  11. "인색(吝嗇)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12. "집착(執着)",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13. 운허, "繫著(계착)".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14. 星雲, "".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15. 권오민 2003, 69–81쪽.
  16.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1권. p. T29n1558_p0109b24 - T29n1558_p0109b25. 간(慳)
    "慳謂財法巧施相違令心吝著。"
  1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1권. p. 954 / 1397. 간(慳)
    "'간(慳)'이란, 이를테면 재시(財施)·법시(法施)의 교시(巧施 : 타인에게 보시하여 이익을 주는 것)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인색하여 집착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