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돌림신경
가쪽곧은근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뇌신경
갓돌림신경(abducens nerve, abducent nerve) 또는 외전신경(外轉神經), 제6뇌신경 (sixth cranial nerve, cranial nerve VI, CN VI)은 인간과 많은 다른 동물들의 가쪽 응시를 책임지는 바깥눈근육 중 하나인 가쪽곧은근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뇌신경이다. 갓돌림신경은 몸신경계에 속하는 날신경이다.
갓돌림신경 | |
---|---|
정보 | |
기원 | 갓돌림신경핵 |
분포 구조 | 가쪽곧은근 |
식별자 | |
라틴어 | nervus abducens |
영어 | abducens nerve |
MeSH | D000010 |
NeuroNames | 550 |
TA98 | A14.2.01.098 |
TA2 | 6283 |
FMA | 50867 |
구조
편집갓돌림신경은 뇌줄기, 특히 다리뇌과 숨뇌의 이음부에서 시작되는데[1] 이 지점은 숨뇌피라미드의 위쪽이며[2] 얼굴신경의 안쪽이다. 여기서 갓돌림신경은 위앞쪽으로 주행하여 눈에 이른다.
뇌줄기에서 시작될 때 갓돌림신경은 거미막밑공간, 보다 정확히는 다리뇌수조로 들어간다.[2] 다리뇌와 비스듬틀 사이를 위쪽으로 지나간 뒤에는 경막을 뚫고 도렐로관을 통해 경막과 머리뼈 사이를 주행한다.[3][4] 관자뼈 바위부분의 꼭대기에서, 갓돌림신경은 급격하게 앞쪽으로 꺾여 해면정맥굴로 들어간다.[1] 해면정맥굴에서는 속목동맥의 아래가쪽에 위치하며, 속목동맥과 함께 앞쪽으로 주행한다. 눈확으로 들어갈 때는 위눈확틈새의 안쪽 끝을 통해 진입하며, 온힘줄고리를 지나 눈의 가쪽곧은근에 이르러 이 근육을 지배한다.[2]
기능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Susan Standring; Neil R. Borley; 외., 편집. (2008).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0판.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666-7쪽. ISBN 978-0-8089-2371-8.
- ↑ 가 나 다 Chummy S. Sinnatamby (2011). 《Last's anatomy: regional and applied》 12판. Edinburgh. ISBN 978-0-7020-4839-5. OCLC 764565702.
- ↑ Umansky, Felix; Elidan, Josef; Valarezo, Alberto (1991년 8월 1일). “Dorello's canal: a microanatomical study”. 《Journal of Neurosurgery》 (미국 영어) 75 (2): 294–298. doi:10.3171/jns.1991.75.2.0294. PMID 2072168.
- ↑ Özveren, Mehmet Faik; Erol, Fatih Serhat; Alkan, Alpay; Kocak, Ayhan; Önal, Cagatay; Türe, Uğur (2007년 2월 1일). “Microanatomical Architecture of Dorello's Canal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Operative Neurosurgery》 60 (suppl_2): ONS1–7; discussion ONS7–8. doi:10.1227/01.neu.0000249229.89988.4d. ISSN 2332-4252. PMID 17297359. S2CID 36731926.
외부 링크
편집- hier-541 - NeuroNames
- 로욜라 대학교의 MedEd GrossAnatomy/h_n/cn/cn1/cn6.htm
- Animations of extraocular cranial nerve and muscle function and damage (University of Liverpool)
- cranialnerves Wesley Norman의 The Anatomy lesson (조지타운 대학교) (VI)
이 글은 인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