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간 문화

강간이 만연하고 정상화된 사회

강간 문화강간사회적 성섹슈얼리티에 대한 사회적 태도에 따라 퍼지고 정상화 된다는 사회학적 개념이다.[1][2] 일반적으로 강간 문화와 관련되는 행동에는 피해자 비난, 슬럿 셰이밍, 성적 대상화, 강간의 일반화, 강간이 널리 퍼져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것, 성폭력이 끼치는 해악을 인정하길 거부하는 것, 혹은 이것들의 결합이 있다.[3][4] 강간 문화라는 용어는 특정한 사회 그룹 내의 행동을 묘사하고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를테면 전시 강간심리적 전쟁으로 활용되는 분쟁지역과 감옥 강간 등이 그 예시다. 또한 전 사회적으로도 강간 문화가 널리 퍼졌다고 추정된다.[5][6][7][8][9]

100,000 인구당 강간 통계(경찰 신고), 2010–2012

탄생과 용법 편집

"강간 문화"라는 용어는 1970년대 제2세대 여성주의에서 만들어진 용어로, 이후 현대 미국 문화 전체에 수용되었다.[10] 1970년대에 그들은 강간에 대해 대중에게 널리 퍼뜨리기 위해 노력했다. 당시 한 심리학자의 말에 따르면 이전까지의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강간, 근친 상간 및 배우자 폭행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11] 강간 문화의 개념은 강간이 미국 문화에 만연해있고, 정상적이었으며 남녀 차별주의의 극단적인 징후라고 단언했다. 강간은 이전과는 다르게 성범죄보다는 폭행죄로 정의되었으며 성적 욕망보다는 남성 우월주의와 협박, 그리고 성차별주의적 측면으로 집중되었다.[12][13][14] 강간은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의 임장에서 재검토되기 시작했다.[13]

이 용어가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1974년에 노린 코넬과 캐산드라 윌슨에 의해 공저된 《Rape: The First Sourcebook for Women》이다.[15] 이것은 수잔 브라운밀러(Susan Brownmiller)의 1975년에 출판된 《우리의 의지에 반하여(Against Our Will: Men, Women and Rape)》과 더불어 최초의 피해자 시점의 1인칭 저서이다.

사회학자 교수 조이스 윌리엄스(Joyce E. Williams)는 1975년 Rape Culture라는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강간 문화'라는 용어의 탄생과 최초의 용례를 추적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여러 가지 매체에서 더 널리 쓰이는 용어가 되었다. 특히 최근 여성주의적 활동이 활발해지며 용어의 쓰임이 다양화되었다.

각주 편집

  1. Olfman, Sharna (2009). 《The Sexualization of Childhood》. ABC-CLIO. 9쪽. 
  2. Flintoft, Rebecca (October 2001). John Nicoletti; Sally Spencer-Thomas; Christopher M. Bollinger, 편집. 《Violence Goes to College: The Authoritative Guide to Prevention and Intervention》. Charles C Thomas. 134쪽. ISBN 978-0398071912. 
  3. Herman, Dianne F. "The Rape Culture Archived 2019년 6월 16일 - 웨이백 머신". Printed in Women: A Feminist Perspective (ed. Jo Freeman). McGraw Hill, 1994. Retrieved 18 October 2011.
  4. Attenborough, Frederick (2014). “Rape is rape (except when it's not): the media, recontextualisation and violence against women”. 《Journal of Language Aggression and Conflict》 2 (2): 183–203. doi:10.1075/jlac.2.2.01att. 
  5. Sommers, Christina Hoff. “Researching the "Rape Culture" of America”. 2012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4일에 확인함. 
  6. Rozee, Patricia. “Resisting a Rape Culture”. Rape Resistance. 2013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1일에 확인함. 
  7. Steffes, Micah (January 2008). “The American Rape Culture”. High Plains Reader. 2012년 1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1일에 확인함. 
  8. Maitse, Teboho (1998). “Political change, rape, and pornography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Gender & Development》 6 (3): 55–59. doi:10.1080/741922834. ISSN 1355-2074. PMID 12294413. 
  9. Baxi, Upendra (August 2002). “THE SECOND GUJARAT CATASTROPHE”.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37 (34): 3519–3531. JSTOR 4412519. 
  10. Smith, Merril D. (2004). 《Encyclopedia of Rape》 1판.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174쪽. ISBN 978-0-313-32687-5. 
  11. Review of Against Our Will: Men, Women, and Rape quoted in Rutherford, Alexandra (June 2011).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Putting Rape Research in Context”.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5 (2): 342–347. doi:10.1177/0361684311404307. 2016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15일에 확인함. 
  12. Brownmiller, Susan. Against Our Will: Men, Women and Rape. Ballantine, 1975. Print ISBN 978-0449908204
  13. Maschke, Karen J. The Legal Response to Violence against Women. New York: Garland Pub., 1997. ISBN 9780815325192
  14. Chasteen, Amy L. (April 2001). “Constructing rape: Feminism, change, and women's everyday understandings of sexual assault”. 《Sociological Spectrum》 21 (2): 101–139. doi:10.1080/02732170121403. 
  15. New York Radical Feminists; Noreen Connell; Cassandra Wilson (1974년 10월 31일). 〈3〉. 《Rape: the first sourcebook for women》. New American Library. 105쪽. ISBN 9780452250864. 2012년 5월 14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