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대한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중 최고등급인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을 받은 사람들을 다룬 문서이다.

개요 편집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은 대한민국〈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건국훈장 중 최고등급이다.[1] 건국훈장은 1949년 4월 27일에 대통령령 〈건국공로훈장령〉이 공포되면서 제정되었다. 1963년 12월 14일에 각종 상훈 관계 법령을 통합한 〈상훈법〉이 제정되면서 〈건국공로훈장령〉은 폐지되었다. 건국훈장이 과거에는 중장(重章), 복장(複章), 단장(單章)의 3등급으로 나누어 수여하다가 1990년에 〈상훈법〉이 개정되면서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의 5등급이 되었다.

역사 편집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로서 최초의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은 1949년 8월 15일에 중앙청에서 거행된 건국공로자 표창식에서 대통령 이승만과 부통령 이시영에게 수여되었다.[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2017년 1월까지 대한민국장을 수여받은 사람은 국내외의 59인[3]이지만, 그 중 대한민국 독립유공자는 30인이다. 그 중 대한민국 국적자는 25인이고 중화민국인이 5인이다. 2017년 1월 7일 현재 독립유공자로 건국훈장을 수여받은 사람은 대한민국장 30명, 대통령장 93명, 독립장 806명, 애국장 3,886명, 애족장 5,016명 등 총 9,831명이다.

2009년 12월 최규식 민주당 의원을 통해 행정안전부에서 입수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여 및 반납, 취소내역'에 따르면 여운형이 제60호 훈장장을 받았고 전두환에 대한 서훈이 2006년 3월 28일 취소되었다.[4]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유관순 열사를 1962년 추서된 독립장에서 최고 등급 건국훈장인 대한민국장으로 승격 추서하였고[5], 2021년에는 봉오동 전투에서 크게 활약하였던 홍범도 장군 역시 1962년에 추서된 대통령장에서 대한민국장으로 승격 추서하였다.

수훈자 목록 편집

순번[6] 성명 연도 수여일 국적 변동
1 이승만 1949년 8월 15일   대한민국
2 이시영 1949년 8월 15일   대한민국
3 제임스 밴 플리트 1953년 1월 28일   미국
4 장제스 1953년 11월 25일   중화민국
5 하일레 셀라시에 1세 1955년 11월 2일   에티오피아 제국
6 아드난 멘데레스 1958년 4월 26일   튀르키예
7 응오딘지엠 1957년 9월 21일   남베트남
8 허위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9 김좌진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10 오동진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11 조병세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12 안중근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13 윤봉길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14 이준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15 강우규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16 김구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17 안창호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18 신익희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19 김창숙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20 손병희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21 이승훈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22 한용운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23 최익현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24 이강년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25 민영환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26 더글러스 맥아더 1964년 12월 8일   미국
27 해리 트루먼 1964년 12월 8일   미국
28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1964년 12월 8일   서독
29 프랑수아 톰발바예 1965년 2월 5일   차드
30 다비드 다코 1965년 2월 5일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31 수루 미강 아피티 1965년 2월 5일   다오메 공화국
32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1965년 2월 5일   세네갈
33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1965년 2월 5일   코트디부아르
34 레온 음바 1965년 2월 5일   가봉
35 아마두 아히조 1965년 2월 5일   카메룬
36 하마니 디오리 1965년 2월 5일   니제르
37 조모 케냐타 1965년 2월 5일   케냐
38 무테사 2세 1965년 2월 5일   우간다
39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1965년 3월 21일   마다가스카르
40 퉁쿠 압둘 라흐만 푸트라 알 하즈 1965년 4월 29일   말레이시아
41 타놈 끼띠카쫀 1966년 2월 4일   태국
42 쑹메이링 1966년 2월 7일   중화민국
43 천궈푸 1966년 2월 10일   중화민국
44 쑨원 1968년 12월 1일   중화민국
45 천치메이 1968년 12월 1일   중화민국
46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1969년 2월 13일   엘살바도르
47 조만식 1970년 8월 15일   대한민국
48 임병직 1976년 9월 21일   대한민국
50 서재필 1977년 12월 13일   미국
51 박정희 1979년 11월 3일   대한민국
52 최규하 1980년 9월 29일   대한민국
53 시리낏 끼띠야꼰 1981년 7월 3일   태국
54 푸미폰 아둔야뎃 1981년 7월 3일   태국
55 전두환 1989년 3월 11일   대한민국 2006년 서훈 취소
56 김규식 1989년 3월 1일   대한민국
57 조소앙 1989년 3월 1일   대한민국
58 장면 1999년 8월 27일   대한민국
59 여운형 2008년 2월 21일   대한민국
60 유관순 2019년 3월 1일   대한민국
61 홍범도 2021년 8월 17일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편집

순번 성명 생년 몰년 출생지 운동계열 연도 수여일 국적 출처 비고
1 이승만 1875 1965 황해 평산 임시정부 1949년 8월 15일   대한민국 이승만 자신의 대통령 임기 중 수여
2 이시영 1869 1953 서울 임시정부 1949년 8월 15일   대한민국 이시영
3 장제스 1887 1975 중국 저장성 독립지원 1953년 11월 25일   중화민국 장개석 장개석
4 허위 1854 1908 경북 선산 의병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허위
5 김좌진 1889 1930 충남 홍성 만주방면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김좌진
6 오동진 1889 1944 평북 의주 정의부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오동진
7 조병세 1827 1905 경기 가평 순절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조병세
8 안중근 1879 1910 황해 해주 의열투쟁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안중근
9 윤봉길 1908 1932 충남 예산 의열투쟁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윤봉길
10 이준 1859 1907 함남 북청 해아밀사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이준
11 강우규 1855 1920 평남 덕천 의열투쟁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강우규
12 김구 1876 1949 황해 해주 임시정부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김구
13 안창호 1878 1938 평남 강서 임시정부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안창호
14 신익희 1894 1956 경기 광주 임시정부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신익희
15 김창숙 1879 1962 경북 성주 임시정부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김창숙
16 손병희 1861 1922 충북 청주 3.1운동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손병희
17 이승훈 1864 1930 평북 정주 3.1운동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이승훈
18 한용운 1879 1944 충남 홍성 3.1운동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한용운
19 최익현 1834 1907 경기 포천 의병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최익현
20 이강년 1858 1908 경북 문경 의병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이강년
21 민영환 1861 1905 서울 순절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민영환
22 쑹메이링 1897 2003 중국 광둥성 독립지원 1966년 2월 7일   중화민국 송미령 송미령
23 천궈푸 1892 1951 중국 저장성 독립지원 1966년 2월 10일   중화민국 진과부 진과부
24 쑨원 1866 1925 중국 광둥성 임정지원 1968년 12월 1일   중화민국 손문 손문
25 천치메이 1878 1916 중국 저장성 독립지원 1968년 12월 1일   중화민국 진기미 진기미
26 조만식 1883 1950 평남 평양 교육언론 1970년 8월 15일   대한민국 조만식
27 임병직 1893 1976 충남 부여 미주방면 1976년 9월 21일   대한민국 임병직
28 서재필 1864 1951 전남 보성 독립협회 1977년 12월 13일   미국 서재필
29 김규식 1881 1950 부산 동래 임시정부 1989년 3월 1일   대한민국 김규식
30 조소앙 1887 1958 경기 파주 임시정부 1989년 3월 1일   대한민국 조소앙 조용은
31 여운형 1885 1947 경기 양평 임시정부 2008년 2월 21일   대한민국 여운형
32 유관순 1902 1920 충남 천안 3.1운동 2019년 3월 1일   대한민국 유관순
33 홍범도 1868 1943 평남 평양 만주방면 2021년 8월 17일   대한민국 홍범도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편집

각주 편집

  1. “법률 제11393호 〈상훈법〉”. 국가법령정보센터.
  2. 동아일보. 1949년 8월 16일자
  3. 훈장증이 제60호까지 발급되었지만 전두환은 2006년 서훈이 취소되었고, 장면여운형은 1999년과 2008년 각각 대한민국장을 수훈하였다지만 2017. 1. 4. 현재 국가보훈처의 대한민국장 수훈자 명단에는 없다.
  4. “[사회]훈장 수훈이 개인정보? “공개 불가” 황당”. 《주간경향》. 2010년 1월 6일. 
  5. “정부, 유관순 열사에 최고 등급 ‘대한민국장’ 추가 서훈”. 2019년 2월 26일. 
  6. 훈장 수훈자 명부의 훈기번호(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제O호)가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