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지사 선거는 경기도의 도지사를 선출하는 선거이다.
역대 민선 경기도지사편집역대 선거 결과편집
196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편집
1960년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에서 신광균 후보가 경기도지사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5.16 군사 정변 이후 경기도지사는 다시 관선으로 선출하도록 바뀌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경기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5,043,054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인제 |
민주자유당 |
1,264,914표 |
|
당선 |
|
|
장경우 |
민주당 |
923,069표 |
|
|
|
|
임사빈 |
무소속 |
613,624표 |
|
|
|
|
김문원 |
자유민주연합 |
316,637표 |
|
|
|
합계
|
3,118,244표 |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경기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5,800,425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임창열 |
새정치국민회의 |
1,549,189표 |
|
당선 |
|
|
손학규 |
한나라당 |
1,303,340표 |
|
|
|
합계
|
2,852,529표 |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경기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6,777,575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손학규 |
한나라당 |
1,744,291표 |
|
당선 |
|
|
진념 |
새천년민주당 |
1,075,243표 |
|
|
|
|
김준기 |
민주노동당 |
168,357표 |
|
|
|
합계
|
2,987,891표 |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경기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7,918,828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김문수 |
한나라당 |
2,181,677표 |
|
당선 |
|
|
진대제 |
열린우리당 |
1,124,317표 |
|
|
|
|
김용한 |
민주노동당 |
201,106표 |
|
|
|
|
박정일 |
민주당 |
148,409표 |
|
|
|
합계
|
3,655,509표 |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경기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8,761,840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김문수 |
한나라당 |
2,271,492표 |
|
당선 |
|
|
유시민 |
국민참여당 |
2,079,892표 |
|
|
|
합계
|
4,351,384표 |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경기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9,679,317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남경필 |
새누리당 |
2,524,981표 |
|
당선 |
|
|
김진표 |
새정치민주연합 |
2,481,824표 |
|
|
|
합계
|
5,006,805표 |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경기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10,533,027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
3,370,621표 |
|
당선 |
|
|
남경필 |
자유한국당 |
2,122,433표 |
|
|
|
|
김영환 |
바른미래당 |
287,504표 |
|
|
|
|
이홍우 |
정의당 |
151,871표 |
|
|
|
|
홍성규 |
민중당 |
43,098표 |
|
|
|
합계
|
5,975,527표 |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경기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11,497,206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김동연 |
더불어민주당 |
2,827,593표 |
|
당선 |
|
|
김은혜 |
국민의힘 |
2,818,680표 |
|
|
|
|
강용석 |
무소속 |
54,758표 |
|
|
|
|
황순식 |
정의당 |
38,525표 |
|
|
|
|
송영주 |
진보당 |
13,939표 |
|
|
|
|
서태성 |
기본소득당 |
9,314표 |
|
|
|
합계
|
5,762,809표 |
|
---|
같이 보기편집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