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선
경부고속선(京釜高速線)은 경부선 금천구청역과 부산역을 잇는 국가철도공단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경부고속철도의 전용 선로이다. 광명시 소하동에서 부산역까지의 경부고속선 본선 이외에 금천구청역에서 광명시 소하동까지의 시흥연결선 등 4개 연결선으로 구성되었다. 향후 수색역에서 금천구청역까지 구간의 노선 신설과 평택연결선에서 오송역까지 복복선화하는 사업이 추진되며, 국토교통부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 기본계획에 반영되어 있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경부고속선 | |
---|---|
경부고속본선 광명역 | |
![]() 경부고속선의 위치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종류 | 간선철도 (고속철도)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시흥연결선 (경부고속선) (서울특별시 금천구) |
종점 | 부산역 (부산광역시 동구) |
역 수 | 9 |
노선 번호 | 101 |
개통일 | 1단계(서울 ~ 동대구): 2004년 4월 1일 2단계(동대구 ~ 부산): 2010년 11월 1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SR[내용주 1]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본선: 346.4 km 시흥연결선: 1.5 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2 (쌍단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
신호 방식 | TVM430 |
영업 최고 속도 | 300 km/h |
설계 최고 속도 | 430 km/h (동대구~부산 350 km/h) |
노선 정보편집
연혁편집
- 2004년 4월 1일 : 시흥연결선~대구북연결선 간 개통[1]
- 2010년 8월 26일 : 대구북연결선~부산연결선 간 및 오송역, 김천(구미)역 철도거리표 등재[2]
- 2010년 11월 1일 : 대구북연결선~부산연결선 간 및 오송역, 김천(구미)역 개통[3]
- 2015년 2월 24일 : 건천연결선 사용개시 고시[4]
- 2015년 4월 2일 : 건천연결선 개통
- 2015년 7월 6일 : 대전·대구도심구간 사용개시 고시[5]
- 2015년 8월 1일 : 대전·대구도심구간 개통
- 2021년 11월 24일 : 대전북연결선 착공[6]
- 2022년 3월 31일 : 서대구역 영업 개시[7][8]
운영편집
운행편집
차량편집
운행 차량편집
역 목록편집
- 영업 거리는 실제 거리와는 차이가 있다.
역명 | 한자 | 로마자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 경부선 금천구청역 방면 | ||||||||||
시흥연결선 (경부고속선) |
- | 시흥연결선 | 0.0 | 0.0 | 경기도 | 광명시 | ||||
광명 | 光明 | Gwangmyeong | ● 수도권 전철 1호선 | 2.8 | 2.8 | |||||
(분기점) | - | 수서평택고속선 | - | 평택시 | ||||||
천안아산 (온양온천) |
天安牙山 (溫陽溫泉) |
Cheonan-Asan (Onyangoncheon) |
장항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아산역) |
74.0 | 76.8 | 충청남도 | 아산시 | |||
오송 | 五松 | Osong | 충북선, 호남고속선 | 28.7 | 105.5 | 충청북도 | 청주시 | |||
(분기점) | - | 호남고속선 | - | |||||||
대전 | 大田 | Daejeon | 경부선, 대전선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 |
35.1 | 140.6 | 대전광역시 | 동구 | |||
김천(구미) | 金泉(龜尾) | Gimcheon(Gumi) | - | 73.8 | 214.4 | 경상북도 | 김천시 | |||
- | (분기점) | 대구북연결선 | - | 경상북도 | 칠곡군 | |||||
서대구 | 西大邱 | Seodaegu | 경부선 | 47.3 | 261.7 | 대구광역시 | 서구 | |||
동대구 | 東大邱 | Dongdaegu | 경부선, 대구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 |
7.4 | 269.1 | 대구광역시 | 동구 | |||
(분기점) | - | 건천연결선 | - | 경상북도 | 경주시 | |||||
신경주[9] | 新慶州 | Singyeongju | - | 49.0 | 316.5 | |||||
울산 (통도사) |
蔚山 | Ulsan | - | 30.0 | 346.5 | 울산광역시 | 울주군 | |||
부산 | 釜山 | Busan | 경부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 |
51.7 | 398.2 | 부산광역시 | 동구 |
주요 교량 및 터널편집
교량 및 터널 구간이 많다.
교량편집
|
터널편집
|
지선편집
경부고속선은 시흥연결선, 대전남연결선, 대구북연결선[내용주 3], 건천연결선 4개의 연결선을 포함해 총 8개의 지선철도가 있으며 이들은 경부고속본선과 같은 규격이고 주변 철도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구간이다. 2015년 8월 1일 대전/대구도심구간 개통과 함께 대전북연결선, 대구남연결선, 부산연결선은 경부고속본선에 통합되고 대전남연결선과 대구북연결선은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단, 대구북연결선의 경우 비상시에는 우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대전남연결선의 경우 영구적인 폐선 대신 레일바이크를 운용할 수 있게끔 하는 사업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있지만 현재까지 옥천군 주민들의 거센 항의에 부딪히고 있어 계획에 차질이 빚어진다.
전체 지선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노선 명칭 | 기점 | 종점 | 연장(km) | 비고 |
---|---|---|---|---|---|
10101 | 시흥연결선 | 금천구청역 | 광명역 | 1.5 | |
10102 | 대전남연결선 | (경부선) | (경부고속선) | 4.2 | 경부선 옥천역 부근에서 분기 |
10103 | 대구북연결선 | (경부선) | (경부고속선) | 3.5 | 경부선 신동역 부근에서 분기 |
10104 | 광명주박기지선 | 광명역 | 광명기지 | 1.4 | |
10105 | 오송정비기지선 | 오송역 | 오송기지 | 0.3 | |
10106 | 영동정비기지선 | (경부고속선) | 영동기지 | 0.1 | 경부선 심천역 부근에서 분기 |
10107 | 건천연결선 | (경부고속선) | 모량역 | 3.3 | 동해선 모량역 부근에서 분기 |
10108 | 화성고속연결선 | (경부고속선) | 어천역 | - | 수인선 어천역 부근에서 분기 |
시흥연결선편집
시흥연결선은 금천구청역과 광명역 사이에 있는 연결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10101이다.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시흥연결선 (경부선) |
경부선 | 0.0 | 0.0 | 서울특별시 | 금천구 |
시흥연결선 (경부고속선) |
경부고속선 | 1.5 | 1.5 | 경기도 | 광명시 |
대전남연결선편집
대전남연결선은 충청북도 옥천군에 있는 연결선이다. 옥천역 방향을 기점으로, 옥천역의 동측에서 경부본선과 경부고속본선을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나 2015년 8월 1일 대전 도심 고속선 개통 이후 영구적으로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이 구간을 레일바이크 사업을 추진하는 구간으로 만들려 하고 있으나 옥천군 주민들의 거센 항의에 부딪혀 차질을 빚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10102이다.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대전남연결선 (경부선) |
경부선 | 0.0 | 0.0 | 충청북도 | 옥천군 |
대전남연결선 (경부고속선) |
경부고속본선 | 4.2 | 4.2 |
대구북연결선편집
대구북연결선은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에 있는 연결선로다. 신동역 방향을 기점으로, 신동역의 남측에서 경부본선과 경부고속본선을 동대구역까지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어 모든 고속열차들이 대구 도심구간 전용선 개통 이전까지 이 연결선으로 출입했다. 2015년 8월 1일에 대구 도심구간 고속전용선이 개통함에 따라 고속열차들이 현 서대구역 부지 지하로 진입해 방천터널을 통해서 나오는 것으로 코스가 변경되면서 한동안 이 연결선이 이용되지 않았으나, 2022년 3월 31일부터 영업을 시작하는 서대구역 정차가 확정된 일부 KTX 및 SRT가 배선상의 이유로 방천터널에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연결선을 다시 이용하게 된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10103이다.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대구북연결선 (경부선) |
경부선 | 0.0 | 0.0 | 경상북도 | 칠곡군 |
대구북연결선 (경부고속선) |
경부고속본선 | 3.5 | 3.5 |
건천연결선편집
건천연결선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연결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10107이며, 포항행 고속열차가 이 선로를 이용한다.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분기점) | 경부고속선 | 0.0 | 0.0 | 경상북도 | 경주시 |
모량 | 동해선 | 3.3 | 3.3 |
화성고속연결선편집
화성고속연결선은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수인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이다. 수인선 어천역에서 분기하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10108이다. 인천발 KTX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 중에 있다.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어천 | 수인선 | 0.0 | 0.0 | 경기도 | 화성시 |
(접속부) | 경부고속선 | - | - |
광명주박기지선편집
역명 | 한자 | 로마자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광명 | 光明 | Gwangmyeong | 경부고속선 | 0.0 | 0.0 | 경기도 | 광명시 |
광명기지 | 1.4 | 1.4 |
오송정비기지선편집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고속선분기 | 경부고속선 | 0.0 | 0.0 | 충청북도 | 청주시 |
오송기지 | 0.3 | 0.3 |
영동정비기지선편집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고속선분기 | 경부고속선 | 0.0 | 0.0 | 충청북도 | 영동군 |
영동기지 | 0.1 | 0.1 |
각주편집
- 내용주
- 참조주
-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2004-5호, 2004년 3월 13일
- ↑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581호, 2010년 8월 26일
- ↑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717호, 2010년 10월 18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87호, 2015년 2월 24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481호, 2015년 7월 6일
- ↑ 대전북연결선 1·2공구 ‘턴키’ 확정 출처: 대한경제
- ↑ 경부선 고속철도 서대구역 31일 정식운영 시작 출처:이코노미스트
- ↑ '서대구역 시대' 활짝…오늘 첫 열차 운행 출처 : SBS 뉴스
- ↑ 중앙선 원주역의 사례로 이름이 바뀔수도 있음
- ↑ KNN, 경부고속철 2단계 개통 특집《부산일보》2010년 11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