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고종
고종(高宗, 1192년 2월 3일 (음력 1월 18일) ~ 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은 고려 제23대 국왕(재위: 1213년 ~ 1259년)이다. 휘는 철(皞), 자는 천우(天祐), 묘호는 고종(高宗), 시호는 안효대왕(安孝大王),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헌왕(忠憲王)이며 능호는 홍릉(洪陵)이다. 강종과 원덕태후 유씨(元德太后 柳氏)의 맏아들이다. 왕비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이다.
![]() 高麗 高宗 | |
---|---|
지위 | |
고려의 제23대 국왕 | |
재위 | 1213년~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 |
전임 | 강종(康宗) |
후임 | 원종(元宗) |
이름 | |
휘 | 왕철(王皞) |
이칭 | 천우(天祐) |
묘호 | 고종(高宗) |
시호 | 안효대왕(安孝大王) |
신상정보 | |
출생일 | 1192년 2월 3일[1] |
출생지 | 고려 개경 |
사망일 | 1259년 7월 21일[2] | (62세)
사망지 | 강화도 유경(柳璥)의 집 |
왕조 | 고려 |
가문 | 개성(開城) |
부친 | 강종(康宗) |
모친 | 원덕왕후(元德王后) |
배우자 | 안혜왕후(安惠王后) |
자녀 | 원종(元宗) 안경공 (安慶公) 수흥궁주(壽興宮主) |
종교 | 불교 |
치세편집
생애편집
강종 1년(1212년)에 태자에 책봉되고, 이듬해 강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 동안의 대부분을 최씨 일가의 무단정치로 인하여 실권을 잡지 못하였으며, 1213년부터 1219년까지 최충헌이 실권하였고 1219년부터 1249년까지 최우가 실권하였으며 1249년부터 1257년까지 최항이 실권하였고 고종 45년(1258년) 최의가 살해됨으로써 4대 60년에 걸친 최씨무신정권이 종식되었지만 왕정복고는 이루어 지지 못하고 류경과 김준이 실권을 맡았다.
몽고의 침략과 9차례의 여몽 전쟁편집
재위 기간 내내 수차례에 걸친 몽고와의 전쟁으로 전국토가 황폐화되었다.
몽고와의 조우편집
고종 6년(1218년) 거란의 침공을 받고 이를 격퇴하면서 몽골의 침입에 대하여는 협약을 맺었다(→강동성 전투). 1225년 몽골 사신 저고여가 귀국 도중 도적에게 피살된 것을 구실로 하여 재침하자 강화조약을 체결하였다. 각지에 몽골의 다루가치(행정 감독관) 72인을 두게 하고, 또 약간의 수비군을 주둔케 했다.
강화도 천도편집
고종 18년(1231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몽골의 침입을 받고 1232년 강화도에 천도하여(→강화천도), 28년간 몽골에 항쟁하였다. 왕의 친조(親朝)와 태자 왕전(王倎)의 볼모를 조건으로 강화가 성립되어, 이후 고려는 사실상 원나라의 속국으로서 공민왕 때까지 굴욕을 겪었다.
고종 22년(1235년) 제3차 침입시, 원은 남송을 공격하는 길에 따로 당올태에게 대군을 주어 다시 고려를 치게 하였다. 원나라는 개주(介州 : 개천)·온수(溫水 : 온양)·죽주(竹州 : 죽산)·대흥(大興 : 예산) 등지에서 큰 타격을 받으면서도 4년간에 걸쳐 전국 각지를 휩쓸었다. 당시 권력집단인 최씨무인정권은 강화도에서만 방위에 힘쓰는 한편 부처의 힘을 빌려 난을 피하고자 《대장경》의 재조(再彫)를 시작하였다.
고종 41년(1254년) 제5차 침입을 받았을 때는 포로가 무려 약 206,820 명이나 되었고(《고려사》), 원나라 황실에 태자의 입조를 약속하였다. 이로써 고려는 사실상 몽골에 굴복했다.
고종 45년(1258년) 동북 지방에 쳐들어 온 몽고군에게 조휘와 탁청이 투항하면서 철령 이북 지역이 몽고의 쌍성총관부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다.
고종은 문화 발전에 힘써,강화도에 대장도감을 설치하고 팔만대장경을 간행케 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특히 팔만대장경은 원나라의 침략을 부처의 힘으로 격퇴하기 위하여 간행하였다. 능은 강화의 홍릉(洪陵)이다.
가계편집
고려 제23대 국왕 | 고종 안효대왕 高宗 安孝大王 |
출생 | 사망 |
---|---|---|---|
1192년 2월 3일 (음력 1월 18일) 고려 개경 정궁 |
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 (67세) 고려 강도 유경(柳璥)의 집 |
부모편집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부 | 강종 康宗 | 1152년 - 1213년 | 명종 明宗 광정태후 김씨 光靖太后 金氏 |
제22대 국왕 |
모 | 원덕왕후 유씨 元德王后 柳氏 원덕태후 元德太后 |
? - 1239년 | 신안후 왕성 信安侯 王珹[3] 창락궁주 昌樂宮主[4] |
왕비편집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안혜왕후 유씨 安惠王后 柳氏 안혜태후 安惠太后 |
? - 1232년 | 희종 熙宗 성평왕후 임씨 成平王后 任氏 |
왕자편집
이름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
1 | 원종 元宗 | 식 禃 | 1219년 - 1274년 | 안혜왕후 유씨 | 정순왕후 김씨 靜順王后 金氏 경창궁주 유씨 慶昌宮主 柳氏 |
제24대 국왕 |
2 | 안경공 安慶公 영종 英宗 |
창 淐 | 생몰년 미상 | 미상 | 임시국왕 |
왕녀편집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
1 | 왕녀[5] | 생몰년 미상 | 미상 | 미상 | |
2 | 수흥궁주 壽興宮主 | 안혜왕후 유씨 | 신양공 新陽公 왕전 王㻇[6] |
고종이 등장한 작품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전임 강종 |
제23대 고려국왕 1213년 ~ 1259년(46년) |
후임 원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