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푸람(산스크리트어: गोपुरम्, 타밀어: கோபுரம் 마라티어: ഗോപുരം, 칸나다어: ಗೋಪುರ, 텔루구어: గోపురం)은 보통 남인도타밀나두주, 안드라프라데시주, 케랄라주, 카르나타카주텔랑가나주의 드라비다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힌두교 사원에 있는 화려한 기념비적인 입구탑이다.[1]

방콕에 있는 스리 마하마리암만 사원의 고푸람

고대 및 초기 중세 사원은 작은 고푸람을 특징으로 하는 반면 후기 사원들은 드라비다 양식의 힌두교 사원[2] 또는 많은 경우의 사원들의 사원 단지가 확장되고 새로운 경계를 따라 새로운 더 높은 고푸람이 건설되는 양상을 보였다. 고푸람에는 둥글게 솟은 돌 피니알, 칼라삼이 얹혀있으며, 사원 단지를 둘러싼 벽을 통과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3] 성전 중앙을 향해 있는 또 다른 우뚝 솟은 구조물은 비마남이다. 둘 다 바스투샤스트라의 텍스트에 주어진 규칙에 따라 설계되고 구성되었다.[4]

고푸람의 기원은 팔라바 왕의 초기 구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북인도의 중앙 시카라 탑과 관련이 있다. 12세기에서 16세기 사이, 힌두교 사원이 점차 도시 생활의 허브가 된 판디아, 나야카 및 비자야나가라 시대에 이 관문은 사원 외관의 지배적인 특징이 되었으며, 결국에는 고푸람의 거대한 크기와 안뜰이 내부 성역을 시야에서 가렸다.[5] 그것은 또한 장식의 양에서 내부 성소를 능가하였다. 종종 사원에는 하나 이상의 고푸람이 있다.[6] 고푸람은 또한 앙코르 와트처럼 인도 외부의 건축, 특히 크메르 건축에서도 나타난다.

큰 드라비다 양식의 사원 또는 코일에는 본전 주변에 연속적으로 작은 벽으로 둘러싸인 인클로저로 들어가는 구멍으로 여러 개의 고푸람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가장 큰 것은 일반적으로 바깥쪽 가장자리에 있다. 사원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종종 4개의 기본 방향에서 가장 바깥쪽 벽에 고푸람이 있다. 고푸람의 여러 층은 일반적으로 리드미컬한 감소 척도로 낮은 수준의 특징을 반복한다.[7] 내부 성소와 그 우뚝 솟은 지붕(중앙신의 신전)은 비마남이라고도 불리지만, 남쪽에서는 일반적으로 큰 사원의 고푸람보다 작다.

메모 편집

  1. “gopur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년 1월 20일에 확인함. 
  2. Ching, Francis D.K.; 외. (2007). 《A Global History of Architectur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762쪽. ISBN 978-0-471-26892-5. 
  3. Ching, Francis D.K. (1995). 《A Visual Dictionary of Architectur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253쪽. ISBN 0-471-28451-3. 
  4. Ananth, Sashikala (2000년 1월 1일). 《Penguin Guide to Vaastu: The Classical Indian Science of Architecture and Design》 2판. Mumbai: Penguin. ISBN 014027863X. 
  5. Michell, George (1988). 《The Hindu Templ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1–153쪽. ISBN 0-226-53230-5. 
  6. “gopur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년 1월 20일에 확인함. 
  7. Michell, George (1988). 《The Hindu Templ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1–153쪽. ISBN 0-226-53230-5. 

참고 문헌 편집

  • Dallapiccola, Anna L. (2002). 《Dictionary of Hindu Lore and Legend》. London: Thames & Hudson. ISBN 0-500-51088-1. 
  • Harle, JC,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Indian Subcontinent, 2nd edn. 1994, 예일대 출판사 펠리칸 미술사,ISBN 0300062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