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왕후
공예왕후 임씨(恭睿王后 任氏, 1109년 10월 2일(음력 9월 7일)[1][2] ~ 1183년 12월 2일(음력 11월 22일)[3])는 고려의 17대 왕인 인종의 아내이자 정비인 왕후로 의종, 명종, 신종의 어머니이다.
공예왕후
恭睿王后 | |
---|---|
고려 인종의 왕비(왕후) | |
재위 | 1129년 5월 10일 ~ 1146년 2월 28일 (음력) |
전임 | 폐비 이씨(연덕궁주), 폐비 이씨(복창원주) |
후임 | 장경왕후 김씨 |
고려의 왕태후 | |
재위 | 1146년 3월 29일 ~ 1183년 11월 22일 (음력) |
전임 | 명의태후 유씨 |
후임 | 선정태후 김씨 |
이름 | |
별호 | 연덕궁주(延德宮主) |
존호 | 공예태후(恭睿太后) |
신상정보 | |
출생일 | 1109년 9월 7일(음력) |
사망일 | 1183년 11월 22일(음력) | (74세)
가문 | 장흥 임씨 |
부친 | 임원후 |
모친 | 진한국대부인 이씨 |
배우자 | 인종 |
자녀 | 5남 4녀
의종, 대령후, 명종, 원경국사, 신종 승경궁주, 덕녕궁주, 창락궁주, 영화궁주 |
능묘 | 순릉(純陵) |
본관은 장흥(長興), 시호는 공예(恭睿)이다. 중서령을 지낸 임원후(任元厚)의 딸이며 문하시중 이위(李瑋)[4]의 외손녀이다. 1129년 왕후(원비)로 책봉되어 연덕궁주(延德宮主)의 호를 받았다. 인종의 총애를 받았다.
생애
편집탄생 설화
편집1109년 음력 9월 7일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당동마을에서 태어났다. 고려사에 그녀의 탄생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데, 그녀가 태어나던 날 밤에 태후의 외조부인 문하시중 이위가 황색의 큰 깃발의 꼬리가 선경전을 싸고 도는 꿈을 꾸었다. 그래서 이위는 외손녀가 “선경전에서 놀게 될 것이다”라고 예언하였다고 한다.
그녀가 15세가 되어 김인규의 아들 김지효(金之孝)와 혼인을 약속하였는데 김지효가 신부집 문에 이르러 병이 발작하여 사경을 헤메었다. 이에 임원후가 결혼을 물리고 점쟁이에게 점을 쳐 보았더니, 점쟁이가 여인이 왕후가 될 운명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소문이 당대의 세도가 이자겸의 귀에 들어갔다. 이자겸은 자신의 3녀와 4녀를 왕후로 시집을 보냈는데 임원후의 딸이 왕후가 된다는 것이 자신과 가문의 몰락을 의미했으므로 임원후를 개성부사로 강직시켜 버렸다. 1126년(인종 4년) 이자겸의 난이 실패로 돌아감에 따라 인종의 아내이며 이자겸의 두 딸 역시 폐출당하였다. 1126년 음력 6월에 왕후로 간택되어 입궁하였다.
책비 이후
편집앞서 어린 인종이 즉위하자 인종의 외조부인 이자겸은 자신의 3녀와 4녀를 인종의 아내로 시집 보냈다. 즉, 인종은 이모와 결혼한 셈이다. 1126년 이자겸의 난이 일어나고, 이자겸의 일가가 몰락하면서 인종의 이모이며 아내였던 이자겸의 3녀와 4녀 역시 폐출당하면서 뒤를 이어 임원후의 딸이 인종의 아내이자 왕비가 되었다. 그후 1127년 의종을 낳고 난뒤 정식 왕후로 책봉된다.
인종이 붕어하고 의종이 즉위하자 그녀는 태후가 되었다. 1170년 무신정변으로 의종이 퇴위당하고 명종이 즉위하면서 무신들에 의한 정치가 시작되어 항상 마음을 졸이며 살았고 1182년(명종12년) 넷째 아들 원경국사 충희가 사망하였을 때 무신들에 의해 화를 당한 것이라 생각하고 충격을 못 이겨 병을 얻었다.
1183년(명종 13년) 음력 11월에 생을 마감하였다. 능호는 순릉(純陵)이다.
가족 관계
편집
부모편집
배우자편집
왕자편집
왕녀편집
손자녀편집
|
공예왕후가 등장한 작품
편집각주
편집- ↑ 《고려사》 권88 〈세가〉 권1 후비열전 - 인종후비 공예왕후
- ↑ 《고려사》 권17 〈세가〉 권17 - 의종 6년 9월 무술(戊戌) 기사
- ↑ 《고려사》 권20 〈세가〉 권20 - 명종 13년 11월 계미(癸未) 기사
- ↑ 부평이씨 대종회
- ↑ 강릉공 왕온의 장녀
- ↑ 강릉공 왕온의 3녀
- ↑ 강릉공 왕온의 4녀
- ↑ 강릉공 왕온의 장남
- ↑ 가 나 《왕영의 딸 왕씨묘지명(王瑛女王氏墓誌銘, 1185년)》
君之宗派父曰開府儀同三司守司徒上柱國 恭化侯瑛母曰承慶宮▨主王氏 仁廟朝乃姉之外祖也君平生秊未齠齕慈母(중략)
누이의 아버지는 개부의동삼사수사도상주국 공화후 영이며, 어머니는 승경궁공주 왕씨이다. 인종(仁宗)께서 바로 누이의 외조부이다. 누이의 일생은 나이 일곱 여덟 살이 되기도 전에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중략) - ↑ 숙종의 5남 대원공의 아들
- ↑ 예종의 장녀 승덕공주의 아들
- ↑ 창락궁주 → 원덕왕후 → 고종
- ↑ 숙종의 증손자
- ↑ 《고려사》 권129, 열전 권제42, 반역(叛逆), 최충헌(崔忠獻)
최충헌이 최충수를 처단하여 권력을 독점하다
이전에 태자(희종)가 창화백(昌化伯) 왕우(王祐)의 딸을 비(妃)로 맞았는데, 이때에 와서 최충수(崔忠粹)가 자신의 딸을 태자에 바치려고 왕에게 굳이 청하니, 왕이 좋아하지 않았다.최충수가 거짓으로 내인(內人)에 말하기를,
“왕께서 이미 태자비를 내보내시지 않았는가?”라고 하였다.
내인이 왕에게 보고하니, 왕이 어쩔 수없이 태자비를 내보내었다.
태자비가 흐느껴 울고 목이 메이기를 스스로 이겨내지 못하니, 왕후(선정왕후)도 눈물을 흘렸으며 궁중에서 눈물을 흘리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