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상사 연표

시기 과학사상 비고
기원전 330만 년경[1] 케냐에서[1] 석기 출현 기술
기원전 4000년[2][3] 최초의 도시, 우루크:[4][5] 인간이 자연과 분리된 도시라는 인공적 공간을 조성, 자연을 자신과 분리된 것으로 인식함. 기술
기원전 4000년[6] 메소포타미아[6] 회계장부:[6] 고대 수메르인들이 60진법기수법을 고안했다.[6] 지중해 철학
경제학
수학
회계학[6]
기원전 3000년 이후[7] 아시리아에서[8] 악몽을 치료하기 위해 가설적 인과성이 제기됨.[8] 인간과학
기원전 2000년 이후[9] 에누마 아누 엔릴: 점괘문.[10]
기원전 1878년 12월 2일[9] 에누마 아누 엔릴 서판 제50, 51번에[9]일식 관측이 기록됨[9] 천문학
기원전 585년[11] 탈레스,[11] 자연을 발견[11]
기원전 400년[12] 히포크라테스[12] 테크네.[13][14] 의약학
기원전 4세기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이 나오면서 형식체계연역을 기반으로 한 공리과학이 가능해짐. 그리스 철학
기원전 3세기 아레토스테네스: 지구의 크기와 지구로부터 의 거리를 계산함 그리스 철학
기원전 50년대 셀레우코스 셀레우케이오스: 조석로 인한 것임을 발견 그리스 철학
기원후 5세기 힌두-아랍 10진기수법이 사용되기 시작[15][16] 아랍철학,
인도철학
630년 아비윤 알비트릭: 초기 천문의기 아랍 천문학
776년-869년 알 자히즈: 자연선택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논의 아랍과학
780년-850년 무하마드 이븐 무사 알콰리즈미: 대수학알고리듬의 토대를 놓다. 아랍과학
806년 무함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파자리: 항해용 천문관측의를 발명. 아랍지리학,
아랍수학
801년-873년 알킨디: 암호학, 암호해독, 빈도분석의 아버지. 아랍수학
850년-950년 자비르 이븐 하이얀: 화학사에서 중요한 문헌들을 남김 아랍화학
858년-929년 알바타니: 삼각법 공식을 많이 남김. 분점의 세차운동 값(1년에 54.5초 = 66년에 1도), 황도 경사(23도 35분) 계산 아랍수학,
아랍천문학
859년 파티마 알피흐리: 세계 최초의 대학교(알 카라윈 대학교)와 졸업학위를 발명 아랍교육학
973년-1050년 알베루니: 연대학인도학의 창시 아랍과학
기원후 10세기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라지: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소설갈레노스체액설을 반박. 홍역천연두의 발견, 증류한 원유에서 등유 분리. 지중해-아랍철학
1021년 이븐 알하이탐의 『광학서』: 최초의 정확한 시각 이론. 과학적 방법의 아버지. 지중해-아랍철학
1020년 이븐 시나의 『의학정전』: 이후 600년간 유럽의 표준적 의학 교과서 페르시아 의약학
1027년 이븐 시나의 『치유의 서』: 뉴턴의 운동 제1법칙을 최초로 정확히 기술 페르시아 철학
1048년-1131년 오마르 하이얌: 기하적 대수학. 데카르트의 해석기하학의 선배. 삼차방정식의 해. 아랍수학
1058년-1111년 알가잘리: 논리학, 철학, 사업윤리학 아랍철학
1121년 알하지니: 먼 거리에서의 중력중력위치에너지의 일종을 서술. 고도가 높아지면 공기밀도가 희박해짐을 발견. 지중해-아랍철학
1135년-1213년 샤라프 알딘 알투시 : 선형 아스트롤라베 발명. 함수의 개념을 최초로 제안. 아랍수학
12세기 이븐 바즈자: 반작용을 발견. 지중해-아랍철학
12세기 아불 바라카트 알바그다디: 가속도의 관계. 지중해-아랍철학
1206년 이스마일 알자자리: 고전 자동기계, 세그멘탈 기어, 크랭크샤프트, 캠샤프트의 발명자 아랍공학
12세기 이븐 루시드: , , 운동에너지의 관계. 지중해-아랍철학
1220년–1235년 로버트 그로스테스트, 로저 베이컨: 과학적 방법론의 맹아 유럽철학
1242년 이븐 알나피스: 폐순환순환계를 발견. 지중해-아랍철학
1247년 나시르 알딘 알투시: 투시의 쌍원 개념을 발명 아랍수학
13세기 이븐 알샤티르: 달 운동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 아랍천문학
13세기 디트리히 폰 프라이베르크: 무지개 현상을 올바르게 설명해냄. 유럽철학
13세기 기욤 드 생클로드: 카메라 옵스쿠라일식을 관찰. 유럽철학[17]
1327년 이전 윌리엄 오컴: 오컴의 면도날 유럽철학
1332년-1406년 이븐 할둔: 사회학, 인구학, 경제학의 선구자.
1429년 울루그 베그: 수리천문학. 삼각법, 구면기하학 아랍천문학
1460년 알리 쿠시지: 천체문학적 물리학을 발전 아랍천문학
1494년 루카 파치올리: 복식부기의 집대성. 유럽철학[18]
1430년-1500년 아흐마드 이븐 마지드: 항법사 겸 지도제작사.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항해에서 길잡이를 했다. 아랍지리학
1543년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태양중심설 천문학 & 철학
1550년 타키 앗딘 무함마드 이븐 마우프: 증기터빈을 발명하다. 아랍공학
1570년대 튀코 브라헤: 상세한 천문학 관측 천문학, 수학, 철학
1600년 윌리엄 길버트: 지구 자기장 발견 천문학 & 철학
1609년 요하네스 케플러: 행성운동법칙 천문학, 수학, 철학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에서 망원경 관측자료를 도판으로 사용하다. 철학, 천문학
1614년 존 네이피어: 계산을 위해 대수를 사용하다 수리철학[19]
1628년 윌리엄 하비: 혈액순환을 발견하다. 해부학, 의약학, 철학
17세기 르네 데카르트: 데카르트 좌표계 발명. 숫자의 집합으로 점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게 되고, 대수방정식을 2차원상에 기하학적으로 그려서 풀 수 있게 됨. 그리고 그 역으로 기하학적 모양이 대수식으로 전환될 수도 있음. 철학
17세기 바뤼흐 스피노자: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을 반대. 스피노자는 물리계와 심리계의 실재는 같다고 보았다. 스피노자는 결정론자로서 인간의 행동마저도 완전히 결정된 것이고, 자유란 우리가 결정되었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보았다. 철학
1665년 왕립학회 철학회보동료평가거치는 과학학술지라는 것이 등장. 철학
1669년 니콜라스 스테노: 화석은 땅에 묻힌 시체일 수 있다고 주장. 층서학의 기본원리. 지질학, 고생물학, 철학
1675년 안톤 판 레이우엔훅: 현미경으로 미생물을 관찰. 근대 생명과학의 시작. 철학, 생명과학
1675년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미적분학 고안. 이후 단자론을 제시하고, 근현대 디지털 계산의 원리가 되는 2진법을 제안. 연속성의 법칙동차성의 초월법칙은 20세기 수학에서 쓸모를 찾음. 수리철학, 수리논리학
1687년 아이작 뉴턴: 운동법칙, 만유인력의 법칙. 고전역학의 기저. 물리학, 철학
1735년 칼 폰 린네: 『자연의 체계』 초판 발행. 이 책의 제10판국제동물명명규약의 시작점으로 여겨진다.[20] 1753년에 출간한 『식물종』은 현재의 식물명명규약의 시작점으로 여겨진다. 식물학, 동물학, 생물학, 철학
1763년 이미 죽은 토머스 베이즈가 정리를 처음 제시했다고 베이즈 정리라는 이름이 붙고 왕립학회에서 낭독됨. 베이즈 정리는 통계학의 베이즈 추론의 기초가 된다. 철학, 통계학
1767년 제임스 던햄 스튜어트: 『정치경제학 원리를 찾아서』에서 수요와 공급이라는 용어를 사용. 이후 애덤 스미스가 1776년 『국부론』에서 그 용어를 차용. 데이비드 리카도는 1817년 『정치경제와 과세의 원리』에서 1개 장을 「수요와 공급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으로 할애했다.[21] 경제학, 철학, 사회학
1778년 앙투안 라부아지에조지프 프리스틀리: 산소의 발견. 플로지스톤설의 폐기. 화학, 철학
1781년 윌리엄 허셜: 천왕성을 발견하다 천문학, 철학
1796년 조르주 퀴비에: 절멸이 실제로 일어나는 사실임을 확립. 생물학, 고생물학, 철학
1800년 알레산드로 볼타: 전기화학서열을 발견하고 전지를 발명함 화학
1805년 존 돌턴: 원자설 화학, 철학
1859년 찰스 다윈: 『종의 기원』 출간 철학, 생물학
1866년 그레고어 멘델: 완두의 형질유전을 발견(멘델의 유전법칙). 철학, 생물학, 유전학
1867년 카를 마르크스: 『자본론 제1권』 출간 철학, 역사학, 경제학, 사회학
1869년 드미트리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화학, 철학
1877년 루트비히 볼츠만: 엔트로피의 통계적 정의. 물리학, 철학
1887년 마이켈슨-모올리의 실험에서 에테르 검출 실패. 철학, 물리학
1890년대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 축삭성장원추를 발견. "뉴런설"에 확실한 증거 제공. 근현대 신경학의 시작. 신경학, 철학, 생리학, 인지과학
1899년–1900년 지크문트 프로이트: 무의식 이론을 발전시키고 정신동역학, 성심리 발전 연구를 시작. 프로이트는 인간의 사고와 행동은 마음 속 무의식이 작동하는 복잡한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철학, 심리학
1900년 막스 플랑크: 플랑크의 흑체복사법칙. 양자역학의 기저. 물리학, 철학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특수상대론, 광전효과, 브라운 운동 물리학, 철학
1906년 발터 네른스트: 열역학 제3법칙 물리학, 철학
1911년 어니스트 러더퍼드: 원자핵 발견 물리학, 철학
1911년 오스카르 하인로트: 1877년 더글러스 스팔딩이 제기했던 각인효과를 재발견. 20세기 내내 각인을 도맡아 연구한 니콜라스 틴베르헌, 카를 폰 프리슈, 콘라트 로렌츠는 1973년 노벨상을 받았다.[22] 품성론, 심리학, 인지과학, 동물학, 철학
191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일반상대론 물리학, 철학
1924년 볼프강 파울리: 파울리 배타 원리 물리학, 철학
1925년 에르빈 슈뢰딩거: 슈뢰딩거 방정식 물리학, 철학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 물리학, 철학
1927년 조르주 르메트르: 대폭발 이론 물리학, 우주론
1928년 폴 디락: 디락 방정식 물리학, 철학
1929년 에드윈 허블: 허블의 법칙. 우주는 팽창한다. 물리학, 우주론
1930년대 존 메이너드 케인스: 케인스 혁명. 자유시장을 고수하던 신고전주의 경제학을 들어엎은 케인스는 총수요가 경제활동의 전반적 수준을 결정하며, 총수요가 불충분하면 장기간의 높은 실업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경제학, 사회학, 철학
1931년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오스트리아 경기변동이론을 정교화하다. 경제학, 사회학, 철학
1931년 쿠르트 괴델: 불완전성 정리. 철학, 수학, 논리학
1934년 제임스 채드윅: 중성자 발견. 물리학, 철학
1934년 카를 포퍼: 반증가능성비과학을 구분하는 구획기준으로 강조하다. 과학철학
1937년 앨런 튜링: 튜링 머신의 수학적 개념을 제시. 철학, 수학, 심리학, 계산과학
1937년 쿠르트 레빈: 허버트 블루머상징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본성과 양육 어느 한쪽만으로는 사람의 행동과 인격이 설명되지 않는다고 주장. 본성과 양육이 서로 상호작용해서 인간을 만들어간다. 이 주장을 레빈의 방정식으로 공식화도 했다.[23] 심리학, 사회학, 경영학, 조직행동학
1940년대 벤저민 리 워프: 언어의 상대성 원리(언어의 구조가 그 언어의 발화자의 세계관과 세계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24]를 연구,[25] 언어와 사고 사이에 관련이 있음을 보이고자 하다. 인지과학, 심리학, 인류학, 철학
1942년 조지프 슘페터: 창조적 파괴라는 개념을 도입. 경제학, 사회학, 철학
1943년 오즈월드 에이버리: 디옥시리보핵산염색체의 유전물질임을 증명. 생물학, 유전학, 생명과학
1943년 월터 피츠워런 스터지스 매컬러: 「신경활동에 내재한 생각의 논리적 미적분」이라는 세미나 논문에서 신경망 개념을 처음으로 수학적 모형으로 제시. 인지과학, 인공지능, 심리학, 철학
1944년 존 폰 노이만스타니스와프 울람: 세포 자동자의 수학적 개념을 제시. 이후 복잡계과학행위자 기반 모형의 기반이 됨. 철학, 수학, 심리학, 계산과학
1944년 존 폰 노이만오스카르 모르겐슈테른: 『게임 이론과 경제적 행동』. 게임 이론이라는 분야의 시작. 철학, 수학, 심리학, 경제학
1947년 윌리엄 쇼클리, 존 바딘, 월터 브래튼: 최초의 트랜지스터 발명 전자공학, 전기공학
1948년 클로드 엘우드 섀넌 & 워런 위버: 「소통의 수학적 이론」. 정보이론을 개척. 수학, 인지과학
1948년 노버트 위너: 인공두뇌학 개념 도입. 수리철학, 인공지능, 인공두뇌학
1948년 리처드 파인만, 줄리언 슈윙거, 도모나가 신이치로, 프리먼 다이슨: 양자 전기역학 물리학, 철학
1950년 루트비히 폰 베르탈란피: 일반체제이론 시스템과학, 인공두뇌학, 수학, 인지과학
1950년대 케네스 애로, 제라르 드브뢰, 라이오넬 W. 맥켄지: 일반균형이론 경제학, 사회학, 철학
1950년대 레온 페스팅거: 인지부조화, 사회비교이론 개발. 심리학, 사회학, 철학
1951년 존 보울비: 애착이론 심리학, 사회학, 인지과학, 철학
1952년 조너스 소크: 소아마비 백신 의약학, 생물학
1953년 프랜시스 크릭제임스 왓슨: 디옥시리보핵산 나선구조 발견. 분자생물학의 토대. 생물학, 유전학, 생명과학, 철학
1953년 아나톨 라포포트: 인간 상호작용의 정보 교환과 인간생활에서의 갈등과 협력 관리를 위해 수학적 모델 도입.[26] 시스템과학, 인공두뇌학, 인지과학
1953년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 탐구』에서 언어의 사용을 둘러싼 개념적 혼란이 대부분의 철학적 문제의 근원이라고 주장. 철학, 언어학
1954년 장 피아제: 인지발달론 심리학, 철학, 인지과학
1956년 프랭크 하라리, 도윈 카트라이트: 균형이론을 수학적으로 공식화해서 일반화.[27] 철학, 사회심리학, 수리사회학
1957년 노엄 촘스키: 『변형생성문법의 이론』. 철학, 언어학, 인지과학, 계산과학, 심리학
1957년 허버트 A. 사이먼: 제한적 합리성.[28] 그는 1978년 노벨상을 수상했다. 심리학, 경영학, 행동경제학, 인지과학, 철학
1958년 윌리엄 필립스: 필립스 곡선. 경제학, 사회학, 철학
1960년대 폴 에크만 특정한 감정들에 생물학적 상관관계가 있는지 연구, 감정을 다윈주의적 접근법으로 연구할 수 있음을 보임.[29] 에크만의 연구는 1970년대 에드워드 윌슨사회생물학과 1990년대 이후 진화심리학의 발생기저가 됨. 심리학, 인류학, 사회학, 생물학
1962년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과학계는 주기적인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며, 과학적 참의 개념도 역사적으로 특정한 패러다임 위에서만 참인 것이며 그것은 과학자 공동체의 총의로 정의되는 것이라 주장. 과학철학
1963년 스탠리 밀그램밀그램 실험을 발표. 사회시스템에서 사람이 권위 있는 자의 명령을 받으면 자신의 의지나 양심에 거스르는 명령이라도 복종할 수 있음을 보임.[30] 이 연구는 홀로코스트 때 사회의 동조와 복종을 설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31] 심리학, 사회심리학, 인지과학, 철학
1963년 로렌스 몰리, 프레드 바인, 드러먼드 매튜스: 바인-매튜스-몰리 가설. 해양지각의 고지자기 줄무늬를 판구조론의 증거로 제시하다. 지질학
1964년 머레이 겔만, 게오르기 츠바이크: 쿼크를 상정하다. 물리학, 철학
1968년 로버트 로젠탈, 레노어 제이콥슨:[32][33] 사회관계에서의 자기실현적 예언을 실험적으로 증명. 예컨대 교사들이 학생에게 향상된 성과를 기대하면 정말로 그러한 향상이 나타남. 레이트 블루머 효과라고도 한다. 사회심리학, 철학
1968년–1970년 테리 위노그라드: 자연어를 이해할 수 있는 인공지능 SHRDLU를 개발하다. 계산과학, 인공지능, 인지과학
1969년 콘라트 추제: 『우주를 계산하다』엣 우주의 물리법칙은 자연과 분리되어 있고, 저체 우주는 단세포 자동장치의 결정론적 계산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 "추제 이론"은 디지털물리학 분야의 기초가 되었다. 수학, 인지과학, 복잡계이론, 디지털과학
1969년 인터넷의 발명[34] 정보이론, 계산과학, 전기공학
1970년 조지 애커로프: 비대칭 정보 조건에서의 경제활동을 연구하다. 정보의 비대칭은 파는 쪽이 사는 쪽보다 더 많이 알고 있을 때 발생한다. 경제학, 인지과학, 경제심리학
1970년 존 호턴 콘웨이: 컴퓨터 프로그램 생명게임을 개발하다. 살아있는 유기생명체의 사회가 흥기하고 몰락하며 소외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다. 수학, 계산과학, 행위자모델링, 인지과학
1970년대 아모스 트버스키, 대니얼 카너먼: 인간의 판단의사ㅣ결정에 대한 심리학 연구로, 인간에게는 인지적 편향이 구조적으로 만연해 있고 매일매일 리스크를 관리하며 살아간다고 주장하다.[35][36][37] 심리학, 인지과학, 철학
1972년 닐스 엘드리지, 스티븐 제이 굴드: 단속평형설을 제기하다 고생물학, 생물학, 진화과학
1977년 보이저 프로그램이 두 대의 우주선을 발사하다. 우주론, 천문학, 철학
1981년–1984년 로버트 악셀로드윌리엄 도널드 해밀턴이 인지기능이 있는 존재자 간에 협동이 진화하는 것을 수학적으로 컴퓨터 모델링하다 정치과학, 계산과학, 심리학
1986년 데이비드 루멜하트, 제임스 매클렐런드: 심리학에서 인간의 인지기능을 병렬분산처리로 모델링하는 것을 제안, 연결주의를 도입하다.[38] 심리학, 인지과학, 계산과학, 인공지능
1987년 존 C. 터너마이클 호그: 자기범주화 이론 사회심리학, 철학
1988년 양자세포자동자 개념이 제안, 양자 전산과 양자 컴퓨터 개념으로 이어진다.[39] 계산과학, 수학
1970년대–1988년 마빈 민스키 & 시모어 페퍼트: 마음의 사회 이론 개발을 시작하다. 인공지능, 인지과학, 심리계산과학, 철학
1988년 루이지 루카 카발리 스포르차: 집단유전학을 연구하여 어족과 유전자 나무 사이에 강한 유사성이 있다며, 언어와 혈통이 공진화하며 함께 유전되었다는 이중 유전 이론을 제기했다.[40] 유전학, 인류학, 언어학
1989년–1990년 팀 버너스리: 월드 와이드 웹을 발명하다.[41] 웹 서버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할 수 있게 되다.[42] 계산과학, 정보이론

각주 편집

  1. Kelly, Robert L (2019년 2월 12일). The Fifth Beginning What Six Million Years of Human History Can Tell Us about Our Fu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쪽. ISBN 9780520303485. 2021년 5월 26일에 확인함Microsoft Bing - Google Books 경유. They're the beginning of technology ... that would eventually result in cities, planes, bridges, cars, lunar rovers, artificial limbs, and computers ...Those stone tools also sent us on a path that would lead us to alter our environment ... 
  2. Uruk britishmuseum.org
  3. Paszke, Marcin Z. (2019년 12월 6일). “Date Palm and Date Palm Inflorescences in the Late Uruk Period (C. 3300 B.c.): Botany and Archaic Script”. Iraq (Cambridge University Press) 81: 221–239. doi:10.1017/irq.2019.15. S2CID 213663314. 
  4. Liverani, Mario (2006); Mieroop, Marc Van de; Bahrani, Zainab (ed.) Uruk The First City Equinox
  5. Montgomery, Scott L; Kumar, Alok (2015년 6월 12일). “3”. A History of Science in World Cultures Voices of Knowledge (Ebook). Taylor & Francis. 54쪽. ISBN 9781317439066. ...it seems to have needed the city to appear first...The very first of them - Uruk, Ur, Girsi, Nippur, Eridu - were experiments... 
  6. Høyrup, Jens (2018). Scarborough, John; Keyser, Paul Turquand, 편집. Social Base and Role and Gross Development, in, The Oxford Handbook of Science and Medicine in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734146. 2021년 5월 25일에 확인함Google books 경유. 요약문Google books. With a focus on science in the ancient societies of Greece and Rome, including glimpses into Egypt, Mesopotamia, India and China, The Oxford Handbook of Science and Medicine in the Classical World offers an in depth synthesis of science and medicine circa 650 BCE to 650 CE... 
  7. Hoffman, Curtiss (December 2004). “Dumuzi's Dream: Dream Analysis in Ancient Mesopotamia”. 《Dreaming》 14 (4): 240–251. doi:10.1037/1053-0797.14.4.240. 2021년 5월 25일에 확인함. 
  8. Oppenheim, A Leo (1956).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in the Ancient Near East. With a Translation of an Assyrian Dream-Book”.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영어) (104 South Fifth Street, Philadelphia, PA 19106: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46 (3): 185. doi:10.2307/1005761. JSTOR 1005761. 2021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25일에 확인함. 
  9. Tuman, V S (1992). “An attempt to Date Text 3 of Enuma Anu Enlil, Tablets 50-51 "Tentative date December 2, — 1878". 《Archive for History of Exact Sciences》 (233 Spring Street New York, NY 10013: Springer) 45 (2): 1 (95). Bibcode:1992AHES...44...95T. doi:10.1007/BF00374249. JSTOR 41681280. S2CID 119814302. 2021년 5월 25일에 확인함. 
  10. Rochberg, Francesca (1999). “Empiricism in Babylonian Omen Texts and the Classification of Mesopotamian Divination as Science”.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Hatcher Graduate Library 미시간 대학교 Ann Arbor, MI 48109-1205: American Oriental Society) 119 (4): 559–569. doi:10.2307/604834. JSTOR 604834. 2021년 5월 25일에 확인함. ...It seems to me perfectly reasonable to apply the term empiricism in the characterization of Babylonian divination...(p.569) 
  11. Fowler, Michael. “Index of Lectures and Overview of the Course”. 《galileo.phys.virginia.edu》. 2021년 5월 25일에 확인함. 
  12. Brill, Jason B; Harrison, Evan K; Sise, Michael J; Ignacio, Romeo C (February 2018). “The history of the scalpel: From flint to zirconium-coated steel”. 《bulletin.facs.org Bulletin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021년 5월 26일에 확인함. 
  13. James, Ian (2019년 2월 25일). “Tekhne”. 《oxfordre.com/view/10.1093/acrefore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acrefore/9780190201098.013.121. ISBN 978-0-19-020109-8. 2021년 5월 26일에 확인함. 
  14. “technē 2019-20 Application Form Guidance Notes 2019/20”. 2021년 5월 26일에 확인함. 
  15. Ifrah, Georges. 1999. The Universal History of Numbers : From Prehistory to the Invention of the Computer, Wiley. ISBN 0-471-37568-3.
  16. O'Connor, J.J. and E.F. Robertson. 2000. 'Indian Numerals' Archived 2007년 9월 29일 - 웨이백 머신,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17. Page 26, (2nd chapter) in: Ronald L. Numbers (ed.) Galileo Goes to Jail, and Other Myths about Science and Relig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Note: the first tree chapters of the book can be found here “Archived copy” (PDF). 2011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13일에 확인함. .
  18. L.M. Smith (2008년 10월 1일). “Luca Pacioli: The Father of Accounting”. Acct.tamu.edu. 2011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11일에 확인함. 
  19. “John Napier and logarithms”. Ualr.edu. 2010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12일에 확인함. 
  20. T. W. Fisher (1999). “Taxonomy and biological control”. Thomas S. Bellows; L. E. Caltagirone; D. L. Dahlsten; Carl B. Huffaker; G. Gordh. Handbook of Biological Control: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Biological Control. Academic Press. 45–55쪽. ISBN 978-0-12-257305-7. 
  21. Thomas M. Humphrey, 1992. "Marshallian Cross Diagrams and Their Uses before Alfred Marshall," Economic Review, Mar/Apr, Federal Reserve Bank of Richmond, pp. 3–23. Archived 2012년 10월 19일 - 웨이백 머신
  22. Dewsbury, D. A. (2003). "The 1973 Nobel Prize for Physiology or Medicine: Recognition for behavioral science?". American Psychologist 58 (9): 747–752. doi 10.1037/0003-066X.58.9.747.
  23. Sansone, C.; C. C. Morf; A. T. Panter (2003). 'The Sage Handbook of Methods in Social Psychology'. Sage. ISBN 978-0-7619-2535-4. 
  24. Carroll, John B. (ed.) (1956). Language, Thought, and Reality: Selected Writings of Benjamin Lee Whorf. Cambridge, Mass.: Technology Press of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SBN 978-0-262-73006-8.
  25. Science and linguistics" first published in 1940 in MIT Technology Review (42:229-31)
  26. 1953, "Spread of information through a population with sociostructural bias: I. Assumption of transitivity." in: Bulletin of Mathematical Biophysics, 15, 523–533.
  27. Cartwright, Dorwin & Harary, Frank. (1956). "Structural Balance: A Generalization of Heider's Theory." Psychological Review 63:277–293.
  28. 1957. Models of Man. John Wiley. Presents mathematical models of human behaviour.
  29. No Authorship Indicated (April 1992). “Paul Ekman”. American Psychologist 47 (4): 470–471. doi:10.1037/0003-066x.47.4.470. 
  30. Milgram, Stanley (1963). “Behavioral Study of Obedienc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7 (4): 371–8. CiteSeerX 10.1.1.599.92. doi:10.1037/h0040525. PMID 14049516.  as PDF.
  31. Milgram, Stanley (1974). Obedience to Authority; An Experimental View. Harpercollins. ISBN 978-0-06-131983-9. 
  32. Rosenthal, R.; Jacobson, L. (1968). Pygmalion in the classroom (PDF).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33. Rosenthal, Robert; Jacobson, Lenore (1992). Pygmalion in the classroom Expa판. New York: Irvington. 
  34. "Roads and Crossroads of Internet History" by Gregory Gromov. 1995
  35. Tversky, A.; Kahneman, D. (1971). "Belief in the law of small numbers". Psychological Bulletin 76 (2): 105–110. doi 10.1037/h0031322
  36. Tversky, A.; Kahneman, D. (1974).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 Science 185 (4157): 1124–1131. doi 10.1126/science.185.4157.1124
  37. Tversky, A.; Kahneman, D. (1981).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 choice". Science 211 (4481): 453–458. doi 10.1126/science.7455683
  38. Carey, Benedict (2011년 3월 18일). “David Rumelhart Dies at 68; Created Computer Simulations of Perception”. 《The New York Times》. 
  39. Grossing, G and Zeilinger, A (1988) Quantum cellular automata, Complex Systems (2) pp. 197–208 http://www.complex-systems.com/pdf/02-2-4.pdf
  40. Cavalli-Sforza L.L., Piazza A., Menozzi P. and Mountain J. (1988) Reconstruction of human evolution: bringing together genetic,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data Archived 2022년 2월 4일 - 웨이백 머신. Proc. Natl. Acad. Sci. USA. 85: 6002–6006.
  41. “cern.info.ch – Tim Berners-Lee's proposal”. Info.cern.ch. 2011년 12월 21일에 확인함. 
  42. Quittner, Joshua (1999년 3월 29일). “Tim Berners Lee—Time 100 People of the Century”. Time Magazine. 2007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2일에 확인함. He wove the World Wide Web and created a mass medium for the 21st century. The World Wide Web is Berners-Lee's alone. He designed it. He loosed it on the world. And he more than anyone else has fought to keep it open, nonproprietary and f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