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敎員養成機關力量診斷)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는 교육개혁방안으로 도입된 일부 대학[1]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 방식의 명칭이다. 1998년 김대중 정부때부터 도입되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으며, 2018년한국교원대학교 외 9개 교육대학이 진단 대상이 되는 해이다.

진단 대상

편집

2017년 일반대학 기준, 진단 대상은 다음과 같다.

서울·인천·경기
가천 · 가톨릭 · 강남 · 건국 · 경기 · 경인교육 · 경희 · 고려 · 국민 · 단국 · 덕성여자 · 동국 · 동덕여자 · 명지 · 삼육 · 상명 · 서강 · 서경 · 서울교육 · 서울과학기술 · 서울 · 서울시립 · 서울신학 · 서울여자 · 성결 · 성균관 · 성신여자 · 세종 · 숙명여자 · 수원 · 숭실 · 신한 · 아주 · 안양 · 연세 · 용인 · 을지 · 이화여자 · 인천 · 장로회신학 · 중앙 · 총신 · 한국외국어 · 한성 · 한양 · 한양 (ERICA) · 협성 · 홍익
대구·경북·강원
가톨릭관동 · 강릉원주 · 강원 · 경동 · 경북 · 계명 · 김천 · 대구가톨릭 · 대구교육 · 대구 · 대진 · 동국 (경주) · 동양 · 상지 · 안동 · 연세 (미래) · 영남 · 위덕 · 춘천교육 · 한라 · 한림
대전·세종·충청
건국 (글로컬) · 건양 · 고려 (세종) · 공주교육 · 공주 · 남서울 · 대전 · 목원 · 배재 · 백석 · 서원 · 세명 · 순천향 · 우송 · 유원 · 중부 · 청주교육 · 청주 · 충남 · 충북 · 침례신학 · 한국교원 · 한국교통 · 한국기술교육 · 한남 · 한서 · 한밭 · 호서 · 청운
부산·울산·경남
가야 · 경남 · 경상 · 경성 · 고신 · 동명 · 동서 · 동아 · 동의 · 부경 · 부산교육 · 부산 · 부산외국어 · 신라 · 울산 · 인제 · 진주교육 · 창신 · 창원 · 한국국제 · 한국해양
광주·전라·제주
광신 · 광주교육 · 광주 · 광주여자 · 군산 · 남부 · 동신 · 목포가톨릭 · 목포 · 세한 · 송원 · 순천 · 우석 · 원광 · 전남 · 전북 · 전주교육 · 전주 · 제주국제 · 제주 · 조선 · 초당 · 호남 · 호원

목적

편집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은 교육양성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1998년부터 현재까지 시행하고 있다.[2]

  • 교원양성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
  • 교원양성기관의 법적 책임 확보
  • 교원양성체제 개편의 참고자료 제공
  • 교직희망자, 시·도교육청 및 학교 등에 정보 제공

진단 상세

편집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은 크게 2가지 목표를 설정하고 실시되는데, 교원양성기관에 대한 국가 수준의 점검·관리와, 교원양성기관의 능동적 개선 노력 유도 등이 그것이다.[3] 이와 같은 목적으로, ‘교육 여건’, ‘교육과정’, ‘성과’ 등 다양한 방면에서 각 지표별로 평가를 실시하며[4], A~E등급으로 분류한다.

대학기본역량진단 등과 비슷하게 정원을 감축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는데, C~E등급의 경우 양성정원 감축 및 기관또는 과정의 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실제로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진단 대상이 아닌 교육대학 등이 이 평가를 통해 인원을 감축하는 방안으로 쓰이고 있다.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의 진단 대상은 교육대학, 사범대학, 기타 교육과[5],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설치 대학 등 다양한 유형의 대학이 대상이므로, 연도별로 유형별 대학을 선별하여 평가한다.

2018년 기준, 5주기 평가는 9개 교육대학과 한국교원대학교가 대상이다.

진단 결과

편집

1주기

편집

1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는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시행되었다.

1주기 평가는 사범대학, 교육대학원, 교육대학교육대학원, 일반대학 교육과, 교직과정 설치학과 순으로 진행되었다.

2주기

편집

2주기 평가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실시되었다.

상대적으로 다수를 차지하는 교육대학원과 교직과정 설치대학을 각각 3년, 2년씩 나눠 1주기 평가 대비 상세하게 평가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각 대학의 교직 교육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이끌어 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6]

3주기

편집

3주기의 평가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평가를 실시했다. 이전 평가와의 큰 차이는 과정별 평가에서, 양성기관 내 모든 양성과정을 동시 평가로 전환했다는 점이다.[7]

2010년

편집

사범대학을 설치한 45개교를 중심으로 평가되었다. 사범대학 뿐만 아니라, 설치된 교직과정 등도 함께 평가 받았다.

2010년 사범대학 45개교 진단
A 고려 · 공주 · 대구 · 동국 · 성신여자 · 이화여자 · 중앙 · 충남
B 강원 · 건국 · 경남 · 경북 · 경상 · 계명 · 단국 · 대구가톨릭 · 목원 · 부산 · 상명 · 서울 · 신라 · 순천 · 영남 · 우석 · 인하 · 전남 · 전북 · 제주 · 조선 · 충북 · 한국교원 · 한국외국어 · 한남 · 한양 · 홍익
C 강남 · 관동 · 목포 · 서원 · 성결 · 성균관 · 안동 · 원광 · 전주 · 청주
D -
2010년 교직과정 44개교와 분교 5개교 진단
A -
B -
C 계명 · 고려 · 공주 · 대구가톨릭 · 대구 · 동국 · 부산 · 상명 · 서울 · 성결 · 성신여자 · 신라 · 영남 · 이화여자 · 인하 · 충남 · 한국외국어 · 한양
D 강원 · 강남 · 건국 · 건국 (글로컬) · 경남 · 경북 · 경상 · 고려 (세종) · 관동 · 단국 · 동국 (경주) · 목원 · 목포 · 서원 · 성균관 · 순천 · 안동 · 우석 · 원광 · 전남 · 전북 · 전주 · 제주 · 조선 · 중앙 · 청주 · 충북 · 한남 · 홍익
2010년 교육대학원 40개원 진단
A 이화여자
B 부산
C 건국 · 경북 · 경상 · 고려 · 공주 · 동국 · 상명 · 성신여자 · 신라 · 영남 · 인하 · 조선 · 한국외국어 · 한양
D 강남 · 강원 · 경남 · 계명 · 관동 · 단국 · 대구가톨릭 · 대구 · 목포 · 목원 · 서원 · 성결 · 성균관 · 순천 · 안동 · 우석 · 원광 · 전남 · 전북 · 전주 · 제주 · 중앙 · 청주 · 충남 · 충북 · 한국교원 · 한남 · 홍익

고려대학교, 공주대학교 등의 사범대학이 최고 등급을 받았고, 강원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의 사범대학이 B등급으로 평가되었다. 강남대학교, 관동대학교의 사범대학이 C등급으로 평가 받으며, D등급에 오른 학교는 없었다.

사범대학을 제외한 각 부문에서 교직과정 설치학과 부문은 상위 그룹이 없어 충격을 주었고, 교육대학원도 이화여자대학교, 부산대학교 등만이 상위권에 올랐다.

사범대학이 C등급에 오른 9개교는 2011년 재평가를 받았으며, 모두 B등급으로 재평가 되었다.[8] 이 외에도 각 부문에서 B등급 미만의 등급을 받은 학교들이 2011년에 재평가를 시행했다.

2011년

편집

2011년은 일반대학 중 각종 사범학과 설치한 대학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2011년 교육과 54개교 진단
A 경기 · 경성 · 경원 · 고신 · 대전 · 덕성여자 · 동신 · 동의 · 부경 · 서울신학 · 서울여자 · 순천향 · 연세 · 용인 · 인제 · 장신 · 창원 · 한국체육 · 호서
B 강릉원주 · 건양 · 경성 · 고신 · 광신 · 광주여자 · 국민 · 극동 · 나사렛 · 남부 · 대구한의 · 대불 · 동명 · 동아 · 목포가톨릭 · 배재. 백석 · 삼육 · 서울신학 · 숙명여자 · 순천향 · 영동 · 위덕 · 을지 · 중부 · 창원 · 총신 · 한중 · 호남
C 가야 · 가톨릭 · 경동 · 나사렛[9] · 대불 · 부산장신 · 안양 · 위덕[10] · 침례 · 한국국제
D 경동[11] · 경주 · 광주 · 명신
2011년 교직과정 51개교와 분교 1개교 진단
A 서울여자 · 연세 · 한국체육
B 경원 · 광주여자 · 덕성 · 동의 · 용인 · 인제
C 가톨릭 · 강릉원주 · 건양 · 경기 · 경성 · 고신 · 국민 · 나사렛 · 남부 · 대불 · 동명 · 동아 · 목포가톨릭 · 배재 · 백석 · 삼육 · 서울신학 · 숙명여자 · 순천향 · 안양 · 연세 (미래) · 위덕 · 을지 · 중부 · 침례신학
D 가야 · 광주 · 경동 · 경주 · 극동 · 대구한의 · 대전 · 동신 · 동양 · 부경 · 영동 · 창원 · 한국국제 · 한중 · 호남 · 호서
2011년 교육대학원 40개교 진단
A 연세 · 용인
B 남부 · 동아 · 인제 · 장신
C 가톨릭 · 건양 · 경원 · 광주여자 · 국민 · 나사렛 · 덕성여자 · 숙명아자 · 중부 · 한국체육 · 호남
D 가야 · 강릉원주 · 경기 · 경성 · 고신 · 광신 · 극동 · 대구한의 · 대전 · 동신 · 동양 · 동의 · 배재 · 백석 · 부경 · 서울여자 · 순천향 · 안양 · 위덕 · 창원 · 총신 · 한중 · 호서

2011년 진단에 사범계열 전공을 설치한 대학 54개교가 평가되었다. 연세대학교가 모든 부문에서 A등급을 받으며 두각을 보였고, 경기대학교, 경성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건양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경원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용인대학교, 남부대학교, 동아대학교 등이 각 부문에서 A~B 등급을 받았다.[8]

2012년

편집
2012년 진단대학 (교직과정 설치 일반대학 55개교)
A .
B 남서울대학교 · 서강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한국성서대학교 · 호원대학교
C 경희대학교 · 국군간호사관학교 · 대진대학교 · 동덕여자대학교 · 동서대학교 · 명지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서경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수원대학교 · 영남신학대학교 · 예수대학교 · 우송대학교 · 울산대학교 · 차의과학대학교 · 초당대학교 · 평택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려대학교 · 한림대학교 · 한밭대학교 · 한서대학교 · 협성대학교
D 가천대학교 · 감리교신학대학교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경운대학교 · 경일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군산대학교 · 그리스도대학교 · 금오공과대학교 · 부산가톨릭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남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공회대학교 · 세명대학교 · 세종대학교 · 영산대학교 · 청운대학교 · 한경대학교 · 한국교통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라대학교 · 한영신학대학교
2012년 진단대학 (위 표 해당 대학 55개교 중 교육대학원 설치 31개 대학)
A 서강대학교 · 아주대학교
B 경희대학교 · 대진대학교 · 숭실대학교 · 한서대학교
C 세종대학교 · 수원대학교 · 추계예술대학교 · 한동대학교
D 광운대학교 · 군산대학교 · 그리스도대학교 · 금오공과대학교 · 동덕여자대학교 · 명지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남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공회대학교 · 세명대학교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국제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성대학교 · 한신대학교 · 협성대학교

2012년은 일반대학 중 사범대학과 사범계열 학과 미설치 대학 중, 교직과정이나 교육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부분에서 남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아주대학교, 경희대학교, 대진대학교 등이 좋은 성적을 보여주었다.[12]

전문대학

편집

2013년과 2014년, 2년에 걸쳐 전문대학 사범계열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7]

4주기

편집

2015년

편집
2015년 진단대학 (사범대학 45개교)
A 건국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대학교 · 고려대학교 · 공주대학교 · 부산대학교 · 서울대학교 · 안동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B 가톨릭관동대학교 · 강남대학교 · 강원대학교 · 경남대학교 · 계명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 · 대구대학교 · 동국대학교 · 목원대학교 · 목포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순천대학교 · 신라대학교 · 영남대학교 · 원광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제주대학교 · 충북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C 서원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우석대학교 · 인하대학교 · 홍익대학교
D 청주대학교
2015년 진단대학 (위 표 해당 대학 45개교중 사범계열 설치 5개 대학)
A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B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13]
C 강원대학교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14]
D .
2015년 진단대학 (위 표 해당 45개교와 분교 및 분캠 6개 대학)
A .
B 부산대학교 · 서울대학교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 경북대학교 · 경상대학교 · 계명대학교 · 고려대학교 · 대구대학교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 목원대학교 · 목포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순천대학교 · 신라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C 가톨릭관동대학교 · 강남대학교 · 강원대학교[15] · 경남대학교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공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 · 동국대학교 · 상명대학교[16] · 서원대학교 · 우석대학교 · 원광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청주대학교 · 충북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 홍익대학교
D 인하대학교 · 홍익대학교[17]
2015년 진단대학 (위 표 해당 45개교 중 교육대학원 설치 39개 대학)
A
B 경남대학교 · 고려대학교 · 부산대학교 · 서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C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대학교 · 계명대학교 · 공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순천대학교 · 안동대학교 · 영남대학교 · 전남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제주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충북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D 대구가톨릭대학교 · 동국대학교 · 목포대학교 · 신라대학교 · 우석대학교 · 원광대학교 · 인하대학교 · 전주대학교

2015년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을 평가하였으며, 교육대학은 정원 감축 대상 학교가 없이 모두 B등급 이상을 획득했다.

사범대학의 경우, 각 부문에서 건국대학교, 경북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강남대학교, 건국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강원대학교, 경남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이 좋은 평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평가로, 약 15%에 해당하는 인원이 감축되어 18,310명의 정원만 둘 것으로 결정되었다.[18]

2016년

편집
2016년 진단대학 (사범계열 설치 일반대학)
A 건양대학교 · 고신대학교 · 국민대학교 · 남부대학교 · 덕성여자대학교 · 동의대학교 · 부경대학교 · 서울신학대학교 · 세한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안양대학교 · 연세대학교 · 용인대학교 · 장로회신학대학교 · 중부대학교 · 창원대학교 · 총신대학교 · 호서대학교
B 가천대학교 · 가톨릭대학교 · 강릉원주대학교 · 건양대학교[19] · 경기대학교 · 경성대학교 · 고신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나사렛대학교 · 남부대학교[20] · 대구한의대학교 · 대전대학교 · 동명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양대학교 · 백석대학교 · 부산장신대학교 · 삼육대학교 · 서울신학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세한대학교[21] · 순천향대학교 · 안양대학교[22] · 유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중부대학교[23] · 창원대학교[24] · 총신대학교[25] · 한국국제대학교 · 한국체육대학교 · 호남대학교
C 가야대학교 · 경성대학교[26] · 경주대학교 · 광주대학교 · 극동대학교 · 김천대학교 · 목포가톨릭대학교 · 배재대학교 · 우송대학교 · 위덕대학교 · 인제대학교[27] · 침례신학대학교 · 한중대학교 · 호원대학교
D 가야대학교[28] · 광신대학교 · 을지대학교
E .
2016년 진단대학 (사범계열 설치 일반대학 중 교직과정 설치 95개교)
A 서경대학교 · 영남신학대학교 · 한국성서대학교
B 가천대학교 · 국군간호사관학교 · 남서울대학교 · 덕성여자대학교 · 서강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신학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연세대학교 · 예수대학교 · 한국체육대학교
C 가톨릭대학교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신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국민대학교 · 나사렛대학교 · 남부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덕여자대학교 · 동아대학교 · 명지대학교 · 백석대학교 · 부경대학교 · 삼육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수원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용인대학교 · 청운대학교 · 한경대학교 · 한국국제대학교 · 한림대학교 · 한영신학대학교 · 협성대학교 · 호원대학교
D 강릉원주대학교 · 경성대학교 · 경일대학교 · 군산대학교 · 극동대학교 · 대구한의대학교 · 대전대학교 · 동명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가톨릭대학교 · 배재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세명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안양대학교 · 우송대학교 · 울산대학교 · 유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중부대학교 · 차의과학대학교 · 창원대학교 · 초당대학교 · 침례신학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라대학교 · 한밭대학교 · 한서대학교 · 한성대학교 · 호남대학교 · 호서대학교
E 가야대학교 · 감리교신학대학교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경주대학교 · 광운대학교 · 금오공과대학교 · 동양대학교 · 서남대학교 · 선문대학교 · 영산대학교 · 위덕대학교 · 을지대학교 · 한려대학교 · 한중대학교
2016년 진단대학 (사범계열 설치 일반대학 중 교육대학원 설치 32개교)
A 서경대학교 · 용인대학교 · 장로회신학대학교
B 경기대학교 · 국민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총신대학교
C 가천대학교 · 경희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아대학교 · 명지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세종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인천대학교 · 창원대학교 · 한서대학교
D 강릉원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덕성여자대학교 · 부경대학교 · 수원대학교 · 인제대학교 · 호남대학교
E 경성대학교 · 서남대학교

2016년은 사범계열 설치 일반대학을 평가했고, 각 부문에서 건양대학교, 고신대학교, 가천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서경대학교, 영남신학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용인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경기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이 선전했다.[29]

2017년

편집

2017년은 전문대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실기교사를 양성하는 일반대학 등을 평가하였다.[30]

5주기

편집

이번 평가부터 교원양성기관평가의 명칭을,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으로 변경한다.

2018년

편집
2018년 진단대학 (교육대학·한국교원대학교 11개교)
A 경인교육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전주교육대학교 · 청주교육대학교 · 춘천교육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B 공주교육대학교 · 부산교육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진주교육대학교
C
D
E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사범대학, 교육대학원, 교육대학교육대학원, 일반대학 교육과 등
  2.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 소개
  3.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 비전
  4.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 항목 및 준거
  5. 유아교육과, 특수교육과, 보건교육과 등
  6.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_1~2주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7.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_3주기 평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8. 2011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 발표,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1년 9월 2일
  9. 유아특수교육과
  10. 특수교육학부 초등특수교육전공
  11. 유아교육과
  12. 2012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 발표,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2년 8월 30일
  13. 수학교육과
  14. 가정교육과
  15. 삼척캠퍼스
  16. 천안캠퍼스
  17. 세종캠퍼스
  18. 2015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15년 3월 23일
  19. 중등특수교육과, 초등특수교육과
  20. 초등특수교육과, 중등특수교육과
  21. 기술교육과, 특수교육과
  22. 기독교교육과
  23. 초등특수교육과, 중등특수교육과
  24. 유아교육과
  25. 역사교육과
  26. 특수체육교육과, 윤리교육과, 교육학과
  27. 유아교육과
  28. 유아교육과
  29. 2016년 교원양성기관 평가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17년 1월 24일
  30.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_4주기 평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