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관절 인형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1년 2월)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Ball-jointed doll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구체관절인형(영어: ball-jointed doll, 약칭:BJD)은 관절(關節)부위를 구(球)모양으로 만들어 관절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인형의 포괄적 명칭이다.[1] 얼굴표정, 인체비례, 세부묘사등 인체와 흡사한 것이 특징이다. 팔, 다리가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첨부된 사진은 구체 관절 구조의 바디를 가진 비스크돌 유물이다.
관절인형과의 다른 점편집
구체관절인형과 관절인형은 엄연히 다르다.
구체관절인형은 대부분 우레탄으로 만들어지고 관절이 텐션줄로 연결이 되어있으며, MDD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안구, 가발, 헤드 교체가 가능하지만, 관절인형은 구체관절인형과는 재료도 다르고 텐션줄로 연결되어 있지도 않고 옷과 메이크업만 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절인형은 불법복제 상품이거나, 카피 상품인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역사편집
1930년대 초현실주의 미술가 한스 벨머(Hans Bellmer)가 인체의 관절을 구체로 표현하여 만든 것을 시초로 한다. 한스 벨머는 1933년부터 등신대의 여성 인형을 만들기 시작했고 이를 소재로 강박적인 욕망을 담은 사진들을 만들어냈다. 그의 인형은 불안정해 보이는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동그란 관절 부위가 노출돼 부품이 해체된 기계 인간을 연상시키는 이 인형은, 동물처럼 엎드린 사실적인 여성 조각을 탁자 삼고, 하이힐 신은 여성 다리로 의자를 만들며 성적 공상을 표출했던 초현실 주의자들에게 찬미의 대상이 됐다. 그 결과 초현실주의 소식지 《미노토르 Minotaure》에 벨머의 인형 사진 18점이 대거 소개됐고 같은 해에 인형 사진집 《Die Puppe》(The Doll)가 출간되기도 했다. 구체관절 인형은 이 후 일본의 인형 작가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에 일본 기업 보크스에서 처음 상업화하고 대중화한 것이 현대 구체관절 인형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그 이후 한국에는 대략적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2], 그리고 중국에는 2000년대 중반부터 많은 구체관절인형 사업체들과 작가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구체관절 인형은 성인(adult) 인형 애호가들을 위해 개발된 고가의 수집형 인형이다.
구체관절 인형 회사편집
- LUTS (루츠)
- 돌스앤
- 미기돌
- 리나슈슈
- 돌숨 (숨코리아)-네오 엔젤리젼, 아이딜리언, 더 젬
- 카날코드
- 엠유돌
- 젬돌
- BJD샵 (구 휴쥬)
- 무무돌
- 블루밍돌
- 36.5도
- 치카비 (구 치카보니타)
- 사돌
- 봄아트돌
- 스윗앤돌
- 에일린돌
- 다락아이
- 돌빌리지
- 나인나인
- 티티야
- 비위드유
- 피포스
- 아이엠돌
- 밤비크로니
- 작은 위로
- 소로리돌
- 엘핀스토어
- 시크릿돌
- 이플하우스
- 위드돌
- 돌스샵 (인형회사를 모은곳)
- 가인돌
- 미야돌
- 나피돌
- 미아돌
이 외에도 본 문서에 다 언급할 수 없을 만큼 많은 구체관절 인형 회사들과 작가들이 존재한다.
현대의 구체관절 인형편집
구체관절 인형은 높은 연령대의 인형 애호가들을 위해 제작되며, 소재는 주로 우레탄 레진으로 만들어진다. 최근에는 황변과 녹변이 오지 않고 가격이 일반 우레탄 인형에 비해 저렴한 ABS재질로도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그 수는 소수이며, 대부분 구체관절 인형은 우레탄 레진으로 만들어진다고 보면 맞다. ABS 수지 재질은 우레탄 재질의 인형보다는 내구성이 떨어진다. 지금까지 나온 ABS재질의 구체관절인형은 폴인돌 로즈, BJD샵(구 휴쥬) 등의 인형 등이 있다. 가격은 수십만원으로 고가인 우레탄인형과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ABS재질 인형 모두 구매자의 취향에 알맞게 인형을 꾸밀 수 있도록 그 물품과 종류가 다양하다. 보통 팔, 다리, 손, 바디, 헤드 등의 파츠로 구성되며, 종류와 목적에 따라서 관절이 세분화되는 것도 있고, 단일화되는 것도 있다. 여러개의 부속들을 조합하여 가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S자 고리(혹은 O링 등)와 텐션줄(장력줄)을 사용한다. 텐션줄은 고리와 매듭으로 각각의 부위들을 연결하고, 줄의 장력으로 구체관절인형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관절 인형의 특성상 판매가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 100% 수작업으로 만들어지는 제작 공정과 우레탄 레진이라는 재료의 특성상 당연한 부분이기도 하다. 구체관절 인형의 가격은 10만원대의 작은 인형부터 200만원대의 1m 사이즈의 인형까지 다양하다.
축생 구관편집
동물 모양의 구체관절인형인 축생 구관도 있는데 축생 구관의 회사로는 BJD샵, 피포스, 에일린돌 등이 있다. 축생 구체관절 인형도 당연히 메이크업 추가가 가능하다.
불법복제 구체관절 인형편집
불법복제 구체관절인형은 정품 인형을 가져다가 불법으로 복제해서 싸게 파는 인형이다. 불법복제 구체관절 인형은 지마켓, 쿠팡 등 여러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품질 인증을 받지 않은 품질이 나쁜 레진을 사용하여 건강에 해롭다. 호흡기질환이 올 수도 있고, 암에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구매를 삼가해야 한다. 메이크업은 잘 까지며 정품이 아니므로 다시 A/S를 보낼 수 없다. 메이크업 샵 운영자들도 불법복제품은 절대 받지 않으며, 불법복제품을 구입하면 소비자 피해 구제도 받기 어렵다. 요즘에는 플레이트와 정품 인증서까지 불법 복제하는 경우가 많으며, 정품의 사진을 도용하여 정품이라고 속여서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가품 인형을 사면 정품 구체관절 인형처럼 혜택을 받지 못한다. 불법복제 구체관절 인형은 정품 구체관절 인형을 판매하는 곳과 인형 작가들에게 피해를 끼치며, 세금 포탈 수단으로 악용되어 국가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정품의 경우 텐션줄, 헤드 자석 교체를 할 수 있지만 불법복제 구체관절 인형은 이러한 서비스를 받지 못한다. 이러한 불법복제 구체관절 인형은 인터넷에 검색하면 네이버, 쿠팡 등 다양한 곳에서 볼 수 있다. 불법복제품을 피하기 위해서는 오픈 마켓에서 구체관절 인형이라며 파는 것들은 절대 사면 안 되고 공식 홈페이지와 공식 딜러 사이트에서 구매해야 한다.
소비자의 커스터마이징편집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1년 7월) |
구체관절 인형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 장식하는 것이 용이하게 제작되어 안구, 가발, 메이크업, 손파츠 등을 자유로이 변경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회사의 제품과 호환하거나, 사포로 인형을 갈아 모양을 변형시키는 커스텀을 통해 소비자 개인의 취향에 맞는 인형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안구편집
헤드 내부에 안구 전용 점토로 착용시킨다. 아크릴, 유리, 우레탄 등의 재료로 만든다. 인형의 크기나 모양새에 따라 안구의 크기도 각기 다르다. 안구 지름은 8mm, 10mm, 12mm, 14mm, 16mm, 18mm, 20mm 등 다양하며, 각 사이즈에서 홍채의 크기에 따라 정사이즈, 네로우 등으로 다시 구분되기도 한다.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안구 제작용 세트를 팔기도 하여 직접 안구를 제작할 수도 있다.
메이크업편집
구체관절인형도 메이크업을 하여 리얼계 메이크업, 아니메 메이크업등 여러 가지 메이크업이 있는데, 메이크업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도 인형의 분위기가 달라지기도 한다. 메이크업을 위한 재료는 파스텔, 아크릴 물감, 붓, 코팅제, 애나멜, 유광바니쉬 등이 쓰인다. 섬세한 메이크업을 원한다면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좋으며 완성까지 걸리는 시간과 가격, 품질 등은 샵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사이즈에 따른 분류편집
구체관절인형 사이즈 분류 용어가 있다. 크기는 7.5 cm부터 1미터가 넘는 인형까지 있으며 50~65 cm 인형은 SD, 40~45 cm 인형은 MSD, 25~28 cm 인형은 USD 30~35 cm LONG USD라고 한다. 그리고 18 cm~16cm는 포켓(pocket)이라고 한다. 70급과 75급으로 따로 분류되는 사이즈도 있다. 위 분류 사이즈 이외에도 돌모아의 일루아돌(illua)이나 캔디돌(candy dream)처럼 분류 불가능한 사이즈도 많다. 사이즈에 따라 가격도 다르며, 구체관절 인형 회사마다 사이즈에 따른 가격이 다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한국 구체관절인형협회”. 2021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아울러 대부분의 한국 구체관절인형 회사들은 100% 한국에서만 모든 제작공정을 진행한다. 회사에 따라 자체적으로 복제소를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외부 링크편집
- Den of Angels 가장 큰 규모의 영어권 구체관절인형 커뮤니티. 커뮤니티 내에 DOA BJD Wiki라고 하여 각종 정보들을 모아놓은 위키 형식의 페이지도 있는데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으니 주의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