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민주당 (2020년 일본)
국민민주당(일본어: 国民民主党 고쿠민민슈토[*], 영어: Democratic Party for the People, DPFP)은 온건 보수에서 자유주의까지를 포괄하는 성향의 일본의 정당이다. 2020년 9월 11일 입헌민주당과의 신설합당 과정에서 잔류파들이 남아 창당했다.
국민민주당
国民民主党 | |
![]() | |
약칭 | 민주당, DPFP |
---|---|
이념 | 중도주의 (개혁 중도)[1] 자유보수주의[1] 국민주권[1] 평화주의[1] 입헌주의[1] 정치 개혁 · 행정 개혁[1] 공생주의[1] 지속 가능한 발전[1] 지역 주권 개혁[1] 개헌[1] 인간 안전 보장[1] 핵무기 폐기[1] |
스펙트럼 | 중도 ~ 중도우파 |
당직자
| |
대표 | 다마키 유이치로 |
대표대행 | 마에하라 세이지 오쓰카 고헤이 |
부대표 | 하마노 요시후미 이소자키 데쓰지 |
간사장 | 신바 카즈야 |
역사
| |
창당 | 2020년 9월 11일 |
선행조직 | 구 국민민주당 (일부) |
내부 조직
| |
중앙당사 |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히라카와초 2-5-3 나가타초 그리드(Nagatacho GRID) 4층 |
의석
| |
참의원 | 12 / 245
|
중의원 | 11 / 465
|
지방의회[2] | 142 / 32,430
|
개요
편집구 입헌민주당과 구 국민민주당과의 신설합당 과정에서 국민민주당 의원들의 의견이 부딪혀 합당을 반대하는 13명의 의원들이 창당한 정당이다. 구 국민민주당의 강령을 계승하는 등 공통점이 많지만 법령상 다른 정당이다.
역사
편집2020년 7월 22일 구 입헌민주당과 당대당 통합에 합의함에 따라 신설합당 절차를 밟게 되고, 일부 의원들은 합당에 반발하였다. 결국 9월 11일 입헌민주당과의 신설합당이 완료됨에 따라 일부 의원(잔류파)들은 새로운 국민민주당을 따로 재창당한다.
새 대표로는 다마키 유이치로가 만장일치로 당선되었고 도도부현 의회, 지방자치단체 의회 등 대표 선거를 실시할 예정이다.
9월 15일 간사장으로 신바 가즈야가 취임하는 등 주요 인사가 취임하였다.
12월 8일에는 창당 이후 처음으로 당대표 선거가 고시되었다. 당 지도부가 당의 존재감을 알릴 수 있는 기회로 보고 '추천인'을 확보하지 않고도 자신 혼자서 출마할 이례적인 조치를 취했으나, 출마를 모색하던 마에하라는 포기했고, 당내에서 대망론이 있었던 야마오 시오리 중의원 의원도 조기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3] 최종적으로 대표 다마키와 이토 다카에 참의원이 출마 신고를 했고, 18일 투개표 결과 국회의원 표에서는 동수였지만 지방의원·당원 투표에서 다마키가 이토를 크게 누르고 대표에 재선 되었다.[4]
야당 협력 틀에서의 이탈·일본유신회와의 연계
편집11월 4일 당직자회에서 지금까지 중의원의 국회 대응으로 구성해 온 입헌민주당, 공산당, 사민당과의 틀에서 이탈을 결정하고 입헌민주당, 공산당이 주도하는 야당 합동 히어링에도 지금까지와 같이 참여하지 않을 것임을 재확인했다. 야당 국회대책 틀에서의 이탈은 국민민주가 중의원 선거에서 비공산을 내걸어 공시 전 의석을 웃도는 결과를 남긴 것이 배경이었다.[5] 이에 앞서 10월 9일에는 종전부터 야당 공투와 거리를 두었던 일본유신회와 간사장·국회위원장 회담을 열어 법안 공동 제안과 개헌 논의 촉진 등을 위해 연계해 나가기로 했다.[6][7]
직책
편집역대 대표
편집대 | 이름 (출생~사망) |
소속 | 취임일 | 퇴임일 | |
---|---|---|---|---|---|
초대 | 다마키 유이치로 (1969~) |
중의원 | 2020년 9월 11일 | 2020년 12월 18일 | |
2대 | 2020년 12월 18일 |
집행부
편집- 2020년 12월 23일 기준[8]
직책 | 이름 | 소속 |
---|---|---|
대표 | 다마키 유이치로 | 중의원 |
대표 대행 | 마에하라 세이지 | 중의원 |
오쓰카 고헤이 | 중의원 | |
부대표 | 야다 와카코 | 참의원 |
이토 다카에 | 참의원 | |
간사장 | 신바 카즈야 | 참의원 |
간사장 대리 선거대책위원장 조직·단체 위원장 |
키시모토 슈헤이 | 중의원 |
정무조사회장 | 쿠나야마 야쓰에 | 참의원 |
정무조사회장 대리 | 니시오 히데코 | 중의원 |
국회대책위원장 | 후루카와 모토히사 | 중의원 |
국회대책위원장 대리 청년국장 |
아사노 아키라 | 중의원 |
양원 의원 총회장 | 야다 와카코 | 참의원 |
참의원 의원회장 | 고바야시 마사오 | 참의원 |
참의원 간사장 | 아다치 신야 | 참의원 |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 가와이 다카노리 | 참의원 |
임원실장 | 이토 다카에 | 참의원 |
총무국장 | ||
홍보국장 싱크탱크 전략실장 |
야마오 시오리 | 참의원 |
재무국장 | 하마노 요시후미 | 참의원 |
윤리위원장 | 고바야시 마사오 | 참의원 |
지지 기반
편집지지 단체
편집단체명 | 이름 | 소속 |
---|---|---|
전력 총연합 | 고바야시 마사오 | 중의원 국민민주당 |
하마노 요시우니 | 중의원 국민민주당 | |
전기연합 | 아사노 사토시 | 참의원 국민민주당 |
야다 와가코 | 중의원 국민민주당 | |
UA전선 | 다무라 아사미 | 중의원 무소속 |
가와이 다카노리 | 중의원 무소속 | |
자동차 총연합 | 후루모토 신이치로 | 참의원 무소속 |
이소사키 데쓰시 | 중의원 무소속 | |
하마구치 마고토 | 중의원 무소속 | |
기간 총연합 | 없음 | -- |
JAM | 없음 | -- |
역대 선거 결과
편집중의원 선거
편집선거명 | 의석 | 득표율 | 대표 |
---|---|---|---|
제49회 총선거 | 11 / 465
|
4.51% | 다마키 유이치로 |
참의원 선거
편집선거명 | 의석 | 비례 득표율 | 대표 |
---|---|---|---|
제26회 통상선거 | 5 / 245
|
5.96% | 다마키 유이치로 |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국민민주당 강령 보관됨 2020-12-05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21년 2월 20일 확인.
- ↑ 도도부현과 시구정촌을 포함한 의석수다.
- ↑ 国民民主代表選 異例の「推薦人不要」で候補乱立? 告示日に前原氏は…, 마이니치 신문, 2020년 12월 9일.
- ↑ 国民民主党代表選で玉木氏続投 「政策提案型」強化、国会対応は独自路線, 마이니치 신문, 2020년 12월 18일.
- ↑ 国民民主、「非共産」明確に 枠組み離脱, 산케이 신문, 2021년 11월 4일.
- ↑ 維新、国民民主が「是々非々」野党連携へ, 산케이 신문, 2021년 11월 6일.
- ↑ 維新と国民、初の幹事長、国対委員長会談 政策面で連携強化確認, 마이니치 신문, 2021년 11월 9일.
- ↑ “国民民主党新役員体制”. 2020년 12월 23일. 2020년 12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일본어)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