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다이 본선
규다이 본선(일본어: 久大本線)은 일본 후쿠오카현 구루메시의 구루메 역으로부터 오이타현 오이타시에 위치한 오이타 역에 이르는 총 연장 141.5km 길이의 규슈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이다. 유후 고원선의 애칭이 붙여져 있다.
![]() (유후 고원 선) | |
---|---|
![]() 규다이 본선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구루메 역 일본 후쿠오카현 구루메시 |
종점 | 오이타 역 일본 오이타현 오이타시 |
역 수 | 37 |
개통일 | 1915년 10월 30일 |
소유자 | 규슈 여객철도 |
운영자 | 규슈 여객철도 |
노선 제원 |
구루메 측은 지쿠고 강과 그 지류의 구스 강을 따라서, 오이타 옆은 오이타 강을 따라서 규슈를 횡단하고 있다. 연선에는 오이타현의 작은 교토라고 하는 히타나 온천지의 유후인등의 관광지를 앞에 두고 있다.
노선 정보편집
- 관할 (사업종별): 규슈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노선 거리 (영업 거리): 141.5 km
- 궤간: 1067 mm
- 역수: 37 (기. 종점 포함)
- 복선 구간: 없음 (전 구간 단선)
- 전선화 구간: 없음 (전 구간 비 전선화)
- 폐색 방식: 특수자동폐색식
- 최고 속도: 95 km/h
구루메 역 - 분고미요시 역 구간이 북부 큐슈 지역 본사, 분고나카가와 역 - 오이타 역 구간이 오이타 지사의 관할이다. 지사경계는 고가세 터널의 분고미요시 방면 출입구로부터 약 0.5 km앞에 있다.
운행 형태편집
우등 열차편집
우등 열차로서 전구간에서 하카타 역 - 유후인 역 · 오이타 역 구간의 특급 「유후」 「유후인의 숲」이 운행되고 있다.
지역 운송편집
보통 열차도 전 구간을 통해 운행되는 열차가 있지만, 대개 히타 역 · 유후인 역에서 운행 계통이 나뉘고 있다.
구루메 역 - 히타 역 구간편집
보통 열차는 기본적으로 구루메 역 발착이지만, 아침의 1대만 가고시마 본선의 도스 역 발의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다만, 구루메 역에 차량 유치 스페이스가 없기 때문에 도스 역까지 회송되어 유치되어 재차 회송되어 구루메 역으로부터 영업 운전에 들어가는 열차도 있다. 구루메 역 - 젠도지 역 · 지쿠고요시이 역 · 우키하 역 구간, 지쿠고요시이 역 → 히타 역 구간(평일 만)의 구간 운전 열차도 설정되어 있어 1시간당 구루메 역 - 히타 역 구간 직통이 1대, 구루메 역 - 지쿠고요시이 역· 우키하 역 구간은 구간 운전이 들어가 2대가 되는 시간대가 있다. 요아케 역 - 히타 역 구간은 히타히코산 선의 열차도 노선 연장하고 있어 그 중의 하행선 열차는 오이타 역까지 직통하는 열차도 있다.
히타 역 - 유후인 역 구간편집
크게 나누면 히타 역(이서 포함한다) - 분고모리 역 구간의 열차와 히타 역(이서 포함한다) - 유후인 역(이동 포함한다) 구간의 열차가 많지만, 분고모리 역 - 유후인 역(이동 포함한다) 구간의 열차도 있다. 전선 직통열차나 히타 역 - 오이타 역 구간의 열차 등 구루메 방면이나 오이타 방면의 구간과 직통하는 열차도 설정되어 있지만, 이 구간의 댓수는 적고 4 - 5시간 정도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가 있다. 또, 히타 역 - 아마가세 역 구간의 구간 열차도 설정되어 있었지만, 2008년 3월 15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폐지되고 있다.
유후인 역 - 오이타 역 구간편집
이 구간은 오이타 근교에서 개수도 비교적 많다. 하루는 1시간당 유후인 역 - 오이타 역 구간 직통이 1대 운행되고 있다. 아침과 저녁에는 쇼나이 역 · 무카이노하루 역 · 분고코쿠부 역 - 오이타 역 구간의 구간 운행이 있어, 2대가 되는 시간대가 있다. 분고모리 역 · 히타 역 - 오이타 역 구간을 직통하는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단독 운행의 경우는 무카이노하루 역 - 오이타 역 사이에 한정해, 플랫폼 측 모든 문이 열리므로 차내 정산은 실시하지 않는다.
사용 차량편집
과거 사용 차량편집
- 기동차
- 키하58계 · 키하 65형: 특급 · 보통 열차로 사용됨.
- 키하66 · 67형 - 히타히코산 선 직통 열차
- 키하31형
- 키하183계 - 특급 유후DX용
역사편집
오이타 역 - 아마가세 역 구간은 오유 선(다이도 선)으로서 개통했다. 이 중 오이타 역 - 오노야 역 구간은 사철의 오유 철도로서 개업하고 있다. 오유 철도가 계획하고 있던 유노히라역까지 연신된 것은, 국유화 후의 1923년이었다. 이후 차례차례 연신되어 1933년에 아마가세 역까지 개업했다.
구루메 역 - 아마가세 역 구간은 규다이 선으로서 개업했다. 최초로 개업한 것은 구루메 역 - 지쿠고요시이 역 구간에서 1928년에 개업했다. 그것까지 구루메역 - 도다 역(히타정) 구간에 사철의 지쿠고 궤도가 달리고 있었지만, 규다이 선과 경합 하기 위해 보상을 받아 1929년에 폐지되었다. 히타 역까지 개업한 것은 1934년으로, 동년 중에 마지막 구간인 히타 역 - 아마가세 역 구간이 개업해 구루메 역 - 오이타 역 까지 전 구간이 개통했다.
연혁편집
오유 선 (오이타 역 - 아마가세 역 구간)편집
- 1915년 10월 30일: 오유 철도가 오이타 시 역 - 오노야 역 구간 개통. 오이타 시 역 · 후루고 정류장 · 에이코 정류장 · 가쿠 역 · 히라요코세 정류장 · 무카이노하루 역 · 오니가세 정류장 · 이치기 정류장 · 오노야 역 개업.
- 1918년 2월 1일: 모리노키 정류장 개업.
- 1922년 12월 1일: 오유 철도가 매수, 국유화 되어, 오이타 역 - 오노야 역 구간을 규다이 오유 선으로 한다. 오이타 시 역은 오이타 역에 합병되어 폐지, 후루고 정류장 · 모리노키 정류장 · 히라요코세 정류장 · 오니가세 정류장 · 이치기 정류장 폐지. 에이코 정류장이 역으로 변경하여 개업.
- 1923년 9월 29일: 오노야 역 - 유노히라 역 구간 연신 개통. 덴진야마 역 · 쇼나이 역 · 유노히라 역 개업.
- 1925년
- 1926년 11월 26일: 기타유후 역 - 노야 역 구간 연신 개통. 노야 역 개업.
- 1928년 10월 28일: 노야 역 - 분고나카무라 역 구간 연신 개통. 분고나카무라 역 개업.
- 1929년 10월 15일: 분고나카무라 역 - 분고모리 역 구간 연신 개통. 히키지 역 · 에치 역 · 분고모리 역 개업.
- 1930년 4월 6일: 오니가세 역 - 오노야 역 구간에서, 후진 견인(보일러 측을 객차로 향해서 견인)을 실시한 기관차의 보일러가 파열. 연실문으로부터 대량의 고열 증기가 객차 내에 불어와, 23명이 사망하는 사고(규다이 선 기관차 보일러 파손 사고)가 발생.
- 1932년 9월 16일: 분고모리 역 - 기타야마다 역 구간 연신 개통. 기타야마다 역 개업.
- 1933년 9월 29일: 기타야마다 역 - 아마가세 역 구간 연신 개통함에 따라, 아마가세 역 개업.
- 1934년 11월 15일: 규다이 선에 편입.
규다이 선편집
- 1928년 12월 24일: 구루메 역 - 지쿠고요시이 역 구간이 개업함에 따라, 규다이 선으로 한다. 미나미구루메 역 · 미이 역 · 젠도지 역 · 지쿠고구사노 역 · 다누시마루 역 · 지쿠고요시이 역 개업.
- 1931년 7월 11일: 지쿠고요시이 역 - 지쿠고오이시 역 구간 연신 개통. 지쿠고센조쿠 역 · 지쿠고오이시 역 개업.
- 1932년 3월 12일: 지쿠고오이시 역 - 요아케 역 구간 연신 개통. 요아케 역 개업.
- 1934년
- 1937년 6월 27일: 미야하라 선 개업에 의해 규다이 선을 규다이 본선으로 한다.
- 1950년 1월 1일: 기타유후 역을 유후인 역으로 명칭 변경.
- 1957년 3월 15일: 스기카와치 역 개업.
- 1984년
- 1월 20일: 아마가세 역 - 오이타 역 구간에 열차 집중 제어 장치 (CTC)도입.
- 2월 15일: 구루메 역 - 아마가세 역 구간에 CTC 도입.
- 1987년 4월 1일: 전 구간 화물영업 폐지. 국철 민영화 분리에 의해 규슈 여객철도가 승계.
- 1988년 3월 13일: 후루고 역 개업.
- 1989년 3월 11일: 분고고쿠부 역 개업.
- 1990년 5월 1일: 지쿠고센조쿠 역을 우키하 역으로 명칭 변경.
- 2000년 3월 11일: 구루메 대학 앞 역 개업.
- 2009년 3월 14일: 구루메 고교 앞 역 개업.
역 목록편집
역명 | 일어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선로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구루메 | 久留米 | - | 0.0 | ∨ | 규슈 신칸센, 가고시마 본선 | 후쿠오카현 | 구루메시 | |
구루메코코마에 | 久留米高校前 | 3.4 | 3.4 | | | ||||
미나미쿠루메 | 南久留米 | 1.5 | 4.9 | ◇ | ||||
구루메다이가쿠마에 | 久留米大学前 | 1.9 | 6.8 | | | ||||
미이 | 御井 | 1.2 | 8.0 | ◇ | ||||
젠도지 | 善導寺 | 4.6 | 12.6 | ◇ | ||||
지쿠고쿠사노 | 筑後草野 | 3.1 | 15.7 | ◇ | ||||
다누시마루 | 田主丸 | 5.1 | 20.8 | ◇ | ||||
지쿠고요시이 | 筑後吉井 | 5.6 | 26.4 | ◇ | 우키하시 | |||
우키하 | うきは | 3.6 | 30.0 | ◇ | ||||
지쿠고오이시 | 筑後大石 | 3.0 | 33.0 | | | ||||
요아케 | 夜明 | 6.1 | 39.1 | ◇ | 히타히코산 선 | 오이타현 | 히타시 | |
데루오카 | 光岡 | 6.1 | 45.2 | ◇ | ||||
히타 | 日田 | 2.4 | 47.6 | ◇ | ||||
분고미요시 | 豊後三芳 | 1.8 | 49.4 | | | ||||
분고나카가와 | 豊後中川 | 5.9 | 55.3 | | | ||||
아마가세 | 天ヶ瀬 | 4.2 | 59.5 | ◇ | ||||
스기카와치 | 杉河内 | 4.1 | 63.6 | | | ||||
기타야마다 | 北山田 | 4.2 | 67.8 | ◇ | 구스군 | 구스정 | ||
분고모리 | 豊後森 | 5.4 | 73.2 | ◇ | ||||
에라 | 恵良 | 4.1 | 77.3 | ◇ | 고코노에정 | |||
히키지 | 引治 | 3.4 | 80.7 | | | ||||
분고나카무라 | 豊後中村 | 2.4 | 83.1 | ◇ | ||||
노야 | 野矢 | 5.1 | 88.2 | ◇ | ||||
유후인 | 由布院 | 10.9 | 99.1 | ◇ | 유후시 | |||
미나미유후 | 南由布 | 3.4 | 102.5 | ◇ | ||||
유노히라 | 湯平 | 7.1 | 109.6 | ◇ | ||||
쇼나이 | 庄内 | 4.9 | 114.5 | ◇ | ||||
덴진야마 | 天神山 | 3.6 | 118.1 | | | ||||
오노야 | 小野屋 | 1.5 | 119.6 | ◇ | ||||
오니가세 | 鬼瀬 | 5.0 | 124.6 | | | ||||
무카이노하루 | 向之原 | 3.1 | 127.7 | ◇ | ||||
분고코쿠부 | 豊後国分 | 4.0 | 131.7 | ◇ | 오이타시 | |||
가쿠 | 賀来 | 2.2 | 133.9 | | | ||||
미나미오이타 | 南大分 | 2.7 | 136.6 | ◇ | ||||
후루고 | 古国府 | 2.3 | 138.9 | | | ||||
오이타 | 大分 | 2.6 | 141.5 | ∧ | 닛포 본선, 호히 본선 (아소코겐 선) |
폐지된 구. 정류장편집
- 이치기 신호장: 오노야 역 - 오니가세 역
- 오니가세 신호장: 오노야 역 - 오니가세 역
- 히라요코세 신호장: 무카이노하루 역 - 분고코쿠부 역
- 모리노키 신호장: 분고코쿠부 역 - 가쿠 역
- 미나미고쿠부 신호장: 미나미오이타 역 - 후루고 역
과거 접속 노선편집
- 구루메 역
- 서일본 철도 니시테쓰 가미구루메 선: 1948년 7월 5일 운휴, 1951년 12월 25일 폐지.
- 지쿠호 궤도: 1929년 3월 26일 폐지.
- 에라 역: 미야하라 선 - 1984년 12월 1일 폐지.
- 오이타 역: 오이타 교통 베쓰다이 선: 1972년 4월 5일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