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팔원숭이 또는 기번(Gibbon)은 긴팔원숭이과(Hylobatidae)에 속하는 4속 20종 유인원의 통칭이다.[1][2] 소형유인원류(lesser apes)라고도 부른다. 긴팔원숭이는 이배체 염색체 수를 기준으로 4개 속으로 분류한다:긴팔원숭이속(44개), 큰긴팔원숭이속(50개), 흰눈썹긴팔원숭이속(38개), 볏긴팔원숭이속(52개).[2][3] 최근까지 흰눈썹긴팔원숭이속(Hoolock)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생각되어 왔던, 멸종된 부노피테쿠스 세리쿠스(Bunopithecus sericus)도 긴팔원숭이 또는 긴팔원숭이와 같은 유인원이다.[2] 긴팔원숭이는 인도 북부와 인도네시아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 자와섬, 중국 등의 열대/아열대우림에 분포한다.

긴팔원숭이
흰손긴팔원숭이
흰손긴팔원숭이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아목: 직비원아목
하목: 원숭이하목
상과: 사람상과
과: 긴팔원숭이과
(Hylobatidae)
그레이, 1870
  • 본문 참조

긴팔원숭이는 신체적인 특징 때문에 나무로 이동할 때 다른 원숭이들은 다리를 이용하여 옮겨가지만 팔을 이용해서 나뭇가지들을 붙잡으며 옮겨다닌다.

하위 분류

편집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영장류의 계통 분류이다.[4] [5]

영장목
곡비원아목

아다피스하목

여우원숭이하목
여우원숭이상과

아이아이과

족제비여우원숭이과

난쟁이여우원숭이과

여우원숭이과

† Megaladapidae

인드리과

† Palaeopropithecidae

† Archaeolemuridae

로리스상과

로리스과

갈라고과

직비원아목
안경원숭이하목

안경원숭이과

원숭이하목

광비원소목 (신세계원숭이)

협비원소목

긴꼬리원숭이과 (구세계원숭이)

사람상과

긴팔원숭이과

사람과

각주

편집
  1.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78-181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2. Mootnick, A.; Groves, C. P. (2005). “A new generic name for the hoolock gibbon (Hylobatidae)”. 《International Journal of Primatology》 26 (26): 971–976. doi:10.1007/s10764-005-5332-4. 
  3. Geissmann, Thomas (1995년 12월). “Gibbon systematics and species identification” (PDF). 《International Zoo News》 42: 467–501. 2008년 8월 15일에 확인함. 
  4. Cartmill, M.; Smith, F. H. (2011). 《The Human Lineage》. John Wiley & Sons. ISBN 978-1-118-21145-8. 
  5. Orlando, L.; Calvignac, S.; Schnebelen, C.; Douady, C.J.; Godfrey, L.R.; Hänni, C. (2008). “DNA from extinct giant lemurs links archaeolemurids to extant indriids”. 《BMC Evolutionary Biology》 8 (121): 121. Bibcode:2008BMCEE...8..121O. doi:10.1186/1471-2148-8-121. PMC 2386821. PMID 18442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