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국
김응국(金應國, 1966년 1월 14일 ~ )은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외야수이자, KBO 리그 전 한화 이글스의 타격코치이다.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66년 1월 14일 | (59세)|||
출신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신장 | 185 cm | |||
체중 | 96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좌투좌타 | |||
수비 위치 | 좌익수, 중견수 | |||
프로 입단 연도 | 1988년 | |||
드래프트 순위 | 1988년 2차 2순위(롯데 자이언츠) | |||
첫 출장 | KBO / 1988년 | |||
마지막 경기 | KBO / 2003년 8월 29일 사직 대 삼성전 | |||
획득 타이틀 | ||||
연봉 | 7,000만 원 (2013년)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 ||||
선수 시절
편집청원정보산업고등학교에서 야구부 활동을 할 때 포지션은 투수였다. 그러나 1984년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과(1984학번)에 진학한 뒤 어깨 부상을 당하면서 투수로서의 빛을 잃어 갔다. 1988년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과(1984학번)를 졸업하고 롯데 자이언츠의 2차 2순위 지명을 받아 투수로 입단하였다. 1988년 시즌에는 좌완급 투수로 뛰었지만, 다음 해인 1989년 시즌 중 이성득 코치의 권유로 타자로 전향하였다. 이후 타자로서 좌타자로 프로 무대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였으며 내야 2루타를 치기도 했다. 10여 년 동안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 은퇴하였다.
야구선수 은퇴 후
편집은퇴 후 현대 유니콘스, 넥센 히어로즈의 타격코치를 역임한 후 자신이 프로 생활을 한 부산으로 다시 돌아와 부산고등학교 및 김해고등학교의 코치를 맡았는데 현대 유니콘스 해체 후[1] 이 선수들을 주축으로 하여 2008년 창단된 한편 본인(김응국)의 고향 서울을 연고로 한 넥센 히어로즈에서 2009년까지 타격코치를 역임하기도 했다. 다. 2013년 롯데 자이언츠 주루·외야수비 코치로 돌아왔다. 그리고 2015년 10월 16일 한화 이글스의 타격 코치로 영입되었다.
출신 학교
편집- 서울전곡초등학교
- 동대문중학교
- 청원정보산업고등학교
-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수상
편집특이사항
편집주요 기록
편집기록 | 날짜 | 소속 | 구장 | 상대팀 | 상대 투수 | 경기수 | 타석수 | 달성 당시 나이 | 기타 | 각주 |
---|---|---|---|---|---|---|---|---|---|---|
1000안타 | 1999. 4. 21 | 롯데 | 인천 | 현대 | 966 | 3874 | 33세 3개월 7일 | 역대 16번째 |
통산 기록
편집투수 기록
편집연도 | 소속 | 평균자책 | 경기 | 승 | 패 | 세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기타 |
---|---|---|---|---|---|---|---|---|---|---|---|---|---|---|
1988 | 롯데 | 5.03 | 8 | 0 | 0 | 0 | 19⅔ | 24 | 1 | 15 | 6 | 11 | 11 | |
1989 | 6.75 | 6 | 0 | 0 | 0 | 2⅔ | 4 | 1 | 1 | 0 | 2 | 2 | ||
통산 성적 | 5.24 | 14 | 0 | 0 | 0 | 22⅓ | 28 | 2 | 16 | 6 | 13 | 13 |
타격 기록
편집연도 | 소속 | 타율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삼진 | 병살타 | 희생타 | 장타율 | 비고 |
---|---|---|---|---|---|---|---|---|---|---|---|---|---|---|---|---|---|
1989 | 롯데 | 0.483 | 10 | 29 | 14 | 0 | 0 | 1 | 3 | 5 | 2 | 1 | 2 | 0 | 0 | 0.586 | |
1990 | 0.292 | 108 | 377 | 110 | 20 | 4 | 7 | 47 | 53 | 21 | 49 | 41 | 9 | 7 | 0.422 | ||
1991 | 0.300 | 121 | 436 | 131 | 17 | 8 | 9 | 51 | 77 | 25 | 64 | 47 | 5 | 4 | 0.438 | 올스타전 MVP | |
1992 | 0.319 | 119 | 401 | 128 | 20 | 12 | 10 | 79 | 76 | 29 | 63 | 50 | 6 | 22 | 0.504 | 외야수 골든글러브 | |
1993 | 0.285 | 108 | 369 | 105 | 26 | 3 | 3 | 48 | 49 | 12 | 40 | 44 | 7 | 11 | 0.396 | ||
1994 | 0.323 | 100 | 350 | 113 | 24 | 4 | 8 | 55 | 63 | 20 | 48 | 45 | 7 | 9 | 0.483 | ||
1995 | 0.299 | 104 | 364 | 109 | 14 | 4 | 8 | 61 | 58 | 31 | 62 | 45 | 7 | 9 | 0.426 | ||
1996 | 0.321 | 126 | 446 | 143 | 22 | 6 | 9 | 64 | 62 | 26 | 67 | 61 | 11 | 5 | 0.457 | 외야수 골든글러브, 사이클링 안타 | |
1997 | 0.250 | 62 | 204 | 51 | 17 | 3 | 2 | 22 | 26 | 2 | 29 | 47 | 4 | 2 | 0.392 | ||
1998 | 0.266 | 94 | 305 | 81 | 11 | 2 | 4 | 36 | 32 | 2 | 35 | 46 | 2 | 2 | 0.354 | ||
1999 | 0.293 | 125 | 481 | 141 | 27 | 7 | 8 | 60 | 98 | 12 | 63 | 81 | 6 | 11 | 0.428 | ||
2000 | 0.277 | 107 | 401 | 111 | 15 | 3 | 6 | 45 | 57 | 9 | 36 | 78 | 7 | 2 | 0.374 | ||
2001 | 0.277 | 89 | 274 | 76 | 10 | 1 | 4 | 33 | 35 | 2 | 23 | 44 | 7 | 3 | 0.365 | ||
2002 | 0.284 | 116 | 373 | 106 | 15 | 3 | 3 | 49 | 35 | 12 | 36 | 58 | 8 | 3 | 0.365 | ||
2003 | 0.236 | 51 | 140 | 33 | 5 | 1 | 4 | 14 | 18 | 2 | 14 | 22 | 6 | 2 | 0.371 | ||
통산 | 15시즌 | 0.293 | 1440 | 4950 | 1452 | 243 | 61 | 86 | 667 | 744 | 207 | 630 | 711 | 92 | 92 | 0.419 | 역대 최다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3회) |
각주
편집- ↑ 문성대 (2008년 10월 14일). “[뉴시스아이즈]히어로즈 새 사령탑 김시진, 멋진 구원투수 꿈”. 뉴시스. 2022년 5월 1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