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규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감독 (1923–1998)
김진규(金診奎[2], 본명: 김진규, 본명 한자: 金珍圭[3], 1923년 4월 12일[4] ~ 1998년 6월 18일)는 대한민국의 영화배우이다. 본관은 김녕(金寧)이다.
김진규 | |
---|---|
출생 | 1922년 4월 16일[1]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서천군 마산면 관포리 |
사망 | 1998년 6월 18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강남성모병원 | (76세)
직업 | 가수, 연극배우, 뮤지컬 배우 영화배우, 영화감독, 영화 기획가 영화제작자 |
활동 기간 | 1944~1998년 |
종교 | 천주교(영세명 : 마르티노) |
학력 | 서천보통학교 수료 신흥보통학교 졸업 대전고등보통학교 졸업 일본 오이타현 오이타 우사 농업전문학교 중퇴 일본 도쿄 우에노 음악학교 중퇴 |
부모 | 김형우(부), 이명기(모) |
친척 | 김형래(숙부) 정애연(셋째며느리) 김보옥(처제) 이덕화(아랫동서) 이지현(처이질녀) 김경아(처이질녀) 최병서(처이질서) 이예춘(사돈) |
배우자 | 김보애(재결합) 이민자(이혼) 박기자(이혼) |
자녀 | 장남 김진철(이민자 소생) 차남 김진수(이민자 소생) 장녀 김진선(김보애 소생) 차녀 김진아(김보애 소생) 3녀 김리나(김보애 소생) 3남 김진근(김보애 소생) |
수상 |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 아시아영화제 남우주연상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대종상 남우주연상 대한민국문화예술 보관문화훈장 1986년 제25회 대종상 영화인상 |
생애
편집충청남도 서천에서 출생하였다. 서천보통학교를 졸업 후 자동차 수리공장의 사환으로 일하면서 대전고등보통학교에 다니던 시절에 일본인의 양자가 되어[5] 오이타현 오이타 우좌(宇佐) 농업전문학교를 다녔고 도쿄 우에노 음악학교를 다녔던 바 있으나 모두 중퇴하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44년 가수 첫 데뷔한 그는 이후 조선연예주식회사 연구생으로 들어가 1945년 연극《살구꽃》으로 처음 연극배우 무대에 선다. 약초(若草) 연예주식회사 연구부에서 연기를 배운 그는 8·15 광복 후 장동휘 등과 극단 장미를 창립하여 첫 공연으로 '아름다운 새벽'을 무대에 올렸다. 1955년 이강천 감독의《피아골》에 주연으로 캐스팅되면서 영화에 데뷔했다. 이후 1960년대 한국 영화의 황금기를 이끄는 배우로 활약했다. 1945년 이민자와 결혼했으나 1959년 이혼했고 같은 해 1959년 김보애와 재혼했으나 1973년 이혼했으며 1976년 박기자와 3번째 결혼했으나 1992년 이혼했고 1997년 김보애와 재결합하여 1998년 사망할 때까지 부부 관계를 다시 유지했다.
한국연극영화배우협회 회장, 한국영화인협회 이사장,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학력
편집소속
편집- 前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부회장
작품
편집영화 대표작
편집- 1955년 《피아골》(감독 이강천)
- 1956년 《포화 속의 십자가》
- 1956년 《처녀별》
- 1956년 《옥단춘》
- 1957년 《사랑》
- 1958년 《사랑하는 까닭에》
- 1959년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
- 1959년 《청춘극장》
- 1960년 《이 생명 다하도록》
- 1960년 《하녀》
- 1961년 《오발탄》(감독 유현목) - 박봉 계리사 역
- 1961년 《별》
- 1965년 《생명은 불꽃처럼》(감독 장일호)
- 1965년 《순교자》(감독 유현목) - 머슴 역
- 1966년 《유정》 - 그 역
- 1967년 《원죄》
- 1970년 《세조대왕》
- 1970년 《미행자》
- 1972년 《의사 안중근》
- 1972년 《낙도의 무지개》
- 1973년 《몸 전체로 사랑을》
- 1973년 《집행유예》
- 1974년 《증언》
- 1974년 《깊은 사이》
- 1974년 《아빠하고 나하고》
- 1974년 《잊지 못할 모정》
- 1975년 《삼포 가는 길》(감독 이만희) - 주연
- 1976년 《아라비아의 열풍》
- 1976년 《발가락이 닮았다》
- 1977년 《광화문통 아이》
- 1977년 《난중일기》
- 1981년 《사랑하는 사람아》
- 1983년 《마음은 외로운 사냥꾼》
- 1984년 《가고파》
- 1984년 《꽃잎이어라 낙엽이어라》
- 1985년 《야망과 도전》
영화 감독
편집- 1967년 《종자돈》
영화 제작
편집- 1970년 《성웅 이순신》
수상 경력
편집- 1960년 제3회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 - 비극은 없다
- 1961년 제4회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 - 박서방
- 1962년 제5회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 - 성춘향
- 1962년 아시아영화제 남우주연상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1964년 제2회《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 잉여인간
- 1965년 제12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남우주연상 - 벙어리 삼룡
- 1965년 제8회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 벙어리 삼룡
- 1966년 제5회 《대종상》 남우주연상 - 태양은 다시 뜬다
- 1969년 제12회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 - 카인의 후예
- 1977년 제16회 《대종상》 남우주연상 - 난중일기
- 1977년 《MBC 연예대상》 영화배우부문
- 1996년 대한민국문화예술 보관문화훈장
- 1986년 제25회 《대종상》 영화인상
가족 관계
편집김보애와 결혼했다가 이혼했다. 이후 재결합했다. 아들 김진철, 김진수, 김진근, 딸 김진선, 김진아, 김리나.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호적상으로는 1923년 4월 12일이며, 《내 운명의 별 김진규》(2009년, 21세기북스)라는 도서에는 1922년 4월 16일 출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 ↑ “77文化界 主役 (7) 元老스타 金振奎씨”. 경향신문. 1977년 12월 27일. 2022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奎」가아닌「圭」 김진규씨가 밝혀”. 경향신문. 1976년 12월 16일. 2022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호적상의 출생년월일은 1923년 4월 12일이며 《내 운명의 별 김진규》(2009년, 21세기북스)라는 도서에는 1922년 4월 16일 출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 ↑ 한겨레, 타계한 김진규씨 60년대 풍미한 한국영화의 큰 별 '사랑방 손님'떠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