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일 (1898년)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 (1898–1980)

김홍일(金弘壹, 1898년 9월 23일 ~ 1980년 8월 8일)은 중화민국 육군 군인이자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운동가 출신 대한민국군인정치인이다. 평안북도 출신으로, 본관은 법흥이다. 초명은 홍일(弘日), 호는 일서(逸曙), 산남(山南). 별명은 최세평(崔世平), 중국어 이름은 王雄·王逸曙·王復高. 중국군 현역 군인 신분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김구를 도와 윤봉길, 이봉창의 거사를 지원하였고, 한국 광복군 참모장을 거쳐 국군 준장으로 임관하여 6.25 전쟁에 참전하였다. 1961년 5·16 군사 정변 직후에는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김홍일
자유중화민국 주재 대사
임기 1951년 10월 1일 ~ 1960년 6월 30일
대통령 이승만
허정 (권한대행)
곽상훈 (권한대행)
백낙준 (권한대행)
허정 (권한대행)

제7대 외무부 장관
임기 1961년 5월 21일 ~ 1961년 7월 21일
대통령 윤보선

국가재건최고회의의 상임고문
이름
별명 중국식 가명은 왕웅(王雄)
신상정보
출생일 1898년 9월 23일
출생지 대한제국 평안북도 용천군 양하면 오송동리
사망일 1980년 8월 8일(1980-08-08)(81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8기(1963)
정당 무소속
부모 김진건(부)[1]
배우자 최서경(사별), 민경란(재혼)
친인척 김영재(친조카)
민칠식(계배 손아랫 처남)
종교 유교(성리학) → 대종교개신교
기타 이력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
신민당 국회의원
신민당 총재
민주통일당 고문
군사 경력
복무 중화민국 육군 국민혁명군
대한민국 육군
복무기간 1919년 2월 15일 ~ 1951년 3월 8일
지휘 육군사관학교 교장
국방부 제병협동본부 보병학교 교장
육군 경기도 시흥지구 전투사령관
육군 제1군단장
육군종합학교 교장
육군기갑학교 교장
상훈 충무무공훈장
태극무공훈장
청조근정훈장
건국훈장 독립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생애

편집

독립운동가

편집

대한제국 평안북도 용천에서 출생했다. 평안북도 정주 오산학교에서 남강 이승훈과, 고당 조만식 문하에서 수학을 하였다. 이후 오산학교 교사로 근무하였으며 이때 감시와 탄압을 피해 중화민국으로 망명하였다. 1921년 구이저우의 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국민혁명군 소위로 임관하며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1923년에는 한국의용군사령관을 지냈다.

국민혁명군 활동

편집

장제스의 국민혁명군에 투신하여 1926년 중국국민혁명군 동로군 소령 참모로서 북벌전쟁에 참가하였다. 이후 연대장, 군단 및 집단군 참모장, 사단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1939년에는 외국인으로서는 최초의 중앙군 소장에 이르렀다. 1943년에는 중국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1932년 백범 김구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의 요청으로 폭탄을 제작하여 이봉창 의사와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지원하였다.

광복 이후

편집

1945년 11월 국민혁명군에 다시 복귀하여 두율명 장군의 동북보안사령부 고급 참모 겸 한교사무처장으로 부임하였고, 중장(중국 국부군의 중장은 2성 장군)으로 남경의 국방부 정치부 전문위원으로 부임하였다.

국군 복무

편집

장군으로 입대

편집

1948년 12월 10일 이승만 대통령의 특별 지시로 육군 준장으로 임관되었고 육군사관학교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6.25 전쟁

편집

6.25 전쟁이 발발하고, 개전 초기 그는 국방부에서 개최된 군원로회의에서 서울 포기 및 한강이남에서 방어선 구축안을 제시했지만 거부당했다.[2] 이후 그에게 주어진 직책이 없었기에 참모학교로 내려가 있었다. 이후 전황은 점점 심각해졌고, 결국 채병덕 육군참모총장의 잘못된 명령으로 인해 국군 5개사단이 서울에서 철수하기 전에 한강교를 폭파시켰다. 이로써 국군의 5개 사단이 한강 이북에 고립되었고, 이로 인해 대부분의 병력이 흩어지게 되었다.

전황이 심각해지자 채병덕 육군참모총장 등은 시흥지구전투사령부를 설치하고 김홍일 소장을 사령관으로 임명하게 된다. 이후 김홍일 소장은 흩어진 병력을 수습하여 한강 이남에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김홍일 소장의 활약으로 서부지역의 육군은 병력을 수습하고 편제를 재편할 수 있었고, 시흥사는 곧바로 제1군단으로 변화되었다. 이후 수도사단, 제1사단, 제2사단을 효과적으로 지휘하여 미군과 협조하여 진천-음성-청주 축선에서 성공적인 지연전을 수행하였다.

또한 낙동강 방어작전에서 기계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등 제1군단장으로서 반격작전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그러나 그 후 1950년 개교된 육군종합학교 교장으로 발령이 났고 이듬해 3월에는 국방장관 신성모의 모략으로 족청계 쿠데타설에 연루되어 강제예편당했으나 이승만의 배려로 주중화민국(대만)대사에 임명되어 10년간 근무했다.

정치 활동

편집

중국 대사

편집

1951년부터 1961년까지 주 중화민국 대사를 역임하였다.[3] 중화민국 대사로 있던 1960년 4월 4·19 혁명이 발생하자, 김홍일은 그 원인으로 최고조에 달한 공산주의자들에 의한 악용한 기인하는 것이라고 비난하였다. 이번 사태가 극히 불행한 사건임을 시인하면서 중화민국에서 교육받은 대사는 기자들에 대하여 이번 사태는 6개 도시에서 계엄령이 선포되어 진정될 것이라고 말하였다. "우리는 적색음모를 방지할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김 대사는 본국 정부를 옹호하여 말하였다. 그러나 김 대사는 그가 현장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현재의 이 폭동이 어느 정도까지 공산주의자들의 조작에 의한 것인지 단정할 수 없다고 부언하였다.[4], 1960년 무렵 모종의 정변계획을 세우고 강원룡에게 도움을 요청하였으나 응답을 받지 못하였다.[5]

5.16 군사 정변

편집
 
5·16 군사 정변 무렵

그 뒤 5.16 군사정변 이후 5월 20일 군사혁명위원회[6] 가 구성되자 군사혁명위원회 위원의 한사람으로 선출되었고 혁명내각의 외무부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박정희가 아니라 김홍일과 같은 평안도 출신이었던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장도영의 추천에 의한 것이었다.[7] 그러나 그덕분에 혁명세력의 내분이 일어나 박정희 세력이 장도영 세력을 거세시키자 김홍일 또한 밀려나게 되었다. 그후 박정희의 민정 참여를 반대하여 야당 정치인의 대열에 섰다.

야당 정치인

편집

1965년 박정희 정권의 한일협정 체결에 반대하면서 정계에 투신하여 1967년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한국독립당을 재건하였으나 당권이 김학규 등에게 넘어가고 당선자를 내지 못하면서 한국독립당은 결국 몰락하고 말았다.

1966년 12월 24일 야당통합과 대통령후보 단일화 추진을 위한 위원회가 설치되자 추진위원으로 위촉되었다.[8]

1969년 삼선개헌반대범국민투쟁위원회 지도위원으로 참여하였다.

만년

편집
 
서독을 방문중인 한국의 국회의원 6인 중(오른쪽에서 두번째) - 1970년 11월 10일

1971년 5월 10일에는 운영위원회를 열고 유진산양일동 등 운영위원회 부의장들의 사퇴서를 수리하고 김홍일을 신민당 당수 권한대행으로 임명한다.[9] 신민당 당수가 되었으나 당내 내분을 겪은 뒤 1972년 당수직을 사임하였다.

이후 광복회 회장을 거쳐 국정자문위원에 위촉되었다.

1979년 양력 1월 중순부터 노환을 앓다가 1년 7개월 후인 1980년 8월 8일 향년 83세로 타계하였다.

수훈 내역

편집
  • 중화민국
    • 제남작전유공(濟南作戰有功) (1928)
    • 만가령 회전 유공훈장(萬⊙領會戰有功受大功勳章) (1938)
    • 상고회전 전용감수 화주영예훈장(上高會戰⊙戰勇敢受華胄榮譽勳章) (1941)
    • 중국항일전쟁기념훈장(中國抗戰有功受勝利勳章) 및 항전기념장(抗戰記念章) (1945)
    • 서북시가전유공육해군일등장장(四平街戰功作戰有功受陸海軍一等奬章) (1946)
    • 충근(忠勤)
    • 대수운마(大綬雲摩)
    • 대수경성(大綬景星)

연보

편집

학력

편집

저서 및 논문

편집

저서

편집
  • 《대륙의 분노》

논문

편집
  • 《국방개론》
  • 《군대정신교육》

역대 선거 결과

편집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67년 총선 7대 국회의원 서울 마포구 신민당 44,506표
43.79%
1위   초선
1971년 총선 8대 국회의원 전국구 신민당 4,969,050표
44.4%
전국구 4번   재선
1973년 총선 9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중구 민주통일당 28,447표
21.38%
3위 낙선

각주

편집
  1. 1862년 출생 ~ 1918년 하세. 대한제국 평안북도 용천 지역의 부농가 대농 지주.
  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2』, 서울, 2005, pp 67-68
  3. 외교통상부. 《한국 외교 60년》 (PDF). 523쪽.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21일에 확인함. 
  4. “共産主義者들惡用”. 동아일보. 1960년 4월 22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동아일보 매거진::신동아
  6. 나중에 국가재건최고회의로 변경
  7. “革命內閣構成을發表”. 동아일보. 1961년 5월 21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8. 박경수, 《장준하(민족주의자의 길)》 (돌베개, 2006) 347페이지
  9. 이영훈,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2006) 111페이지

참고 문헌

편집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태극무공훈장에 빛나는 6.25전쟁 영웅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3)
  • 국방부, 호국전몰용사공훈록 제3집 (국방부, 1997)
  • 국방부, 자유민에게 전해다오 제1집 (대한민국 국방부, 1955)
  • 육탄 10용사 현충회, 육탄 10용사 (도서출판 법정, 1986)
  • 육군본부, 한국의 전쟁영웅들, (육군본부, 1992)
  • 이원복, 호국용사100선 (명성출판사, 1976)
  • 병학사, 내 젊음 조국에 (병학사, 1987)
  • 국방부, 한국전쟁사 제8집 (국방부, 1975)

외부 링크

편집
전임
최덕신
제7대 육군사관학교장
1949년 1월 15일 ~ 1950년 6월 10일
후임
이준식
전임
이범석
제3대 주 중화민국 대사
1951년 10월 ~ 1960년 6월
후임
백선엽
전임
정일형
제7대 외무부 장관
1961년 5월 21일 ~ 1961년 7월 21일
후임
송요찬
전임
유진산
신민당 대표 권한대행
1971년 5월 12일 ~ 1971년 10월 16일
후임
김홍일
전임
김홍일
(대표 권한대행)
신민당 대표
1971년 10월 16일 ~ 1972년 9월 28일
후임
유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