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늘보
나무늘보는 빈치류의 두 과인 두발가락나무늘보과와 세발가락나무늘보과에 속하는 6종의 포유동물이다. 중앙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에 분포하고 있으며, 매달려 있을 만한 나무가 우거진 열대우림지에 서식한다. 세상에서 제일 게으르고 느린 동물이다. 나무늘보는 회갈색 털을 지녔지만, 녹조류가 많이 부착하면 녹색을 띠기도 한다. 털 안의 환경조건이 녹조류가 자라나기에 알맞기 때문에 녹조류가 털 안에서 빠른 속도로 자라나게 된다.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상목: | 빈치상목 | |
목: | 유모목 | |
아목: | 나무늘보아목 (Folivora) | |
과 | ||
|
생태
편집현존하는 나무늘보는 잡식성으로서 주로 식물의 싹이나 부드러운 가지, 잎 따위를 먹지만 곤충이나 도마뱀 혹은 죽은 동물의 고기를 먹기도 한다. 나무늘보는 나무에서 잎을 뜯어 먹고 사는 데 특수하게 적응돼 왔다. 나무늘보가 주식으로 삼는 나뭇잎들은 에너지나 영양분 공급이 부족하고 소화도 잘 되지 않는다. 그래서 나무늘보들은 아주 크고 특수화되고 느리게 움직이는, 여러 구획으로 나뉜 위를 갖고 있는데 이 위 속에 사는 박테리아들이 나뭇잎을 분쇄한다. 잘 먹은 나무늘보의 경우, 몸무게의 2/3가 위 속의 내용물이며 이것의 소화 과정은 한 달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나뭇잎들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무늘보는 신진 대사율이 매우 낮으며 활동시 기준으로 섭씨 30~34도라는 낮은 체온을 유지한다. 나무늘보는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의 열대우림지역 이외의 환경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현재로서는 나무늘보의 6종 중 갈기세발가락나무늘보만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만, 남아메리카의 삼림 벌채가 진행됨에 따라 다른 나무늘보들에게도 생존의 위협이 되어 멸종위기 1급에 처해 있다.
생리
편집나무늘보의 털은 특수화된 기능을 나타낸다. 바깥쪽 털은 다른 포유동물과는 반대 방향으로 자란다.
대부분의 포유동물들은 털이 다리쪽을 향해서 자라는 데 반해 나무늘보는 나무에 거꾸로 매달려 있는 경우가 많기에 다리에서 몸 쪽을 향해 털이 자란다. 또한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는 털에 두 종류의 박테리아들이 서식하는데 이로 인해 위장술이 가능하다. 바깥쪽 털은 대체로 짙은 갈색이지만 때로는 녹색을 띠기도 하는데 이것은 바로 박테리아들 때문이다.
털을 다듬기 위해 몸을 핥을 때 이 박테리아들을 먹음으로써 영양분을 섭취하기도 한다. 짧고 납작한 머리와 큰 눈, 짧은 주둥이, 긴 다리와 그 끝에 달린 날카로운 발톱, 그리고 작은 귀를 가지며 꼬리는 뭉툭하며 길이는 6~7cm 정도다. 평균 몸길이는 50~60cm 정도이다. 청각이 안 좋으며 후각이 많이 발달되어 있다.
하위 분류
편집- 세발가락나무늘보과 (Bradypodidae)
- 세발가락나무늘보속 (Bradypus)
- 피그미세발가락나무늘보 (Bradypus pygmaeus)
- 갈색목세발가락나무늘보 (Bradypus variegatus)
- 엷은목세발가락나무늘보 (Bradypus tridactylus)
- 갈기세발가락나무늘보 (Bradypus torquatus)
- 세발가락나무늘보속 (Bradypus)
- 두발가락나무늘보과 (Megalonychidae) : 두발가락나무늘보와 멸종된 나무 늘보
- 두발가락나무늘보속 (Choloepus)
- 호프만두발가락나무늘보 (Choloepus hoffmanni)
- 남부두발가락나무늘보 (Choloepus didactylus)
- 두발가락나무늘보속 (Choloepus)
계통 분류
편집빈치상목 |
| |||||||||||||||||||||||||||||||||||||||||||||||||||||||||
각주
편집- ↑ Slater, G., Cui, P., Forasiepi, A. M., Lenz, D., Tsangaras, K., Voirin, B., ... & Greenwood, A. D. (2016).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extinct and extant sloths: the evidence of mitogenomes and retroviruses. Genome biology and evolution, evw023.
- ↑ Delsuc, F., Gibb, G. C., Kuch, M., Billet, G., Hautier, L., Southon, J., ... & Poinar, H. N. (2016).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Current Biology, 26(4), R155-R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