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운영
대한민국의 작곡가 (1922–1993)
나운영(羅運榮, 1922년 3월 1일~1993년 10월 21일)은 대한민국의 작곡가이다.
![]() | |
---|---|
![]() | |
기본 정보 | |
출생 | 1922년 3월 1일 |
사망 | 1993년 10월 21일 | (71세)
생애
편집본관은 나주이며, 서울에서 태어났다. 중학교 졸업 후 김성태의 지도로 작곡을 배웠고, 194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작곡 부문에 입상하였다.[1] 제국음악학교 본과를 마치고, 동교 연구과를 수료하였다. 모로이 사부로에게 작곡학을 배웠다. 중앙대·서울대·숙명여대·연세대학교·전남대학교·목원대학교 등의 교수를 지냈다. 1946년에 민족음악연구소를 창립하고 1973년에는 한국 민속음악박물관을 설립했다.[2] 한국 현대음악회장·한국 현대음학협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그동안 수차례의 신곡 발표회 및 작품 연주회를 개최하였다. 1965년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작품
편집교향곡, 협주곡, 미사곡, 오페라, 가곡 등 여러 음악을 작곡하였다.
교향곡
편집- 피아노협주곡 제1, 2, 3번
- 바이올린 협주곡 제1, 2번
- 첼로협주곡 제1번 외 4곡
- 오페라
-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에밀레종〉, 〈바보 온달〉
- 실내악곡
- 현악사중주 제1번 "로맨틱", 8명의 연주자를 위한 시나위 등
- 가곡
- 〈가려나〉, 〈달밤〉, 〈접동새〉 등
- 성가곡
- 〈주께 드리네〉,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피난처 있으니〉 등 성가독창곡 15곡 외 성가합창곡
- 칸타타
- 부활절 칸타타, 크리스마스 칸타타 등 모두 9곡
- 기타
- 동요, 한국찬양곡, 금강산 등
군가
편집저서
편집저서로 《화성학》, 《대위법》,《작곡법》, 《관현악법》, 《음악분석법》등이 있다.
각주
편집- ↑ 作曲專攻의길에 作曲當選者 羅運榮君 談, 《동아일보》, 1940.1.26
- ↑ 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의 서양음악가/작곡가/나운영, 《글로벌 세계 대백과》
- ↑ 작곡가 나운영의 생애와 작품
이 글은 작곡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