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광주역 (폐역)
대한민국의 폐역
남광주역(Namgwangju station, 南光州驛)은 광주광역시 동구 학1동에 위치했던 경전선의 철도역이다. 인근에 남광주시장과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남광주역이 있다.
남광주
| |
---|---|
![]() 승강장 터(2019년 5월) | |
![]() | |
개괄 | |
소재지 |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55 |
좌표 | 북위 35° 8′ 19.63″ 동경 126° 55′ 18.15″ / 북위 35.1387861° 동경 126.9217083° |
노선 | 경전선 |
개업일 | 1930년 12월 25일 |
폐지일 | 2000년 8월 10일 |
종별 | 폐역 |
승강장수 | 1면 1선 |
거리표 | |
경전선 | |
← 효천
광주 →
| |
|
1930년 12월 25일 신광주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이후 남광주역으로 개칭하였다. 광주의 철도 이용객을 분산시켜 광주시내 주요역으로 성장하였으나, 2000년 8월 10일 경전선 시외 이설로 인하여 이 역은 폐지되고, 역의 기능은 서광주역으로 넘어갔다. 그러나 서광주역의 수요는 구 남광주역에 비해 많지는 않으며, 오히려 광주시내 남쪽 변두리에 위치한 효천역의 이용객이 급증하였다.
문화편집
곽재구가 쓴 시 《사평역에서》는 이 역을 배경으로 한 시이다. 남평역으로 잘못 알려져 왔으나, 사실이 아니다.[1]
역사편집
- 1930년 12월 25일 : 신광주역(新光州驛)이라는 이름의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2]
- 1938년 4월 1일 : 남광주역(南光州驛)으로 개칭[3]
- 1971년 9월 10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4]
- 1973년 3월 1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취소[5]
- 1978년 11월 20일 : 화물취급 중지[6]
- 1993년 7월 15일 : 통일호 부산~목포 목포~부산 낮열차 1왕복 정차
- 1997년 10월 1일 : 소화물취급 중지[7]
- 2000년 8월 10일 : 경전선 광주 외곽 이설과 동시에 폐역, 역의 기능은 서광주역으로 이전.
- 2007년 2월 27일~28일 : 광주푸른길가꾸기운동본부, 경전선 남광주역에 관광열차 2량 편성.
- 2009년 겨울 : 남광철교와 남광주역승강장 연결
이용객 변동편집
2000년 ~ 2002년 자료는 역별 여객 발착통과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노선 | 인원수 (명)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전체 | 승차 | 104,777 | 54,859 | 58,436 | [8] |
하차 | 63,209 | 55,624 | 52,543 |
사진편집
광주역 방면(2008년 8월)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양권모 (1993년 6월 10일). “創作의 고향 (44) 郭在九 시집 「사평역에서」”. 경향신문. 2014년 4월 26일에 확인함.
- ↑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31년 1월 4일.
- ↑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198호, 1938년 3월 12일.
- ↑ 철도청고시 제37호, 1971년 9월 9일.
- ↑ 철도청고시 제10호, 1973년 2월 23일.
- ↑ 철도청고시 제38호, 1978년 10월 26일.
- ↑ 철도청고시 제1997-51호, 제1997-52호, 1997년 9월 19일.
- ↑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