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주희
남주희(南周希[1], 1969년 8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 및 가수이다. 1981년 KBS2 《꼴찌 만세》로 배우 활동을 시작했으며, 1996년에 광고 제작자 김규환과 혼인한 이후에도 활동을 이어가다 1998년을 마지막으로 연기자에서 은퇴했다[4]. 2010년에 시크의 보컬로 가수 활동을 시작했다.
남주희 (南周希[1]) | |
---|---|
출생 | 1969년 8월 3일 서울특별시 | (53세)
국적 | ![]() |
직업 | 배우, 가수 |
활동 기간 | 1981년 ~ 1998년(연기 활동) 2002년(한시적 활동 재개) 2010년 ~ 2020년(음악 활동) |
종교 | 기독교[2] |
소속사 | 스타서치(1994년 ~ 1995년)[3] 엠브리카뮤직(2013년) 매니지먼트 누리(2018년 ~ ) |
배우자 | 김규환(1996년 혼인) |
자녀 | 김성효[2] 외 1명[4] |
웹사이트 | facebook.com/IAmNamJuHee |
학력편집
- 건국대학교 국제무역학과 학사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장막극편집
방송사 | 연도 | 프로그램 | 배역 |
---|---|---|---|
KBS | |||
1981년 | 꼴찌 만세 | ||
1983년 | 고교생 일기 | ||
1985년 | 해돋는 언덕 | ||
1987년 | 애정의 조건 | ||
1988년 | 순심이 | ||
바라밀 | |||
1990년 | 꽃 피고 새 울면 | 성재연역 | |
야망의 세월 | 한지숙역 | ||
1993년 | 서 있는 여자 | ||
1998년 | 바람처럼 파도처럼 | ||
MBC | 1989년 | 겨울 안개 | 재경역 |
1990년 | 나의 어머니 | 준희역 | |
1991년 | 우리들의 천국 | 혜영역 | |
1995년 | 연애의 기초 | 기숙역 | |
TV시티 | 유정역 | ||
1996년 | 자반 고등어 | 남숙경역 | |
1997년 | 사랑보다 더 큰 사랑 |
현지역 | |
SBS | 1991년 | 사랑의 풍차 | 이주희역 |
1993년 | 성냥갑 속의 여자 | 오지홍역 | |
사랑과 우정 | |||
1995년 | 장희빈 | 숙빈 최씨역 |
단막극편집
방송사 | 프로그램 | 연도 | 부제 | 배역 | 영상 | 비고 |
---|---|---|---|---|---|---|
KBS | 드라마 게임 | 1986년 | 학과 참새 | 나래역 | ||
1988년 | 높이 나는 새 | 혜진역 | ||||
1989년 | 15일간의 귀향 | 승주역 | ||||
소슬바람의 미소 | ||||||
1991년 | 나의 이브 | |||||
해바라기가 있는 정물 | 김혜수역 | |||||
드라마 스페셜 | 1997년 | 이야기 | [5] | |||
MBC | 베스트 극장 | 1994년 | 오지리에 두고 온 서른 살 | 은이역 | ||
1997년 | 사랑한다면 그녀처럼 | 남희역 | ||||
1998년 | 정아 이야기 | 윤경역 | [6] |
영화편집
연도 | 작품 | 비고 |
---|---|---|
1981년 | 캔디 캔디 | [7] |
1993년 | 그대 침묵을 말하라 | [8] |
2017년 | 프로젝트 패기 | 시크 보컬역 |
공연편집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92년 | 피비의 로맨틱 코메디 | 피비역 | [1] |
2002년 | 퀸 에스더 | 에스더역 | [2] |
예능편집
방송사 | 연도 | 프로그램 | 비고 |
---|---|---|---|
KBS | 1992년 | 연예가 중계 | [9] |
1995년 | TV는 사랑을 싣고 | [10] | |
2011년 | TOP밴드 | 1기 참가자 | |
2018년 |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
제366회 출연 | |
MBC | 1992년 | 여기 젊음이 | [11] |
일요일 일요일 밤에 |
제171회 출연 | ||
1994년 | 제276회 출연 | ||
2012년 ~ 2013년 |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
3기 참가자 | |
2013년 | 해피타임 | 제410회 출연[12] | |
2017년 | 듀엣가요제 | 제39회 출연 | |
2019년 | 낭만 클럽 | 제6회 출연 | |
SBS | 1994년 | 기쁜 우리 토요일 | 제43회 출연 |
1995년 | 깊은 밤 전영호 쇼 | [13] | |
2011년 | 좋은 아침 | 제3721회 출연[12] |
교양편집
방송사 | 연도 | 프로그램 | 비고 |
---|---|---|---|
MBC | 2000년 | 성공시대 | 제108회 출연 |
라디오편집
연도 | 채널 | 프로그램 | 비고 |
---|---|---|---|
1992년 | KBS 쿨FM | 가요광장 | 진행자[14] |
MBC 표준FM | 별이 빛나는 밤에 | 게스트[15] | |
SBS 러브FM | 기쁜 우리 젊은 날 | 게스트[16] |
광고편집
연도 | 광고주 | 제품 | 비고 |
---|---|---|---|
1990년 | 해태HTB | 크리미 | 조정현과 공동 출연[17] |
과일촌 | |||
1991년 | 위니아전자 | 대우 세탁기 예예 | |
1992년 | 빙그레 | 요플레 요플러스 뷰티 |
|
맛보면 |
음악 활동편집
시크편집
소울사이어티편집
라운드어바웃편집
커버곡편집
연도 | 곡목 | 원작자 | 비고 |
---|---|---|---|
2012년 | 〈누구 없소〉[18] | 한영애 |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3기 출품곡 |
2013년 | 〈봄 여름 가을 겨울〉 | 봄여름가을겨울 | |
〈박하사탕〉 | YB | ||
〈사랑했지만〉 | 김광석 | ||
2017년 | 〈내 여자〉 | 더 원 | 《듀엣가요제》 출품곡 (더 원과 공동 출품) |
2018년 |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
패티 김 |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출품곡 (더 원과 공동 출품) |
2019년 | 〈엄마가 딸에게〉 | 양희은 | 《낭만 클럽》 출품곡 (더 원과 공동 출품) |
참여곡편집
연도 | 곡목 | 비고 |
---|---|---|
2007년 | 〈그대라면 믿을게요〉 | 《8월에 내리는 눈》 삽입곡 |
2013년 | 〈Special Love〉 | 소울사이어티 노래 피처링 |
〈늘〉 | ||
〈그날이 오면〉 (I'm Leavin') |
김박첼라 노래 피처링 | |
2014년 | 〈살아볼게 니가 아니라도..〉 |
듀이 오케스트라 노래 피처링 |
2015년 | 〈비에 상처는 아프다〉 | 진철 노래 피처링 |
〈길〉 | 드라마틱스 노래 피처링 | |
2016년 | 〈혼자왔어요〉 | 유세윤 노래 피처링 |
2020년 | 〈그러다, 조질 수 있거든〉 |
깜장고무신 노래 피처링 |
각주편집
- ↑ 가 나 다 유인화 (1992년 12월 4일). “극단 사조'피비의 로맨틱 코메디'”. 《경향신문》.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주를 위해 ‘죽으면 죽으리라’”. 순복음가족신문. 2002년 6월 7일.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남재일 (1994년 6월 4일). “연예인 매니저 전문社 스타서치 화제”. 《중앙일보》.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최국태 (2009년 5월 29일). “'보고싶은 연예인 1위' 남주희 왜 안 나와?”. 《여성조선》 (조선일보사).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김희경 (1997년 6월 3일). “KBS 드라마 스페셜「이야기」 길은 만남을 낳고 만남은 이야기를 낳는다”. 《동아일보》.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한현우 (1998년 1월 26일). “생략미 돋보인 수작 단막극”. 《조선일보》.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캔디역 최선희 확정 신인배우 23명 선발”. 《경향신문》. 1981년 6월 2일.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유인경 (1993년 12월 23일). “환경오염 다룬 비디오 나왔다”. 《경향신문》.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연예가 중계」<KBS2 15일 오후7.05>”. 《동아일보》. 1992년 10월 11일.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조형기·남주희 출연★오락「TV는 사랑을 싣고」(KBS2·오후10:55)”. 《경향신문》. 1995년 2월 14일.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쇼·오락「여기 젊음이」(MBC·하오7‥15)”. 《경향신문》. 1992년 4월 2일.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자료화면으로만 출연했다.
- ↑ “'깊은밤 전영호쇼'도중하차”. 《경향신문》. 1996년 1월 25일.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김진경 (1992년 10월 11일). “"둥글둥글한 성격으로 분위기 쇄신" K2-FM「가요광장」진행 탤런트 남주희”. 《동아일보》.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최수종·남주희 출연”. 《중앙일보》. 1992년 6월 25일.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탤런트 남주희 출연”. 《조선일보》. 1992년 3월 19일.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이기원 (1997년 9월 7일). ““광고도 이젠 대접받는 대중문화””. 《조선일보》.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안재만, 정영윤, 김보선, 김대연과 공동으로 출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