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북자(拉北者)는 대한민국 혹은 중국이나 일본 등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해 강제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납치된 사람들을 일컫는다.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들을 납북자가 아닌 귀순자라고 표현하며, 납치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개요 편집

대한민국에서의 납북자는 한국 전쟁 당시와 전후로 구분하며, 전쟁 납북자는 96,013명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전후 납북자는 2010년 12월까지 총 3,835명이며, 이중 87%인 3,310명이 1년 이내에 송환되었고, 8명이 자진 탈출, 귀환하여 총 귀환자는 3,318명이다. 2011년 말 기준 대한민국 통일부는 북조선에 억류된 대한민국 국적 납북자를 517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납북자 편집

납북자의 88.2%(84,659명)가 한국 전쟁 발발 이후 3개월(1950년 7월~9월) 동안에 납북되었으며, 그 중 80.3%(77,056명)가 자택이나 자택 인근에서 납치되었다. 납북된 한국 인사 중에는 법조인이 190명, 교수 및 교원이 863명, 언론인이 226명이었다.[1] 또한 이러한 납치의 기획은 전쟁중에 뿐만아니라 전쟁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생산된 북조선 당국의 문서에서도 확인이 된다.[2][3][4] 잘 알려진 납북자로는 최은희신상옥이 있다. 또 일본인으로 일본에서 납북된 사람도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요코타 메구미가 있다. 또 이광수, 김규식 등 언론인이나 통일 운동가들도 납북되었다.

납북된 유명인사 편집

  • 이광수: 호는 춘원. 소설가로 한국전쟁 중 납북되었다.
  • 정지용: 시인으로 한국전쟁 당시 납북되었다.
  • 현상윤: 구 동양그룹 현재현 전 회장의 조부로 고려대학교 초대 총장을 지냈다. 한국전쟁 중 납북되었다.[5]
  • 백관수: 2대 제헌의원이자 동아일보 전 사장.[6]
  • 김규식: 백범 김구의 동반자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주석. 전쟁 전인 1948년에 백범 김구와 함께 남북협상을 위해 방북한 적이 있었다가 전쟁이 발발한 1950년에 납북되었다.
  • 신상옥, 최은희 부부: 영화감독이자 배우. 김정일의 지령을 받은 북한 첩자들에 의해 납북되었다가 탈출하여 귀국하였다.
  • 방응모: 조선일보 사장.
  • 최인규: 영화감독.
  • 박열: 독립운동가.
  • 안재홍: 독립운동가. 호는 민세. 1965년 평양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 김동환: 시인.
  • 조소앙: 백범 김구, 김규식과 함께 통일운동을 하였던 독립운동가 출신으로 전쟁 때 김규식과 납북되었다.
  • 조완구: 백범 김구, 김규식, 조소앙과 함께 통일운동을 하였던 독립운동가 출신, 전쟁 때 김규식, 조소앙과 함께 납북되었다.
  • 명제세: 독립 운동가 임시정부 요인 대한민국 초대 심계원장(현재 감사원)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이미일,〈6·25전쟁 중 남한민간인 납북 문제에 대한 전후 처리 현황과 과제〉
  2. 1949년 8월 5일〈연천주재지사업보고서〉"…반동분자들을 분열·와해시키고 납치함으로써 국토완정의 결정적 역할을 높일 임무…"
  3. 1950년 8월 17일〈북조선 군사위원회 결정사항 제18호〉"서울시임시인민위원장은 각 부 각 청의 요구에 맞추어 북조선의 농업 및 산업 현장으로 50만명을 후송하도록 한다."
  4. “한국전쟁 납북사건 자료원”. 2013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31일에 확인함. 
  5. 인촌 김성수(동아일보사 刊)에서 인용.
  6. 인촌 김성수(동아일보사 刊)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