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케다 노부요시 (1583년)

다케다/마쓰다이라 노부요시(일본어: 武田/松平信吉)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5남이며, 어머니는 다케다 씨의 가신이었던 아키야마 도라야스의 딸 시모야마도노였다. 아내는 기노시타 가쓰토시의 딸이다. 아명은 후쿠마쓰마루, 다케다 만치요마루인데, 노부요시의 형 마쓰다이라 다다요시의 아명도 후쿠마쓰마루였다.
![]() 일본어: 武田/松平信吉 | |
![]() | |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
---|---|
출생 | 1583년 10월 18일 |
사망 | 1603년 10월 15일 |
개명 | 후쿠마쓰마루 만치요마루 다케다 노부요시 마쓰다이라 노부요시 |
별명 | 통칭: 시치로(七郎) |
계명 | 淨鑑院殿英譽善香崇巖大禪定門 |
묘소 | 조후쿠 사 (이바라키현 나카 시) 즈이류 산 (이바라키 현 히타치오타시) |
막부 | 에도 막부 |
번 | 시모사 사쿠라 번 → 히타치 미토 번 |
씨족 | 도쿠가와 씨 → 다케다 씨 → 다케다 마쓰다이라 가문 |
부모 | 아버지: 도쿠가와 이에야스, 어머니: 시모야마도노 양부: 아나야마 가쓰치요(양부이자 양형), 양모: 겐쇼인 |
아내 | 덴조인(기노시타 가쓰토시의 딸) |
생애편집
노부요시는 1583년 10월 18일 하마마쓰 성에서 태어났다. 1582년 오다 노부타다의 고슈 정벌 후, 다케다 씨가 단절되자 아나야마 바이세쓰와 겐쇼인의 아들 아나야마 가쓰치요를 다케다 씨의 계승자로 하고자 하였으나 가쓰치요가 16세의 나이로 요절하여, 후쿠마쓰마루를 다케다 만치요마루로 개명시켜 겐쇼인을 후견인으로 삼았고, 성인식을 치른 후 이름을 다케다 시치로 노부요시로 바꾸었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로 인한 고호조 씨의 멸망 이후, 이에야스의 관동 전봉을 따라 당해 시모사 고가네 성 3만 석에 봉해지고 다케다 씨에서 마쓰다이라 씨로 복성하여 마쓰다이라 노부요시(松平信吉)로 개명하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실 고다이인의 생질(甥姪) 기노시타 가쓰토시의 딸과 결혼하였는데, 이 때 이에야스가 히데요시에게 건의하여 노부요시의 영지가 늘어났다. 1591년 생모 시모야마도노가 사망하자 겐쇼인이 노부요시의 양모가 되었고, 1593년 시모사 국 사쿠라 성 10만 석을 하사받았다. 1600년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에도 성 니시노마루를 지켰다. 1602년 사타케 씨가 히타치 미토 25만 석을 몰수당하자, 이에야스는 노부요시에게 이 지역을 하사하였다. 1603년 10월 15일 옴으로 21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다. 자녀는 없으며, 미토 번주는 이복 동생인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계승하였다가 다시 그의 동생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이어받아 고산케 중 하나인 미토 도쿠가와가를 창가한다.
같이 보기편집
전임 아나야마 가쓰치요(다케다 노부하루) |
제23대 가이 다케다 가문 당주 1587년 ~ 1603년 |
후임 단절 (마쓰다이라 씨로 개성) |
사쿠라 번 번주 (다케다 도쿠가와 가문) 1593년 ~ 1602년 |
후임 마쓰다이라 다다테루 |
미토 번 번주 (다케다 마쓰다이라 가문) 1602년 ~ 1603년 |
후임 도쿠가와 나가토미마루(요리노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