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강정

프라이드 치킨 요리

현재의 닭강정닭튀김마늘고추양념을 넣고 간장 (혹은 고추장)과 물엿을 넣고 졸여내거나 볶아내는 음식이다.[1] 견과류를 고명으로 얹기도 한다. 양념치킨, 간장치킨과 유사하지만 다른 음식으로 양념치킨, 간장치킨보다 물엿이 많이 들어가고 닭 조각이 작다. 그러나 양념치킨 계열의 치킨 요리 중에 닭강정과 양념치킨이 혼성된 유형도 존재한다.

닭강정
종류닭튀김
원산지한국
관련 나라별 요리한국 요리
주 재료닭고기, 튀김옷, 식용유

다만 무엇이 더 오리지널에 가까운 맛을 내는가는 물엿이 아닌 조청이나 꿀이 첨가가 되어야하며. 매콤한 맛을 위해 청양고추가 고명으로 올라간다. 대부분이 치킨강정닭강정을 혼동하는데 이는 엄연히 다른 음식이라고 볼 수 있다. 치킨강정은 최근 많은 요식업계에서 달기만 한 양념 치킨 베이스로 닭강정이라고 판매를 하고 있다.


》닭강정은 본래 닭튀김이 아니라 닭튀김이 졸여진 형태로 고추와 함께 매콤달콤한 맛이 특징이다. 다만 실제 기원과 유래가 정확히는 알려지지 않은 음식으로 고려부터 조선시대까지 이 유래를 찾아볼 수 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근대 이후에 중국식 닭 튀김 요리와 서양식 닭 튀김 요리가 들어오면서 현재 정형화된 고추장고춧가루를 사용하는 음식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추정한다.[2]

조리법

편집

닭강정의 조리법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하나 1972년 기사에서 제시한 조리법은 다음과 같다.[3]

  1. 닭을 큰 밤톨만하게 뼈째로 토막을 낸다.
  2. 참기름과 간장으로 만든 양념장에 재운다.
  3. 30분 후 간이 배면 물기를 빼고 끓는 기름에 튀긴다.
  4. 간장, 설탕, 참기름, 붉은 통고추 등을 배합한 장엿에 튀긴 닭을 넣고 볶고 통깨를 뿌린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먹다남은 음식으로 별미 만들기, 재활용 요리 5선, 경향신문, 1993-05-17 작성, 2015-01-21 확인.
  2. 김남중 (2010년 2월 11일). “[□□□ 이야기] 닭강정은 한식이다?”. 국민일보. 2020년 2월 2일에 확인함. 
  3. 금주의 식탁, 동아일보, 1972-07-11 작성, 2015-01-21 확인.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