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518-2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어음리, 양덕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이다. 2011년 12월 29일 울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1]되었다가, 2015년 4월 2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518-2호로 승격, 지정[2]되었다.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518-2호
(2015년 4월 22일 지정)
수량2권 1책
시대고려시대
소유양덕사
위치
울주 양덕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울주 양덕사
울주 양덕사
울주 양덕사(대한민국)
주소울산 울주군 언양읍 어음리 342 양덕사
좌표북위 35° 34′ 6″ 동경 129° 8′ 1″ / 북위 35.56833° 동경 129.13361°  / 35.56833; 129.13361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대방광원가수다라요의경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대한민국 울산광역시유형문화재(해지)
종목유형문화재 제20호
(2011년 12월 29일 지정)
(2015년 4월 22일 해지)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이 책은 고려 우왕6년(1380)에 목판본으로 간행된 원각경으로 현존하는 국내 간행본으로는 가장 오래된 판본이며, 권상 말미에 이색의 발문과 시주질, 권하의 간기도 그대로 남아 있으며 구결이 필사되어 있다.[1]

『원각경』은 그동안 많은 판들이 간인 혹은 활인(活印)되었지만, 고려시대 판으로는 4종만이 알려져 왔다. 그들 중 가장 이른 1093년(선종10) 교장도감 판은 전존되는 것이 없고, 그 다음의 1241년(고종28) 대장도감판도 초인본은 발견되지 않았고 후인본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1]

따라서 이 책은 우리나라에 전해지고 있는 『원각경』들 중 실질적으로 가장 먼저 인출되었을 가능성도 있는 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판본은 독자적인 판하본을 마련하여 간행한 특징이 있고, 송나라 효종의 주와 이색의 발문이 실려 있으며, 전해지고 있는 동일본도 1종밖에 발견되지 않은 매우 희귀한 책이다.[1]

특히 보물 제1518-1호로 지정되어 있는 김민영 소장의 동일본이 본문 및 권말 부분의 일부는 식별이 어려울 정도로 훼손이 많아 보존 상태가 이 책보다 못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훌륭한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 책으로 판단된다.[1]

지정 사유 편집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은 크고(大) 방정하고(方) 광대한(廣) 원각(圓覺)을 설명하는 것이 모든 수다라(修多羅) 중에서 으뜸의 경전이라는 뜻으로 흔히 ‘원각경(圓覺經)’이라 약칭하기도 한다. 이 판본은 고려 우왕 6년(1380) 4월에 독자적으로 판하본을 마련하여 간행한 목판본이다. 고려의 대장경에 편입된 『원각경』을 제외한다면, 현재까지 공개된 『원각경』 판본으로는 가장 앞선 시기의 것이다. 보물 제1518-1호와 동일한 판본으로, 상호 보완되는 고려의 고간본이라는 점에서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크다. 국가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울산광역시 고시 제2011-267호,《울산광역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고시》, 울산광역시장, 2011-12-29
  2. 문화재청고시제2015-50호,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8496호, 53면, 2015-04-22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