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삼능
대삼능(大三能)은 종반 낱장기 유형 중 하나로, 쌍방 양사가 있을 때, 어느 한쪽에서 차(車)를 제외한 대기물(大棋物) 3개가 남은 형태를 말한다.[1] 자기는 양사이면서 만약 상대가 양사가 아니라 외사인 경우, 어떤 대삼능으로든 반드시 이길 수 있다. [출처 필요]
장기 기물 | ||
---|---|---|
궁(將) | ||
![]() |
궁(장) | ![]() |
대기물(大棋物) | ||
![]() |
차 | ![]() |
![]() |
포 | ![]() |
![]() |
마 | ![]() |
![]() |
상 | ![]() |
소기물(小棋物) | ||
![]() |
사 | ![]() |
![]() |
졸·병 | ![]() |
낱장기 유형 | ||
대삼능(大三能) | ||
소삼능(小三能) | ||
차삼능(車三能) | ||
차이능(車二能) |
양사를 이길 수 있는 대삼능 편집
서로 양사가 있을 때, 한쪽이 포(包)가 한 개 이상 포함된 대삼능이면 반드시 이길 수 있다. 그러나 포양상(包兩象)은 예외이다.
양사를 이길 수 있는 대삼능 | 그림(초) | 그림(한) |
---|---|---|
양포마(兩包馬) | ||
양포상(兩包象) | ||
포양마(包兩馬) | ||
포마상(包馬象) |
양사를 이길 수 없는 대삼능 편집
포가 포함이 되지 않은 대삼능은 상대방이 양사가 있고 방어 모양이 나쁘지 않다면 이길 수 없다. 또한, 포양상(包兩象)은 포가 포함이 되어 있는 대삼능 중에서 유일하게 빅이 된다.
양사를 이길 수 없는 대삼능 | 그림(초) | 그림(한) |
---|---|---|
포양상(包兩象) | ||
양마상(兩馬象) | ||
마양상(馬兩象)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차이점 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포(包)가 포함되지 않은 대삼능인 양마상(문화어: 량마상)과 마양상(문화어: 마량상)을 대범상이라고 부르는데, 대범상도 상대가 양사(문화어: 량사)가 있어도 반드시 이긴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출처 필요]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포가 끼지 않은 대삼능은 양사를 이길 수 없다는 입장으로, 비기는 것으로 처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