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야공용버스터미널
대야공용버스터미널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우덕2길 5(지경리 731-2)에 위치한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대야공용버스터미널 | |
---|---|
공식명칭 | 대야공용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국가 | ![]() |
주소 |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우덕2길 5 (지경리) |
운영기관 | 개인사업자 |
행선지표기 | 대야 |
고속버스 운행 | 미운행 |
시외버스 운행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 미운행 |
개요
편집지상 2층 건물에 1층은 승차홈, 매표소, 슈퍼, 상업시설 등이 있으며, 2층은 현재 비어 있다. 군산시에는 옥구읍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읍보다 면 지역에 터미널이 생긴 이유는 전군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동군산IC가 위치해 있는 것을 봐도 대야면이 교통이 편리하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다.
이 터미널은 군산시 소재임에도 군산시 시내버스가 종착지로 삼는 노선은 단 한 개도 없고, 모두 인근 임피, 서수, 나포, 멀리는 익산 함열로 가는 중간 기착지 역할을 했다. 그나마 약 20여년 전만 해도 익산시 시내버스 20번(대야 - 원광대학교)이 대야터미널로 들어왔지만 대야초등학교 부근으로 종점을 이전하면서 남은 공간을 상업시설 부지로 임대하여 대야공용버스터미널에는 더 이상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않았다.
운행 노선
편집고속버스
편집전회 우등이며, 군산 출발편 중 1일 3회 대야를 중간 경유한다. 고속버스 자체는 대야터미널에 직접 들어오지 않으며, 대야성당에서 동군산IC로 들어가기 전에 별도의 중간 승하차장이 있다. 무인매표기계가 없어서 현장에서 표를 구매하고자 할 때는 차내 E패스 단말기에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로 발권이 가능하며, 예약 시에는 출발지를 군산으로 하여 예매한 후 차내 E패스 단말기에서 예약내역 발권이 가능하다.[1] 모바일 고속버스티머니 앱으로도 예매가 가능하다.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
대야 ↔ 서울호남[2] |
금호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
대야 | ↔ | 서울호남 | 정안알밤휴게소 | 1일 3회 | 군산 출발 기준 08:00 13:00 17:40 |
시외버스
편집방면 | 행선지 |
---|---|
수도권 방면 | 서수원, 송도, 수원, 오산, 인천[3], 인천국제공항[4] |
충청권 방면 | 남청주, 대전[5], 도마동, 서대전[6], 유성, 청주[7] |
호남권 방면 | 고창, 광주[8], 군산, 김제[9], 목포[10], 무안, 부안[11], 영광, 익산[12], 익산역[12], 전주[13], 정읍[14], 함평, 흥덕 |
영남권 방면 | 서대구[15]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흔히 아는 종이 티켓이 아니라 영수증같은 티켓이 나온다.
- ↑ 군산에서 만석으로 출발시 정차하지 않을 수 있으니, 사전에 군산으로 문의 후 이용해야 한다.
- ↑ 익산, 오산, 수원, 서수원 경유, 전북고속, 금남고속, 호남고속, 태화상운이 공동운행.
- ↑ 송도 경유, 전북고속, 호남고속, 금남고속이 공동운행.
- ↑ 전북고속, 호남고속, 금남고속이 공동운행.
- ↑ 도마동 경유, 금남고속이 운행.
- ↑ 익산, 유성, 남청주 경유, 전북고속, 호남고속, 금남고속, 대원고속이 공동운행.
- ↑ 익산, 동운동(운암동) 경유, 전북고속이 운행.
- ↑ 만경, 김제수협 경유, 전북고속이 운행.
- ↑ 영광, 함평, 무안 경유, 대한고속이 운행.
- ↑ 만경, 김제수협, 김제 경유, 전북고속이 운행.
- ↑ 가 나 전북고속, 전주고속이 공동운행.
- ↑ 덕진 경유, 전북고속, 전주고속이 공동운행.
- ↑ 익산 경유, 전주고속, 대한고속이 공동운행.
- ↑ 익산, 전주 경유. 전북고속이 운행
외부 링크
편집- 티머니 시외버스 통합예약시스템 (대야발 시외버스 노선 조회)
- 코버스 홈페이지 (대야발 고속버스 노선 예약)<ref>출발지를 군산으로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