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 중선

(대칭 중점에서 넘어옴)

기하학에서 대칭 중선(對稱中線, 영어: symmedian 시미디언[*])은 주어진 삼각형의 각 꼭짓점을 지나는 중선을 같은 꼭짓점에서의 내각 이등분선에 대하여 반사시켜 얻는 직선이다. 즉, 대칭 중선은 중선등각 켤레선이다. 대칭 중점(對稱中點, 영어: symmedian point) 또는 르무안 점(영어: Lemoine point) 또는 그레베 점(영어: Grebe point)은 주어진 삼각형의 세 대칭 중선이 공통으로 지나는 점이다. 즉, 대칭 중점은 무게 중심등각 켤레점이다.

대칭 중선과 대칭 중점

정의 편집

삼각형  대칭 중선중선등각 켤레선이다. 즉, 각 꼭짓점  ,  ,  을 지나는 중선의, 내각  ,  ,  이등분선에 대한 반사상이다. 삼각형  대칭 중점  무게 중심등각 켤레점이다. 즉, 세 대칭 중선의 교점이다.

성질 편집

직각 삼각형의 대칭 중점은 직각 꼭짓점을 지나는 빗변의 수선의 중점이다.[1]:59, §7.4, (i)

대칭 중점은 삼각형의 세 변과의 거리의 제곱의 합이 가장 작은 점이다.[1]:75, Exercise 7.3 삼각형  의 세 변의 길이를  ,  ,  라고 하고, 넓이를  라고 하고, 브로카르 각 라고 하자. 그렇다면 대칭 중점  와 세 변  ,  ,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2]:268, §[XVI.]438

 
 
 

삼각형  의 대칭 중선  ,  ,  의 발을  ,  ,  라고 하고, 대칭 중점을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1]:76, Exercise 7.4

 
 
 

삼각형  의 각 꼭짓점  ,  ,  을 지나는 대변의 수선의 발을  ,  ,  라고 하자. 그렇다면  ,  ,  을 지나는 대칭 중선은 각각 수심 삼각형의 변  ,  ,  를 이등분한다.[1]:60, §7.4, (ii)

삼각형  의 한 꼭짓점  를 지나는 대칭 중선은 남은 두 꼭짓점  ,  에서의 외접원의 접선의 교점을 지난다.[1]:60, §7.4, (iii) 제르곤 삼각형의 대칭 중점은 제르곤 점이다. 이는 위 명제의 따름정리이다.

증명:

외접원의  ,  에서의 접선의 교점을  라고 하자.  를 중심으로 하고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이  ,  의 연장선과 각각  ,  에서 만난다고 하자. 접현각의 크기는 원주각과 같으므로

 
 

이다. 또한 사각형  에서

 

이므로  ,  ,  는 공선점이다. 따라서 삼각형  는 삼각형  와 닮음이다. 구체적으로, 삼각형   의 이등분선에 대하여 반사시킨 뒤 다시  를 중심으로 적절한 중심 닮음 변환을 가하면 삼각형  를 얻는다. 이러한 변환은 닮음 변환이며, 특히 아핀 변환이므로 중점을 보존한다.  를 지나는 직선은  를 중심으로 하는 중심 닮음 변환에 대하여 불변이므로  의 상은 자신의 등각 켤레선이다.  는 삼각형  의 중선이므로  의 등각 켤레선은 삼각형  의 중선이다. 즉,  는 삼각형  의 대칭 중선이다.

삼각형  의 내접원과 꼭짓점  ,  ,  의 대변의 접점을 각각  ,  ,  라고 하자. 그렇다면 삼각형  내접원은 제르곤 삼각형  의 외접원이다. 삼각형  의 각 변은 삼각형  의 외접원의 각 꼭짓점  ,  ,  에서의 접선이며, 점  ,  ,  는 접선들의 교점이다. 따라서 직선  ,  ,  는 삼각형  의 대칭 중선이며, 그 교점인 제르곤 점은 대칭 중점이다.

삼각형  의 한 꼭짓점  를 지나는 대변의 수선의 중점  과 대변의 중점  를 잇는 직선은 대칭 중점  를 지난다.[1]:65, §7.4, (vii)

증명:

대칭 중점  를 지나는 외접원의 꼭짓점  에서의 접선의 평행선  와 변  ,  의 교점을 각각  ,  라고 하자. 대칭 중점  를 지나는 외접원의 꼭짓점  에서의 접선의 평행선  와 변  ,  의 교점을 각각  ,  라고 하자. 그렇다면 선분  ,  는 제2 르무안 원의 두 지름이므로 사각형  는 직사각형이다. 직사각형의 변  ,  의 중점을 각각  ,  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 꼭짓점  에서 내린 대변의 수선  의 중점이므로  ,  ,  은 한 직선 위의 점이며,  ,  ,   역시 한 직선 위의 점이다. 대칭 중점  는 선분  의 중점이며  는 선분  의 중점이므로  ,  ,  는 한 직선 위의 점이다.

대칭 중점은 자기 자신의 수족 삼각형무게 중심이다.[1]:72, §7.4, (x)

르무안 원 편집

삼각형  의 대칭 중점  를 지나는 각 변  ,  ,  의 평행선  ,  ,  와 남은 두 변의 교점을 각각   ,   ,   라고 하자. 그렇다면 6개의 점  ,  ,  ,  ,  ,  는 한 원 위의 점이며, 그 중심은 대칭 중점  와 외심  를 잇는 선분  의 중점이다. 이 원을 삼각형  제1 르무안 원(영어: first Lemoine circle)이라고 한다.[1]:88, §9.2

마찬가지로, 삼각형  의 대칭 중점  를 지나는 각 변  ,  ,  의 평행선  ,  ,  와 남은 두 변의 교점을 각각   ,   ,   라고 하자. 그렇다면 6개의 점  ,  ,  ,  ,  ,  는 한 원 위의 점이며, 그 중심은 대칭 중점  이다. 이 원을 삼각형  제2 르무안 원(영어: second Lemoine circle)이라고 한다.[1]:88, §9.2

증명:

대칭 중선은 반평행선을 이등분하므로

 
 
 

이다. 반평행선의 성질에 따라

 
 
 

이므로

 
 
 

이다.

제1·제2 르무안 원은 터커 원의 특수한 경우이다.

각주 편집

  1. Honsberger, Ross (1995). 《Episodes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Euclidean Geometry》. New Mathematical Library (영어) 37. Washington: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ISBN 0-88385-639-5. 
  2. Johnson, Roger A. (1960) [1929]. 《Advanced Euclidean Geometry》 (영어). New York, N. Y.: Dover Publications.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