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1980년대~1990년대)
국가무형유산(國家無形遺産)은 보존 가치가 크다고 인정되는 무형의 문화적 소산 가운데 국가에서 유산으로 지정한 것을 말한다. 수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유산은 전통적 공연·예술,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한의약, 농경·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구전 전통 및 표현,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분야로 나뉘어 있다.
지정 목록
편집1980년대 지정
편집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참조 |
11-2호 | 평택농악 (平澤農樂) (Pyeongtaek Nongak (Farmers' Performance of Pyeongtaek)) |
경기 경기전역 | 평택농악보존회 | 1985년 12월 1일 지정 | [1] | |
---|---|---|---|---|---|---|
11-3호 | 이리농악 (裡里農樂) (Iri Nongak (Farmers' Performance of Iri)) |
전북 전북전역 | 이리농악보존회 | 1985년 12월 1일 지정 | [2] | |
11-4호 | 강릉농악 (江陵農樂) (Gangneung Nongak (Farmers' Performance of Gangneung)) |
강원 강원전역 | 강릉농악보존회 | 1985년 12월 1일 지정 | [3] | |
11-5호 | 임실필봉농악 (任實筆峰農樂) (Imsil Pilbong Nongak (Farmers' Performance of Pilbong, Imsil)) |
전북 전북전역 | 임실필봉농악보존회 | 1988년 8월 1일 지정 | [4] | |
1980년 9월 1일 지정, 1995년 3월 16일 해제, 중요무형문화재 제42호로 통합 |
[5] | |||||
64호 | 두석장 (豆錫匠) (Duseokjang (Metal Craft)) |
기타 . | 1980년 11월 17일 지정 | [6] | ||
65호 | 백동연죽장 (白銅煙竹匠) (Baekdong Yeonjukjang (Nickel-Copper Pipe Making)) |
전북 전북전역 | 1980년 11월 17일 지정 | [7] | ||
66호 | 망건장 (網巾匠) (Manggeonjang (Horsehair Headband Making)) |
제주 제주전역 | 1980년 11월 17일 지정 | [8] | ||
67호 | 탕건장 (宕巾匠) (Tanggeonjang (Horsehair Hat Making)) |
제주 제주전역 | 1980년 11월 17일 지정 | [9] | ||
68호 | 밀양백중놀이 (密陽百中놀이) (Miryang Baekjung Nori (Baekjung Festival of Miryang)) |
경남 경남전역 | 밀양백중놀이보존회 | 1980년 11월 17일 지정 | [10] | |
69호 | 하회별신굿탈놀이 (河回別神굿탈놀이) (Hahoe Byeolsingut Tallori (Mask Dance Drama of Hahoe)) |
경북 경북전역 |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 1980년 11월 17일 지정 | [11] | |
70호 | 양주소놀이굿 (楊州소놀이굿) (Yangju Sonorigut (Shamanic Ox Performance of Yangju)) |
경기 경기전역 | 양주소놀이굿보존회 | 1980년 11월 17일 지정 | [12] | |
71호 | 제주칠머리당영등굿 (濟州칠머리당영등굿)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Shamanic Performance in the Chilmeoridang Shrine of Jeju)) |
제주 제주전역 | 제주칠머리당굿보존회 | 1980년 11월 17일 지정 | [13] | |
72호 | 진도씻김굿 (珍島씻김굿) (Jindo Ssitgimgut (Purification Ritual of Jindo)) |
전남 전남전역 | 진도씻김굿보존회 | 1980년 11월 17일 지정 | [14] | |
73호 | 가산오광대 (駕山五廣大) (Gasan Ogwangdae (Mask Dance Drama of Gasan)) |
경남 경남전역 | 가산오광대보존회 | 1980년 11월 17일 지정 | [15] | |
74호 | 대목장 (大木匠) (Daemokjang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
기타 . | 1982년 6월 1일 지정 | [16] | ||
75호 | 기지시줄다리기 (機池市줄다리기) (Gijisi Juldarigi (Gijisi Tug-of-war)) |
충남 충남전역 | 기지시줄다리기보존회 | 1982년 6월 1일 지정 | [17] | |
76호 | 택견 (Taekkyeon (Traditional Korean Martial Art)) |
충북 충북전역 | 1983년 6월 1일 지정 | [18] | ||
77호 | 유기장 (鍮器匠) (Yugijang (Brassware Making)) |
경기 경기전역 | 1983년 6월 1일 지정 | [19] | ||
78호 | 입사장 (入絲匠) (Ipsajang (Silver or Gold Inlaying)) |
서울 서울전역 | 1983년 6월 1일 지정 | [20] | ||
79호 | 발탈 (Baltal (Foot Mask Theater)) |
기타 . | 1983년 6월 1일 지정 | [21] | ||
80호 | 자수장 (刺繡匠) (Jasujang (Embroidery)) |
기타 . | 1984년 10월 15일 지정 | [22] | ||
81호 | 진도다시래기 (珍島다시래기) (Jindo Dasiraegi (Dasiraegi Play of Jindo)) |
전남 전남전역 | 진도다시래기보존회 | 1985년 2월 1일 지정 | [23] | |
82-1호 | 동해안별신굿 (東海岸別神굿) (Donghaean Byeolsingut (Village Ritual of the East Coast)) |
부산 부산전역 | 동해안별신굿보존회 | 1985년 2월 1일 지정 | [24] | |
82-2호 | 서해안배연신굿및대동굿 (西海岸배연신굿및大同굿) (Seohaean Baeyeonsingut and Daedonggut (Fishing Ritual of the West Coast)) |
인천 인천전역 | 서해안배연신굿및대동굿보존회 | 1985년 2월 1일 지정 | [25] | |
82-3호 | 위도띠뱃놀이 (蝟島띠뱃놀이) (Wido Ttibaennori (Ttibae Boat Festival of Wido Island)) |
전북 전북전역 | 위도띠뱃놀이보존회 | 1985년 2월 1일 지정 | [26] | |
82-4호 | 남해안별신굿 (南海岸別神굿) (Namhaean Byeolsingut (Village Ritual of the South Coast)) |
경남 경남전역 | 남해안별신굿보존회 | 1987년 7월 1일 지정 | [27] | |
83-1호 | 구례향제줄풍류 (求禮鄕制줄風流) (Gurye Hyangje Julpungnyu (String Ensemble of Gurye)) |
전남 전남전역 | 구례향제줄풍류보존회 | 1985년 9월 1일 지정 | [28] | |
83-2호 | 이리향제줄풍류 (裡理鄕制줄風流) (Iri Hyangje Julpungnyu (String Ensemble of Iri)) |
전북 전북전역 | 이리향제줄풍류보존회 | 1985년 9월 1일 지정 | [29] | |
84-1호 | 고성농요 (固城農謠) (Goseong Nongyo (Farmers' Song of Goseong)) |
경남 경남전역 | 고성농요보존회 | 1985년 12월 1일 지정 | [30] | |
84-2호 | 예천통명농요 (醴泉通明農謠) (Yecheon Tongmyeong Nongyo (Farmers' Song of Tongmyeong, Yecheon)) |
경북 경북전역 | 예천통명농요보존회 | 1985년 12월 1일 지정 | [31] | |
85호 | 석전대제 (釋奠大祭) (Seokjeon Daeje (National Rite to Confucius)) |
서울 서울전역 | 석전대제보존회 | 1986년 11월 1일 지정 | [32] | |
86-1호 | 문배주 (문배酒) (Munbaeju (Munbaeju Liquor)) |
서울 서울전역 | 1986년 11월 1일 지정 | [33] | ||
86-2호 | 면천두견주 (沔川杜鵑酒) (Myeoncheon Dugyeonju (Dugyeonju Liquor of Myeoncheon)) |
충남 충남전역 | 면천두견주 보존회 | 1986년 11월 1일 지정 | [34] | |
86-3호 | 경주교동법주 (慶州校洞法酒) (Gyeongju Gyo-dong Beopju (Beopju Liquor of Gyo-dong, Gyeongju)) |
경북 경주시 | 1986년 11월 1일 지정 | [35] | ||
87호 | 명주짜기 (明紬짜기) (Myeongju Jjagi (Silk Weaving)) |
경북 경북전역 | 1988년 4월 1일 지정 | [36] | ||
88호 | 바디장 (바디匠) (Badijang (Reed Making)) |
기타 . | 1988년 8월 1일 지정 | [37] | ||
89호 | 침선장 (針線匠) (Chimseonjang (Needlework)) |
서울 서울전역 | 1988년 8월 1일 지정 | [38] | ||
90호 | 황해도평산소놀음굿 (黃海道平山소놀음굿) (Hwanghae-do Pyeongsan Sonoreumgut (Shamanic Ox Performance of Pyeongsan, Hwanghae-do)) |
인천 인천전역 | 황해도평산소놀음굿 | 1988년 8월 1일 지정 | [39] | |
91호 | 제와장 (製瓦匠) (Jewajang (Roof Tile Making)) |
부산 . | 1988년 8월 1일 지정 | [40] | ||
92호 | 태평무 (太平舞) (Taepyeongmu (Dance of Peace)) |
기타 . | 1988년 12월 1일 지정 | [41] | ||
93호 | 전통장 (箭筒匠) (Jeontongjang (Quiver Making)) |
경북 경북전역 | 1989년 6월 15일 지정 | [42] | ||
(벼루匠) |
1989년 12월 1일 지정, 1990년 7월 20일 해제, 보유자 부재로 지정 해제 |
[43] | ||||
95호 | 제주민요 (濟州民謠) (Jeju Minyo (Folk Song of Jeju)) |
제주 제주전역 | 1989년 12월 1일 지정 | [44] |
1990년대 지정
편집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참조 |
96호 | 옹기장 (甕器匠) (Onggijang (Earthenware Making)) |
기타 . | 1990년 5월 8일 지정 | [45] | ||
---|---|---|---|---|---|---|
97호 | 살풀이춤 (살풀이춤) (Salpurichum (Exorcism Dance)) |
기타 . | 1990년 10월 10일 지정 | [46] | ||
98호 | 경기도도당굿 (京畿道都堂굿) (Gyeonggi-do Dodanggut (Tutelary Rite of Gyeonggi-do)) |
경기 경기전역 | 경기도도당굿보존회 | 1990년 10월 10일 지정 | [47] | |
99호 | 소반장 (小盤匠) (Sobanjang (Tray-table Making)) |
경기 경기전역 | 1992년 11월 10일 지정 | [48] | ||
100호 | 옥장 (玉匠) (Sobanjang (Tray-table Making)) |
전남 전남전역 | 1996년 2월 1일 지정 | [49] | ||
101호 | 금속활자장 (金屬活字匠) (Geumsok Hwaljajang (Metal Movable Type Making)) |
충북 충북전역 | 1996년 2월 1일 지정 | [50] | ||
102호 | 배첩장 (褙貼匠) (Baecheopjang (Mounting)) |
충북 충북전역 | 충청북도의 무형문화재 7호 | 1996년 3월 11일 지정 | [51] | |
103호 | 완초장 (莞草匠) (Wanchojang (Sedge Weaving)) |
인천 인천전역 | 1996년 5월 1일 지정 | [52] | ||
104호 | 서울새남굿 (Seoul Saenamgut (Shamanic Performance of Seoul)) |
서울 서울전역 | 서울새남굿보존회 | 1996년 5월 1일 지정 | [53] | |
105호 | 사기장 (沙器匠) (Sagijang (Ceramic Making)) |
경북 경북전역 | 1996년 7월 1일 지정 | [54] | ||
106호 | 각자장 (刻字匠) (Gakjajang (Calligraphic Engraving)) |
서울 서울전역 | 1996년 11월 1일 지정 | [55] | ||
107호 | 누비장 (縷緋匠) (Nubijang (Quilting)) |
경북 경북전역 | 1996년 12월 10일 지정 | [56] | ||
108호 | 목조각장 (木彫刻匠) (Mokjogakjang (Wood Sculpture)) |
기타 . | 1996년 12월 31일 지정 | [57] | ||
109호 | 화각장 (華角匠) (Hwagakjang (Ox Horn Inlaying)) |
인천 인천전역 | 1996년 12월 31일 지정 | [58] | ||
110호 | 윤도장 (輪圖匠) (Yundojang (Geomantic Compass Making)) |
전북 전북전역 | 1996년 12월 31일 지정 | [59] |
외부 링크
편집- 문화재청 - 문화재 검색
- 국가문화유산 종합정보서비스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한국무형문화재 기능보존협회
-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 위원회 Archived 2012년 1월 14일 - 웨이백 머신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