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도시 철도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都市鐵道, Metro)는 「도시철도법」의 규정에 근거하여 건설, 운영하는 철도 및 경량전철(모노레일 등)을 말한다.

개요 편집

대도시권 내부의 교통을 위해 건설된다. 이미 형성된 도시에 건설되기 때문에 주로 지하에 건설되며, 지하에 건설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건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감당할 능력이 있는 서울광역시를 중심으로 건설한다. 2000년대부터는 건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량전철로 건설하는 추세이다.

「지하철도의건설및운영에관한법률」이 1990년에 「도시철도법」으로 개정되면서 법률 용어가 지하철에서 도시 철도로 변경되었으나, 여전히 지하철이라는 명칭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기 철도의 줄임말인 전철이라는 말도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철도와 도시철도의 차이 편집

대한민국에서는 법적으로 「철도」와 「도시철도」를 전혀 다른 것으로 간주한다. 도시철도는 「도시철도법」의 규정에 따라 건설, 운영하며, 다른 철도 관련 법령은 도시철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1]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등 다른 교통관련 법령에서도 「철도」와 「도시철도」를 반드시 따로 언급한다. 이로인해 철도와 도시철도에는 몇 가지 크고 작은 차이점이 있다.

  1. 철도는 반드시 1435mm 표준궤로 건설된다.(철도건설규칙 제6조) 도시철도도 표준궤를 표준으로 하지만(도시철도건설규칙 제6조) 경량전철로 건설할 경우 다른 궤간으로 건설할 수 있다.(제72조)
  2. 철도를 전철화할때는 교류 25000V 60Hz를 표준으로 하지만 직류 1500V로 건설할 수도 있다.(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제35조). 하지만 도시철도는 반드시 직류 1500V로 전철화 해야 한다.(도시철도건설규칙 제26조) 이 또한 경량전철일 경우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제79조)
  3. 철도는 좌측통행이 주류지만(법적으로 명시된 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일산선7호선 부천 및 인천 구간 같은 예외가 존재한다.), 도시철도는 반드시 우측통행으로 운전해야 한다. 다만 철도와 직결 운행을 하는 경우에는 좌측통행으로 할 수 있다.(도시철도건설규칙 제5조)
  4. 철도는 전국적으로 건설되지만 도시철도는「도시교통권역」[2]에만 건설할 수 있다. 이로 인해 2021년 5월 22일에 개통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인천교통공사 소속의 석남역까지 연장하기 위해 부천시부천시 도시교통권역에, 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 도시교통권역에 각각 건설하여 서울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 등 두 양사가 직결 운행하는 변칙적인 방식으로 건설해야 했다.
  5. 철도사업의 면허권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다. 도시철도도 국토교통부장관이 면허권자였으나, 2014년 7월 8일에 「도시철도법」이 개정되어 면허권자가 광역자치단체의 장(특별시장, 광역시장, 특별자치시장, 도지사, 특별자치도지사)으로 변경되었다.
  6. 철도는 국가가 시설을 소유하고, 국가 외의 자가 운영하는 상하분리방식을 원칙으로 한다.(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20조, 21조) 하지만 도시철도법에는 그런 규정이 없다. 도시철도노선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할 필요는 없다.

역사 편집

수도권 교통난 해소 및 대도시 교통수단체계 조정에서 비롯된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은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 청량리)이다. 1971년 4월 12일 착공하여 1974년 8월 15일 개통하였는데, 이는 세계에서 22번째로 지어진 지하철 노선이다.[3] 이 구간은 도로를 뜯은 후에 지하 구조물을 만든 후 다시 메우는 방식인 개착식 공법으로 만들어졌는데, 지금은 도로사정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서울 ~ 청량리 구간과 함께 구로 ~ 인천 간의 경인선, 서울 ~ 수원 간의 경부선 구간을 직결 개통하였으며 이들 구간은 기존의 선로를 복선 전철화하여 운용하였다.

1983년 2호선, 1985년 10월 3·4호선이 개통되었고 1985년 7월 부산에서도 1호선 일부 구간이 개통, 운행에 들어갔다. 1997년 11월 대구에서도 일부 구간이 개통되고 운행되었다. 1999년 10월 인천에서도 1호선 일부 구간이 개통, 운행에 들어갔다.[4] 2000년대에는 광주, 대전에서도 운행을 개시하였다.

수도권 전철 편집

 
수도권 전철 노선도

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인천 도시철도,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충청남도천안시, 아산시까지 광역 철도를 모두 포함하는 전철망이다. 노선에 따라 각각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데 수도권 전철 서해선을 비롯한 도시철도 구간 이외 광역 전철 전반은 한국철도공사에서, 도시 철도는 나머지 기업에서 운영한다. 서울 지하철 중 9호선은 민간기업인 서울시메트로9호선에서, 광역전철 중 신분당선은 민간기업인 신분당선주식회사에서 운영한다. 서울교통공사·서울시메트로9호선에서 운영하는 구간을 서울 지하철, 인천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구간을 인천 도시철도로 구분하기도 한다. 서울 지하철에서 지하철의 총 길이 317km는 광역 철도 구간을 제외한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편집

노선 기점 종점 거리 역수 소유자 운영자
1호선 연천역
(경기도 연천군)
소요산역
(경기도 동두천시)
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남영역
(서울특별시 용산구)
구로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봉명역
(충청남도 천안시)
금천구청역
(서울특별시 금천구)
병점역
(경기도 화성시)
회기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역
(서울특별시 중구)
신도림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인천역
(인천광역시 중구)
천안역
(충청남도 천안시)
신창역
(충청남도 아산시)
광명역
(경기도 광명시)
서동탄역
(경기도 오산시)
200.6km 98 대한민국 정부[5]
서울특별시[6]
한국철도공사[7]
서울교통공사[8]
2호선 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성수역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도림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신설동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까치산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60.2km 51 서울특별시 서울교통공사
3호선 대화역
(경기도 고양시)
지축역
(경기도 고양시)
삼송역
(경기도 고양시)
오금역
(서울특별시 송파구)
57.4km 44 대한민국 정부[9]
서울특별시[10]
한국철도공사[11]
서울교통공사[12]
4호선 진접역
(경기도 남양주시)
당고개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선바위역
(경기도 과천시)
산본역
(경기도 군포시)
별내별가람역
(경기도 남양주시)
남태령역
(서울특별시 서초구)
금정역
(경기도 군포시)
오이도역
(경기도 시흥시)
85.7km 51 대한민국 정부[13]
서울특별시[14]
한국철도공사[15]
서울교통공사[16]남양주도시공사
5호선 방화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일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동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하남검단산역
(경기도 하남시)
마천역
(서울특별시 송파구)
59.7km 56 서울특별시[17]
하남시[18]
서울교통공사
6호선 응암역
(서울특별시 은평구)
신내역
(서울특별시 중랑구)
36.4km 39 서울특별시
7호선 장암역
(경기도 의정부시)
석남역
(인천광역시 서구)
61.0km 53 서울특별시[19], 부천시[20], 인천광역시[21] 서울교통공사[22]
인천교통공사[23]
8호선 암사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모란역
(경기도 성남시)
17.7km 17 서울특별시 서울교통공사
9호선 개화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중앙보훈병원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40.9km 38 서울시메트로9호선[24]
서울교통공사[25]
경강선 판교역
(경기도 성남시)
여주역
(경기도 여주시)
57.0km 11 대한민국 정부 한국철도공사
경의·중앙선 임진강역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
(경기도 파주시)
용문역
(경기도 양평군)
지평역
(경기도 양평군)
서울역
(서울특별시 중구)
140.3km 56
경춘선 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광운대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춘천역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85.6km 24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인천역
(인천광역시 중구)
106.9km 63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서울특별시 중구)
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광역시 중구)
63.8km 14 공항철도
서해선 일산역
(경기도 고양시)
원시역
(경기도 안산시)
41.8km 17 한국철도공사[26]
서해철도[27]
이레일[28]
서부광역철도[29]
신분당선 신사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교역
(경기도 수원시)
33.4km 16 신분당선주식회사[30]
경기철도주식회사[31]
네오트랜스[32]
새서울철도[33]
용인 경전철 기흥역
(경기도 용인시)
전대·에버랜드역
(경기도 용인시)
18.4km 15 용인시 용인경량전철[34]
네오트랜스[35]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역
(서울특별시 강북구)
신설동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11.4km 13 서울특별시 우이신설경전철[36]
우이신설경전철운영[37]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관악산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8.1km 11 남서울경전철
로템SRS[38]
의정부 경전철 발곡역
(경기도 의정부시)
차량기지 임시승강장
(경기도 의정부시)
10.6km 16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경량전철[39]
우진산전[40]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계양역
(인천광역시 계양구)
송도달빛축제공원역
(인천광역시 연수구)
30.3km 30 인천광역시 인천교통공사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오류역
(인천광역시 서구)
운연역
(인천광역시 남동구)
29.1km 27
김포 도시철도 양촌역
(경기도 김포시)
김포공항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23.6km 10 경기도 김포시 김포골드라인운영

부산 도시철도 편집

 
부산 도시철도 노선도 (공사 중인 노선이 포함)

부산 도시철도1호선1985년 7월 19일 최초로 개통한 이래 부산교통공사에서 1 · 2 · 3 · 4호선의 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영도구를 제외한 전 지역을 운행하며, 경상남도 양산시에도 2호선의 5개 역이 운영되고 있다. 현재 108개 역이 운영되고 있으며 총 연장(건설 연장)은 108.5km에 달한다.

부산 도시철도와는 별개로 부산-김해 경전철은 부산 사상-김해 삼계를 잇는 노선으로, 민자기업이 운영하는 노선이다.

현재는 5호선양산선이 건설 중에 있으며, 오륙도선C-BAY-Park선, 그리고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의 건설이 확정되었다.

광역철도로서는 부산광역시 부전역울산광역시 태화강역을 잇는 동해선 광역전철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운영하고 있고, 부전역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역을 잇는 경전선 복선 전철이 공사중이다. 이외에도 동남권순환 광역철도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가 추진 중에 있다.

노선 기점 종점 거리 역수 소유자 운영자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노포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40.6km 40 부산광역시 부산교통공사
2호선 장산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양산역
(경상남도 양산시)
45.2km 43
3호선 수영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대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18.1km 17
4호선 미남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평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12.7km 14
부산-김해 경전철 사상역
(부산광역시 사상구)
가야대역
(경상남도 김해시)
23.4km 21 부산광역시[41], 경상남도 김해시[42]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광역전철 부전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태화강역
(울산광역시 남구)
63.8 km 23 대한민국 정부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대구 도시철도 편집

 
대구 도시철도 노선도.

대구 도시철도대구광역시 및 그 주변 광역권에 건설되어 있는 도시 철도이다. 1997년 11월 26일1호선 진천~중앙로 구간에서 첫 운행을 시작한 이래 2개 노선, 56개 역에 57km를 운영하고 있다. 2호선의 종점을 경상북도 경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영남대까지 연장하는 구간이 2012년 9월 19일 개통되었고, 1호선의 종점을 달성군에 소재하고 있는 설화명곡까지 연장하는 구간이 2016년 9월 8일 개통되었고, 3호선2015년 4월 23일 개통되었다. 2023년 현재는 4호선의 건설이 확정되었다.

광역철도로는 '구미~칠곡~대구~경산'을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가 현재 공사 중에 있으며, '대구~구미~군위~의성'을 잇는 대구-경북 광역철도가 추진되고 있다.

노선 기점 종점 거리 역수 소유자 운영자
1호선 설화명곡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안심역
(대구광역시 동구)
28.4km 32 대구광역시 대구교통공사
2호선 문양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영남대역
(경상북도 경산시)
31.4km 29
3호선 칠곡경대병원역
(대구광역시 북구)
용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23.1km 30

대전 도시철도 편집

 
대전 도시철도 노선도

대전 도시철도대전광역시 관내를 운행하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2006년 3월 16일에 최초로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현재 1개 노선 22개 역, 총 연장 22.74km를 운행하고 있다.

현재 운행되는 1호선판암역에서 반석역까지, 구도심과 신도심을 잇고 있으며 대전역을 경유하여 도시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계획중인 노선들을 살펴보면, 2호선서대전역 기점의 순환형 노선으로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 구체적인 건설방안을 논의 중이다. 3호선은 현재 계획 중에 있다.

광역철도로서 기존의 경부선과 호남선[43] 선로를 활용하여 '논산~계룡~대전(~옥천)~세종'을 잇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추진 중에 있으며, 1단계 구간(계룡~신탄진)과 옥천 지선(오정~옥천)이 착공될 예정이다. 또, 1호선을 청주공항까지 연장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가 계획 중에 있다.

노선 기점 종점 거리 역수 소유자 운영자
1호선 판암역
(대전광역시 동구)
반석역
(대전광역시 유성구)
22.7km 22 대전광역시청 대전교통공사

광주 도시철도 편집

 
광주 도시철도 노선도

광주 도시철도광주광역시 관내를 운영하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IMF 구제금융사건의 여파로 2단계로 나뉘어 건설되는데, 1호선 1구간은 1996년 8월 28일에 기공하여 2004년 4월 28일에 개통했으며, 2구간은 2000년 4월에 기공하여 2008년 4월 11일에 개통했다.

광주 도시철도는 전국 도시 철도 노선 가운데 가장 적은 수의 이용객이 이용하는 노선이다. 일반 철도역 및 터미널과의 연계가 어려운 노선이 승객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현재 광주송정역광주공항이 연계된다. 1호선의 운영은 광주교통공사에서 담당하며, 건설은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가 맡는다.

현재 2호선이 건설되고 있으며, 광역철도로는 광주-나주 광역철도가 추진 중에 있다.

노선 기점 종점 거리 역수 소유자 운영자
1호선 녹동역
(광주광역시 동구)
평동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20.5km 20 광주광역시 광주교통공사

기점, 종점 편집

현재 개통된 도시 철도의 기,종점이다.

수도권 전철 편집

부산 도시철도 편집

대구 도시철도 편집

대전 도시철도 편집

광주 도시철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철도안전법 등 극히 일부 법령이 적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도시철도법에 안전에 관해서는 철도안전법을 적용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2.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제4조에 근거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 고시한다. 1988년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 최초로 설정된 후 점차 확대되어 지금은 인구 10만 이상(도농복합형태의 시일 경우 읍면지역을 제외한 인구 10만 이상)인 도시는 모두 도시교통권역이 설정되어 있다.
  3. 《인천지하철》2007년 11월호, 인천지하철공사(현 인천교통공사)
  4.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지하철
  5.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소유
  6. 서울 지하철 1호선 소유
  7.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운영
  8. 서울 지하철 1호선 운영
  9. 일산선 소유
  10. 서울 지하철 3호선 소유
  11. 일산선 운영
  12. 서울 지하철 3호선
  13. 과천선, 안산선 소유
  14. 서울 지하철 4호선 소유
  15. 과천선, 안산선 운영
  16. 서울 지하철 4호선
  17. 방화역 ~ 강일역, 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 소유
  18. 미사역 ~ 하남검단산역 소유
  19. 장암역 ~ 온수역 소유
  20. 까치울역 ~ 상동역 소유
  21. 삼산체육관역 ~ 석남역 소유
  22. 장암역 ~ 온수역 운영
  23. 까치울역 ~ 석남역 운영
  24. 개화역 ~ 신논현역 운영
  25. 언주역 ~ 중앙보훈병원역 운영
  26. 전동차 정비 및 승무 담당.
  27. 역 구간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담당.
  28. 역 구간 건설 담당.
  29. 역 구간 건설 및 역무 관리, 선로 유지보수운영 담당.
  30. 강남역 ~ 정자역 운영.
  31. 정자역 ~ 광교역 운영.
  32. 신분당선 전구간 운영.
  33. 용산역 ~ 강남역 구간 건설.
  34. 사업 시행 담당.
  35.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
  36. 사업 시행 담당.
  37.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
  38.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
  39. 사업 시행 담당.
  40.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
  41. 사상역 ~ 대사역 소유
  42. 불암역 ~ 가야대역 소유
  43. 경부선, 호남선
  44. 한 쪽 끝 부분이 순환선이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