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람사르 등록 습지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대한민국의 람사르 등록 습지는 총 24개로, 202.14km2이다.(2021년 5월 기준)
목록편집
람사르 번호 |
지 역 명 | 위치 | 면적(km2) | 특징 | 지정일자 |
---|---|---|---|---|---|
0898 | 대암산용늪 |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심적리 대암산 일원 | 1.06 | 희귀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내 유일의 고층습원 | 1997년 3월 28일 |
0934 | 우포늪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이방면· 유어면·대지면 일원 | 8.54 | 큰부리큰기러기, 가시연꽃 등 다수의 멸종위기 동·식물 서식하는 국내 최대의 자연늪 | 1998년 3월 2일 |
1458 | 장도습지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비리 장도 일원 | 0.09 | 멸종위기종 서식하고 이탄층이 잘 보전된 도서지역 산지습지 | 2005년 3월 30일 |
1594 | 순천만·보성갯벌 | 전라남도 순천시 별양면·해룡면· 도사동 일대,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 35.5 | 멸종위기종 흑두루미의 국내 최대 월동지이며 수산자원 풍부 | 2006년 1월 20일 |
1648 | 제주 물영아리오름습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수령산 일대 분화구 | 0.309 | 물장군과 맹꽁이 등 멸종위기종이 서식하고 독특한 식생경관을 지닌 화구호습지 | 2006년 10월 18일 |
1724 | 두웅습지 | 충청남도 태안군 원동면 신두리 | 0.065 | 희귀야생 동·식물 서식하고 해안사구 배후에 형성된 사구습지 | 2007년 12월 20일 |
1725 | 무제치늪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정족산 일원 | 0.04 | 끈끈이주걱, 꼬마잠자리 등 희귀 야생 동·식물 서식하고 이탄층이 잘 발달된 산지습지 | 2007년 12월 20일 |
1732 | 무안갯벌 |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현경면 일대 | 35.89 | 생물다양성 풍부하고 지질학적 보전가치가 있음 | 2008년 1월 14일 |
1846 | 강화 매화마름군락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 0.003 | 매화마름, 금개구리 등 멸종위기종이 서식하고 국내 최초로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논습지 | 2008년 10월 13일 |
1847 | 제주 물장오리오름습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 | 0.628 | 팔색조, 삼광조 등 멸종위기종이 서식하고 이탄층 발달한 산정 하구호습지 | 2008년 10월 13일 |
1848 | 오대산 국립공원습지 |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일대(소황병산늪,질뫼늪), 홍천군 내면 명개리 일대(조개동늪) | 0.017 | 멸종위기종 서식하고 이탄층 잘 발달된 산지습지 | 2008년 10월 13일 |
1893 | 제주 1100고지습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중문동 ~ 제주시 광령리 | 0.126 | 멸기위기종 및 희귀종이 서식하고 독특한 지형에 발달한 고산습지 | 2009년 10월 12일 |
1925 | 서천갯벌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유부도 일대 | 15.3 | 다수의 멸종위기종 조류 및 전 세계 물떼새 개체수의 1%이상이 서식(검은머리물떼새) | 2009년 12월 2일 |
1937 | 고창·부안갯벌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보안면, 고창군 부안면· 심원면 일대 | 45.5 | 다수의 멸종위기종 조류 및 전 세계 물떼새 개체수의 1%이상이 서식(흰물떼새) | 2010년 2월 1일 |
1947 | 동백동산습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 0.59 | 지하수함양률이 높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곶자왈지역 | 2011년 3월 14일 |
1948 | 운곡습지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운곡리 | 1.797 |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멸종위기종 수달 등 서식 | 2011년 4월 7일 |
1974 | 증도갯벌 |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증도 및 병풍도 일대 | 31.3 | 국제적인 보호 조류가 서식하는 연안 습지 | 2011년 9월 1일 |
2050 | 밤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밤섬 일대 | 0.27 | 대도시 속의 습지로 그 의미가 큼[1] | 2012년 6월 26일 |
2209 | 송도갯벌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 6.11 | 멸종위기종인 저어새, 검은머리갈매기 등 주요 철새 도래지이나 개발의 위험에서 온전히 벗어나지 못함 | 2014년 7월 10일 |
2225 | 숨은물뱅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 1.175 | 5백여종의 희귀동식물 서식 | 2015년 5월 13일 |
2226 | 한반도습지 |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 | 1.915 | 한반도 모양의 특이한 지형적 특성 | 2015년 5월 13일 |
2269 | 동천하구 | 전라남도 순천시 도사동 | 5.398 | 인근 순천만 습지와 주변 농경지를 하나의 생태축으로 연결함 | 2016년 1월 20일 |
2359 | 대부도갯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 4.53 | 수많은 개발 압력 속에서도 다양한 생물의 군락지와 멸종위기 동물들 다수 서식 | 2018년 10월 25일 |
2448 | 장항습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 5.96 | 대륙간 이동하는 철새의 중간 경유지이자 서식지, 높은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해 형성된 자연형 하구의 특성을 유지 | 2021년 5월 21일 |
갤러리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 및 참고 문헌편집
- 《습지보호지역 지정 및 람사르습지 등록 현황》, 2012년 6월, 환경부 자연보전국 국가습지사업센터, 환경부 홈페이지 공개자료
- 인천 송도갯벌 람사르 습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