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심계원
심계원(審計院)은 국가의 수입·지출의 결산을 매년 검사, 확인하고 법률이 정하는 회례를 상시 검사·감독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옛 중앙행정기관이다. 1948년 12월 4일 정부 수립과 함께 발족하였으며 1963년 3월 5일 감찰위원회와 통합하여 감사원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심계원 | |
審計院 | |
설립일 | 1948년 2월 28일 |
---|---|
해산일 | 1963년 12월 4일 |
전신 | (정부 수립과 함께 발족) |
후신 | 감사원 |
상급기관 | 대통령 |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편집연혁
편집조직
편집
|
|
역대 원·차장
편집심계원장
편집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학교 | 비고 |
---|---|---|---|---|---|---|
제 1 공화국 | 초대 | 명제세(明濟世) | 1948년 9월 4일 ~ 1949년 11월 23일 | 평북 영변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외국어학교 |
건국준비위원회 위원 |
2대 | 함태영(咸台永) | 1949년 11월 24일 ~ 1952년 7월 22일 | 함북 무산 | 장신대 | 제3대 부통령&대한기독교장로회 총회장 | |
3대 | 노진설(盧鎭卨) | 1952년 9월 22일 ~ 1956년 9월 30일 | 감찰위원회 위원장&헌법기초위원회 전문위원&대법관&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 |||
4대 | 최하영(崔夏永) | 1956년 10월 1일 ~ 1960년 6월 9일 | 경기 이천 | 일본 도쿄대 | 헌법기초위원회 위원&심계원 차장&제5대 국회의원 | |
제 2 공화국 | 5대 | 김세완(金世玩) | 1960년 6월 25일 ~ 1961년 5월 19일 | 황해 신천 | 서울대 |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위원장&대법관 |
6대 | 이원엽(李元燁) | 1961년 5월 20일 ∼ 1963년 3월 19일 | 함남 |
심계원 차장
편집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학교 | 비고 |
---|---|---|---|---|---|---|
제 1 공화국 | 초대 | 강거복(康巨福) | 1949년 2월 ~ 1949년 9월 28일 | |||
2대 | 강거복(康巨福) | 1949년 9월 29일[6] ~ 1950년 1월 | ||||
3대 | 김완섭(金完燮) | 1950년 1월 ~ 1952년 2월 | 경북 안동 | 일본 메이지대 | ||
4대 | 최하영(崔夏永) | 1952년 2월 ~ 1956년 10월 | 경기 이천 | 일본 도쿄대 | 헌법기초위원회 위원&심계원장&제5대 국회의원 | |
5대 | 이흥배(李興培) | 1956년 10월 ~ 1960년 6월 | 서울 | 서울대 | 경기도지사&국방부 차관 | |
제 2 공화국 | 6대 | 김정렬(金正烈) | 1960년 6월 28일 ~ 1960년 12월 3일 | 경기 시흥 | 고려대 | 인천시장&제7대 국회의원 |
7대 | 김성환(金聖煥) | 1960년 12월 15일 ~ 1963년 3월 19일 |
각주
편집참고 자료
편집- 이성무 (2000년 9월 1일). 〈제4편 한국 감사기관의 변천 - 대한민국의 감사기관〉. 《조선의 부정부패 어떻게 막았을까》. 서울: 청아출판사. ISBN 8936800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