돗토리시
일본 주고쿠의 중핵시
돗토리시(일본어: 鳥取市, 문화어: 돗또리 시)는 일본 돗토리현 동부에 위치하는 현청 소재지이다. 중핵시로 지정되어 있다.
鳥取市 とっとりし 돗토리시 | |||||
---|---|---|---|---|---|
![]() | |||||
| |||||
나라 | ![]() | ||||
지방 | 주고쿠 지방, 산인 지방 주고쿠·시코쿠 지방 | ||||
도도부현 | 돗토리현 | ||||
시정촌코드 | 31201-1 | ||||
면적 | 765.31km2 | ||||
총인구 | 184,645명[편집] (추계인구, 2023년 5월 1일) | ||||
인구밀도 | 241명/km2 | ||||
시목 | 산다화 | ||||
시화 | 염교 | ||||
돗토리시청 | |||||
시장 | 후카사와 요시히코(深澤 義彦) | ||||
소재지 | (〒680-8571) 돗토리현 돗토리시 쇼토쿠초 116번지 북위 35° 30′ 3.9″ 동경 134° 14′ 6.2″ / 북위 35.501083° 동경 134.235056° | ||||
웹사이트 | 돗토리시 ![]() | ||||
산인 지방 유일의 특례시이자 돗토리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본의 도도부현청 소재지 중 가장 인구가 적고 인구밀도 역시 야마구치시에 이어 낮다. 에도 시대에는 이케다 씨가 통치하는 돗토리번 32만 5천 석의 성시로 번창했다. 그 후 돗토리 대지진, 돗토리 대화재라고 하는 문제를 넘어서 현재에 이른다. 세계 최대급의 액정 공장이 있는 산인 제일·주고쿠 지방 유수의 공업 도시이고 돗토리 사구와 하쿠토 해안 등의 풍부한 자연이 있는 도시이다.
개요편집
지리편집
돗토리 평야를 중심으로 시가지가 펼쳐져 있다. 동해에 접하고 연안에는 일본 최대의 사구인 돗토리 사구가 있다.
기후편집
전역이 동해측 기후로 폭설 지대이다. 봄부터 가을까지는 맑은 날이 많고 겨울에는 흐리거나 비, 눈오는 날이 많다. 다른 동해측의 지역과 비교해서 기온이 높고 태평양측의 지역과 비교해도 별로 차이가 없다.
Tottori, Tottori (1961–199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 최고 기온 °C (°F) | 7.4 (45.3) |
7.6 (45.7) |
11.8 (53.2) |
18.3 (64.9) |
23.1 (73.6) |
26.7 (80.1) |
30.1 (86.2) |
31.8 (89.2) |
26.8 (80.2) |
21.4 (70.5) |
16.1 (61.0) |
10.9 (51.6) |
19.3 (66.7) |
일 평균 기온 °C (°F) | 3.7 (38.7) |
3.7 (38.7) |
6.9 (44.4) |
12.7 (54.9) |
17.3 (63.1) |
21.7 (71.1) |
25.5 (77.9) |
26.7 (80.1) |
22.0 (71.6) |
16.1 (61.0) |
11.2 (52.2) |
6.5 (43.7) |
14.5 (58.1) |
평균 최저 기온 °C (°F) | 0.5 (32.9) |
0.2 (32.4) |
2.4 (36.3) |
6.9 (44.4) |
11.9 (53.4) |
17.5 (63.5) |
21.7 (71.1) |
22.5 (72.5) |
18.1 (64.6) |
11.6 (52.9) |
7.0 (44.6) |
2.7 (36.9) |
10.3 (50.5)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185.3 (7.30) |
165.0 (6.50) |
124.6 (4.91) |
120.5 (4.74) |
121.4 (4.78) |
168.0 (6.61) |
202.5 (7.97) |
134.8 (5.31) |
246.6 (9.71) |
147.7 (5.81) |
162.0 (6.38) |
171.1 (6.74) |
1,949.5 (76.76) |
평균 강설량 cm (인치) | 84 (33) |
78 (31) |
16 (6.3) |
0 (0) |
0 (0) |
0 (0) |
0 (0) |
0 (0) |
0 (0) |
0 (0) |
1 (0.4) |
32 (13) |
211 (83.7) |
평균 강수일수 | 19.0 | 16.8 | 14.8 | 11.5 | 10.4 | 11.9 | 10.7 | 9.2 | 12.8 | 11.4 | 13.9 | 17.1 | 159.5 |
평균 상대 습도 (%) | 74 | 75 | 71 | 70 | 71 | 77 | 79 | 77 | 80 | 77 | 75 | 73 | 75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68.2 | 73.4 | 132.2 | 176.7 | 207.7 | 159.0 | 179.8 | 207.7 | 144.4 | 142.6 | 102.0 | 83.7 | 1,677.4 |
출처 1: NOAA (1961-1990)[1] | |||||||||||||
출처 2: HKO (sun only)[2] |
인접한 자치체편집
역사편집
『화명류취초』에는 「돗토리향」이 기록되어 있어 구송산록 일대에 존재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덴케이 3년(940년)의 도다이지 관련 문서에는 「주장 돗토리 다카토시」의 서명이 있어 돗토리의 지명을 자칭하는 호족이 존재했던 것이 지적되고 있다.(동년 9월 2일자 '나바타국 다카쿠사군 공문예동대사령 다카니와 쇼보루부 주진장'
- 1545년 : 히사마쓰 산에 돗토리 성이 쌓아졌다.
- 1889년 10월 1일 : 돗토리 시가 성립하였다.
- 1942년 9월 10일 : 돗토리 지진이 발생해 도시가 괴멸되었다.
- 1952년 4월 17일 : 돗토리 대화재로 중심가가 불에 탔다.
- 1995년 7월 7일 : 와라베관 개관하였다.
- 2000년 7월 1일 : 돗토리시 역사박물관(야마비코관)이 개관하였다.
- 2004년 11월 1일 : 이와미군 후쿠베촌, 고후쿠정, 게타카군 아오야정, 게타카정, 시카노정, 야즈군 가와하라정, 모치가세정, 사지촌을 편입 합병했다.
- 2005년 10월 1일 :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2016년 10월 21일 : 돗토리현 중부 지진이 발생하였다.
- 2018년 4월 1일 : 중핵시로 이행되었다.
교육편집
교통편집
돗토리 공항 전경.
도로편집
고속도로편집
철도편집
공항편집
시설·건축물편집
자매 도시편집
원래 정촌 시대에 제휴한 시는 합병 뒤에도 계승되고 있다.
일본 국내편집
- 홋카이도 구시로시(1963년 10월 4일)
- 효고현 히메지시(1972년 3월 8일)
- 오사카부 이케다시(1989년 4월) - 옛 아오타니 정.
-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1995년 10월 13일)
-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시(2005년 11월 25일)
- 아키타현 유자와시(1972년) - 옛 미나세 촌.
- 시마네현 가노아시군 쓰와노정(1993년) - 옛 가노 정.
- 기후현 다카야마시(1993년) - 옛 고쿠후 정.
- 오카야마현 쓰야마시 - 옛 모치가세 정.
해외편집
출신자편집
각주편집
- ↑ “Tottori Climate Normals 1961–1990”. 미국 해양대기청. 2013년 1월 5일에 확인함.
- ↑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Tottori, Japan”. Hong Kong Observatory. 2018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 돗토리 시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