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저지대올링고
동부저지대올링고(Bassaricyon alleni)는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올링고의 일종으로 볼리비아와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가이아나, 페루, 베네수엘라의 안데스 산맥 동부 지역의 저지대에서 서식한다.[1][2] 안데스 산맥 동부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올링고이다.[3] 학명은 올링고속을 처음 기술한 미국 동물학자 알렌(Joel Asaph Allen)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 | ||||||||||||||||
![]() 페루 아마조나스의 동부저지대올링고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Bassaricyon alleni Thomas, 1880 | ||||||||||||||||
아종 | ||||||||||||||||
| ||||||||||||||||
![]() 동부저지대올링고의 분포 지역 | ||||||||||||||||
이명 | ||||||||||||||||
Bassaricyon beddardi Pocock, 1921 Bassaricyon medius siccatus Thomas 1927 |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아메리카너구리과의 계통 분류이다.[4][3][5]
아메리카너구리과 |
| ||||||||||||||||||||||||||||||||||||||||||||||||||||||||||||||||||||||||
각주편집
- ↑ 가 나 “Bassaricyon allen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Bassaricyon alleni - Allen's Olingo Archived 2007년 9월 26일 - 웨이백 머신 NatureServe.org
- ↑ 가 나 Helgen, K. M.; Pinto, M.; Kays, R.; Helgen, L.; Tsuchiya, M.; Quinn, A.; Wilson, D.; Maldonado, J. (2013년 8월 15일). “Taxonomic revision of the olingos (Bassaricyon),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the Olinguito”. 《ZooKeys》 324: 1–83. doi:10.3897/zookeys.324.5827.
- ↑ K.-P. Koepfli, M. E. Gompper, E. Eizirik, C.-C. Ho, L. Linden, J. E. Maldonado, R. K. Wayne (2007). “Phylogeny of the Procyonidae (Mammalia: Carvnivora): Molecules, morphology and the Great American Interchang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 (3): 1076–1095. doi:10.1016/j.ympev.2006.10.003. PMID 17174109.
- ↑ Eizirik, E.; Murphy, W. J.; Koepfli, K.-P.; Johnson, W. E.; Dragoo, J. W.; Wayne, R. K.; O’Brien, S. J. (2010년 2월 4일).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56 (1): 49–63. doi:10.1016/j.ympev.2010.01.033. PMID 20138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