돛자리 람다(λ Velorum, λ Vel) 또는 공식 명칭 수하일(Suhail)[11]은 남반구 하늘의 돛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다. 평균 겉보기등급은 2.21로[3] 별자리 내에서 세 번째로 밝으며 밤하늘 전체에서도 밝은 축에 속하는 항성이다. 이 별까지의 거리는 시차 기법을 이용하여 직접 측정할 수 있으며 그 값은 지구로부터 약 545 광년 (167 파섹)이다.[2]

돛자리 람다 (수하일)
λ Velorum (Suhail)
돛자리. 람다는 λ이다.
돛자리. 람다는 λ이다.
명칭
밝은 별 목록 HR 3634[1]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78647[1]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220878[1]
소천성표 CD−42°4990[1]
히파르코스 목록 HIP 44816[1]
다른 이름 알수하일, 알 수하일 알 와즌, 수하일, 알 수칼, FK5 345[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돛자리
적경(α) 09h 07m 59.75787s[2]
적위(δ) −43° 25′ 57.3273″[2]
겉보기등급(m) 2.21[3] (2.14 - 2.30[4]
절대등급(M) −3.99[5]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18.4 km/s[6]
적경 고유운동 −24.01 mas/yr[2]
적위 고유운동 +13.52 mas/yr[2]
연주시차 5.99 ± 0.11 mas[2]
성질
광도 7,900 L[7]
나이 31.6 ± 1.7 (백만 년)[8]
분광형 K4 Ib[9]
U-B 색지수 +1.80[3]
B-V 색지수 +1.65[3]
변광성 분류 LC[4]
추가 사항
질량 7 ± 1 M[7]
반지름 210 R[7]
표면온도 3,800 - 4,000 K[7]
중원소 함량 (Fe/H) +0.06[10]
표면 중력 (log g) 0.6 cgs[7]
자전 속도 6.7 km/s[5]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명칭 편집

돛자리 람다 λ Velorum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전통적인 아랍어 명칭은 السهيل الوزن (수하일 알 와즌)이나 근대 항해별로서 수하일 Suhail 로 축약되어 불려 왔다. 람다별 이외에도 '수하일'(아랍어권에서 흔한 남성의 )은 전통적으로 카노푸스, 돛자리 감마(알 수하일 알 물리프), 고물자리 제타(수하일 하다르) 등 최소 세 별을 가리키는 명칭이었다. 2016년 8월 21일 국제천문연맹 산하 WGSN(항성명칭 워킹그룹)은 돛자리 람다별에 수하일 Suhail 을 공식 고유명칭으로 부여했으며 이 명칭은 현재 IAU 항성명칭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2](카노푸스는 원래 명칭을 그대로 부여받았으며 고물자리 제타는 나오스 Naos를 부여받았다.)[11]

중화권에서 수하일은 천기(天記)를 구성하는 유일한 항성으로 단독 명칭 역시 동일하다.[13] 천기는 서구식으로 Tseen Ke 로 표기되기도 하나 R. H. 앨런은 Tseen Ke돛자리 프시의 명칭이며 그 뜻은 '하늘의 기록물'이라고 주장했다.[14]

특성 편집

돛자리 람다의 외포층 유효 온도는 약 4000 켈빈으로 이 온도에서 람다는 K형 항성의 오렌지색 빛을 뿜는다.[15] 람다의 변광성 분류는 Lc형으로 겉보기 등급이 +2.14와 +2.30 사이에서 변화하는 느린 불규칙 변광성이다.[4]

람다별은 중심핵 영역에 있는 수소를 소진한, 진화가 진척된 항성이다. 질량은 대략 태양의 일곱 배이다. 람다는 점근거성가지(AGB)상에 있든지 혹은 여기에 접근하는 중인 것 같으나, 적색거성가지(RGB)상에 있는 질량이 좀 더 큰 별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16] 람다는 점근거성가지 항성 단계이기에 중심핵은 활력이 상실된 탄소산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신 중심핵 바깥에 있는 층 두 개에서 헬륨수소를 융합하고 있다. 항성의 외포층은 확장되어 두껍고, 대류 활동을 하며, 수소를 태우는 층을 만든 상태이고 이 외포층은 자기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 자기장의 람다별 표면에서의 힘은 1.72 ± 0.33 G로 측정되었다.[17] 무거운 항성들은 가벼운 별들보다 수소 연료를 빠르게 사용하므로 돛자리 람다의 나이는 대략 3200만 년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8]

돛자리 람다는 중간 정도 질량의 항성들 중 상한선에 해당되는 별로 최후를 행성상성운백색왜성의 형태로 맞게 될 것이다. 하지만 II형 초신성을 일으킬 정도로 무거울 가능성은 있다.[18]

각주 편집

  1. “Basic data: lam Vel -- Long-period variable star”. 《SIMBAD》. 2020년 3월 16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4. Ruban, E. V.; 외. (September 2006), “=Spectrophotometric observations of variable stars”, 《Astronomy Letters》 32 (9): 604–607, Bibcode:2006AstL...32..604R, doi:10.1134/S1063773706090052 . See the J/PAZh/32/672 VizieR catalogue entry.
  5. Setiawan, J.; Pasquini, L.; Da Silva, L.; Hatzes, A. P.; von Der Lühe, O.; Girardi, L.; De Medeiros, J. R.; Guenther, E. (2004). “Precise radial velocity measurements of G and K giants. Multiple systems and variability trend along the Red Giant Branch”. 《Astronomy and Astrophysics》 421: 241. Bibcode:2004A&A...421..241S. doi:10.1051/0004-6361:20041042-1. 
  6. Wilson, R. E.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Carnegie Institute Washington D.C. Publication》 (Carnegie Institute of Washington D.C.). Bibcode:1953GCRV..C......0W. 
  7. Carpenter, Kenneth G.; Robinson, Richard D.; Harper, Graham M.; Bennett, Philip D.; Brown, Alexander; Mullan, Dermott J. (1999). “GHRS Observations of Cool, Low-Gravity Stars. V. The Outer Atmosphere and Wind of the Nearby K Supergiant λ Velorum”. 《The Astrophysical Journal》 521 (1): 382–406. Bibcode:1999ApJ...521..382C. doi:10.1086/307520. 
  8.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January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9. Keenan, Philip C.; McNeil, Raymond C. (1989).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1: 245. Bibcode:1989ApJS...71..245K. doi:10.1086/191373. 
  10. Luck, R. Earle (2014). “Parameters and Abundances in Luminous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47 (6): 137. Bibcode:2014AJ....147..137L. doi:10.1088/0004-6256/147/6/137. 
  11.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2.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3.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29 日 Archived 2021년 6월 5일 - 웨이백 머신
  14. Allen, Richard Hinckley,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Argo Navis》 
  15.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16. Carpenter, Kenneth G. (1998). “The Structure of the Outer Atmosphere and Wind of lambda Vel”. 《Asymptotic Giant Branch Stars》 191: P206. Bibcode:1998IAUS..191P.206C. 
  17. Grunhut, J. H.; 외. (November 2010), “Systematic detection of magnetic fields in massive, late-type super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8 (4): 2290–2297, arXiv:1006.5891, Bibcode:2010MNRAS.408.2290G, doi:10.1111/j.1365-2966.2010.17275.x 
  18. Nomoto, K. (1984). “Evolution of 8-10 solar mass stars toward electron capture supernovae. I - Formation of electron-degenerate O + NE + MG cores”. 《Astrophysical Journal》 277: 791. Bibcode:1984ApJ...277..791N. doi:10.1086/161749. 

좌표:   09h 07m 59.75787s, −43° 25′ 57.3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