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 팝(Dream pop)[6]은 1980년대에 나타난 얼터너티브 록[1] 네오사이키델리아[3] 하위 장르이다. 멜로디만큼이나 소리의 질감과 분위기에 몰두한다는 특징이 있다.[7] 관련 장르인 슈게이징과 겹치는 부분이 많으며, 두 용어를 동의어로 취급하기도 한다.

드림 팝
장르 뿌리
문화 뿌리1980년대 초반, 영국
사용 악기
파생 장르
퓨전 장르
관련 항목

특징 편집

드림 팝은 듣는 사람이 경험하는 음악 속의 "몰입"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8] "드림 팝"이라는 용어는 밴드 A.R. 케인의 알렉스 아율리가 본인들의 음악을 묘사하는 데 처음 사용했다.[9] 이후 음악평론가 사이먼 레이놀즈가 영국에서 막 생겨나고 있던 슈게이징 장르를 묘사하는 용어로 이를 받아들였다. 1990년대에 "드림 팝"과 "슈게이징"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였고 다만 지역적인 차이가 있었다. 영국에서 "슈게이징"이라 불리는 음악은 미국에서 보통 "드림 팝"으로 불렸다.[10]

〈The AllMusic Guide to Electronica〉(2003)에서는 드림 팝을 "멜로디만큼이나 소리의 질감에도 의존하는, 얼터너티브 록의 몽환적인 하위 장르"라고 정의한다.[7] 숨소리 섞인 보컬, 풍부한 기타 이펙트, 밀도 높게 프로듀스된 소리 등이 흔한 특징이다.[7][3] 드림 팝은 강렬한 록 리프보다는 질감과 분위기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11] 가사는 내적 성찰이나 실존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11] 사이먼 레이놀즈의 견해에 따르면 드림 팝은 "황홀하고 초월적인 경험을 찬양하며, 종종 약에 취한 것 같거나 신비스러운 심상을 사용한다".[3] 레이첼 펠더에 따르면 드림 팝 음악가들은 사회에 대한 사실적 묘사를 거부하고 모호하거나 환각적인 경험에 치중하는 경우가 많다.[12]

역사 편집

작가 네이선 와이즈만-트라우스는 드림 팝에 필수적인 "소리의 순수한 물질적 특질에 대한 접근"은 필 스펙터브라이언 윌슨 등이 팝 음악에서 처음 개척했다고 설명하였다. 관습적인 노래 구조를 뛰어넘어 반복, 톤, 질감을 실험했던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1960년대와 1970년대 음악 또한 장르의 발전에서 중요한 이정표이다.[12] 음악 저널리스트 존 버그스트럼은 필 스펙터가 프로듀스한 월 오브 사운드와 유동적인 편곡이 특징인 조지 해리슨의 1970년 앨범 《All Things Must Pass》를 드림 팝 장르의 선구자로 평가한다.[13]

레이놀즈는 드림 팝 밴드들을 가리켜 “몽롱한 네오사이키델릭 그룹들의 물결”이라 불렀고, 콕토 트윈스와 같은 밴드들의 "이 세상의 것이 아닌 것 같은 사운드스케이프"의 영향을 지적했다.[3]롤링 스톤》 필진인 코리 그로는 “현대 드림 팝”이 1980년대 초반 콕토 트윈스와 동시대 밴드들의 작업에서 기원했다고 하는 반면,[14]팝매터스》의 AJ 라미레즈는 고딕 록에서 드림 팝으로 이어지는 변화의 계보가 있다고 지적한다.[2] 그로는 데이비드 린치안젤로 바달라멘티가 작곡하고 프로듀스한 줄리 크루즈의 1989년 앨범 《Floating into the Night》가 “[드림 팝 장르에] 신스의 광택을 선물한” 중요한 발전이었다고 본다.[14]

1990년대 초반에 Seefeel과 같이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의 영향을 받은 몇몇 드림 팝 밴드는 테크노의 특징을 흡수하여 샘플과 시퀀서로 만든 리듬 따위의 요소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5] 올뮤직앰비언트 팝에 대해 "본질적으로 슈게이즈 현상이 지나간 자리에서 시작된 드림 팝 장르의 확장"으로서 전자음악적 질감이 특징이라고 하였다.[5]

2009년에 생겨난 용어인 “칠웨이브”로 불리는 음악 대부분은 드림 팝으로 여길 수 있다.[6] 〈그랜틀랜드〉 필진인 데이비드 실링의 견해에 따르면, “칠웨이브”라는 용어가 대중화된 후에 벌어진 음악 저널리스트들과 블로거들의 토론 결과 “슈게이징”이나 “드림 팝”과 같은 구별은 결국 “자의적이고 무의미하다”는 게 드러났다.[16]

아티스트 목록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non (n.d.). “Dream Pop”. 《AllMusic》. 
  2. Ramirez, AJ (2009년 10월 31일). "Bela Lugosi's Dead": 30 Years of Goth, Gloom, and Post-Post-Punk”. 《PopMatters》. 2017년 1월 11일에 확인함. 
  3. Reynolds, Simon (1991년 12월 1일), “Pop View; 'Dream-Pop' Bands Define the Times in Britain”,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Times Company),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4. Weiss, Dan (2012년 7월 6일). “Slutwave, Tumblr Rap, Rape Gaze: Obscure Musical Genres Explained”. 《LA Weekly》. 
  5. “Ambient Pop”. 《AllMusic》. 
  6. Abebe, Nitsuh (2011년 7월 22일). “Chillin' in Plain Sight”. 《Pitchfork》. 
  7. Bogdanov, Vladimir (2001). The AllMusic Guide to Electronica, Backbeat UK, ISBN 978-0-87930-628-1, p. ix.
  8. Goddard, Michael et al (2013) Resonances: Noise and Contemporary Music, Bloomsbury Academic, ISBN 978-1-4411-5937-3
  9. King, Richard (2012). 《How Soon is Now?: The Madmen and Mavericks who made Independent Music 1975-2005》. Faber & Faber. 206쪽. ISBN 978-0-571-27832-9. 
  10. Tyler, Kieron (2016년 1월 17일). “Reissue CDs Weekly: Still in a Dream - A Story of Shoegaze”. 《The Arts Desk》. 
  11. Bogdanov, Vladimir (2001). 《All Music Guide to Electronica: The Definitive Guide to Electronic Music》 4판. Backbeat Books. ix쪽. ISBN 978-0-87930-628-1. 
  12. Wiseman-Trowse, Nathan (2008년 9월 30일). 《Performing Class in British Popular Music》. Springer. 148–154쪽. 
  13. Bergstrom, John (2011년 1월 14일). “George Harrison: All Things Must Pass”. 《PopMatters. 2012년 4월 1일에 확인함. 
  14. Grow, Kory (2014년 7월 25일). “Dream Team: The Semi-Mysterious Story Behind the Music of 'Twin Peaks'. 《Rolling Stone》. Wenner Media. 2018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6일에 확인함. 
  15. Reynolds, Simon (1994). “Quique - Seefeel review”. 《[[스핀 (잡지)|]]》. 
  16. Schilling, Dave (2015년 4월 8일). “That Was a Thing: The Brief History of the Totally Made-Up Chillwave Music Gen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