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포렌식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 Science, 디지털 법과학)은 컴퓨터 범죄와 관련하여 디지털 장치에서 발견되는 자료를 복구하고 조사하는 법과학의 한 분야이다.[1][2] 디지털 포렌식이라는 용어는 원래 컴퓨터 포렌식의 동의어로 사용되었지만 디지털 데이터를 기억 할 수 있는 모든 장치에 대한 조사를 포함하여 확장되었다.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의 가정용 컴퓨팅 혁명에 뿌리를 둔 이 분야는 1990년대에 우연히 진화했으며 21세기 초가 되어 국가 정책으로 관장되었으므로, 최근 들어서 성착취물 추적 시스템 등 다양한 수사 기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드 드라이브에 연결된 휴대용 Tableau 쓰기 차단기
참조편집
- 디지털 법의학 도구 목록
- 사이버 스페이스
- 디지털 법의학 용어집
- 법의학 개요
- 법 의학적 검색
- 디지털 증거에 관한 과학 실무 그룹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관련 저널편집
- Journal of Digital Forensics, Security and Law
-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rime and Forensics
- Journal of Digital Investig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Evidence
-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nsic Computer Science
- Journal of Digital Forensic Practice
- Small Scale Digital Device Forensic Journal
각주편집
- ↑ M Reith; C Carr; G Gunsch (2002). "An examination of digital forensic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Evidence. CiteSeerX 10.1.1.13.9683. Cite journal requires
|journal=
(help) - ↑ Carrier, B (2001). "Defining digital forensic examination and analysis t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Evidence. 1: 2003. CiteSeerX 10.1.1.14.8953.